경기국제공항, 경기남부 후보지 10여곳

페이지 정보

190 조회
6 댓글
0 추천

본문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핵심 공약인 '경기국제공항' 후보지로 경기남부 지역 10여 개 지점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도는 첨예한 지역 갈등에 얽혀 있는 수원 군공항과의 통합 이전 방안을 배제하고, 민간공항으로만 사업을 추진해 지방자치단체의 자발적 유치 신청을 이끌어낼 방침이다.

경기남부 10여 지점 검토 중…"군공항 이전과는 별도"


12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도의 '경기국제공항 건설 추진 방안 수립 연구용역'에서 후보지로 검토 중인 지역은 최소 6개 지자체 내 10여 곳이다.

이들 지역은 모두 경기남부권으로 수도권 대도시와의 접근성이 높은 안산시(남부)를 비롯해 평택시와 안성시(산지 제외 구역), 용인시(남부), 이천시, 화성시(화옹지구 등) 등이 포함됐다.

경기북부는 접경지이자 산악지역으로 제외됐고, 인구 밀집도가 높은 수원시 등과 수도권 중심지와 멀리 떨어진 여주·광주시, 양평군 등도 적합성이 낮다는 평가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건립 대상지 선별 기준은 인구 밀집구역과의 거리와 산업단지 등과의 연계성 등 인문·사회적 요소와 주변 산지 유무와 안개 빈도, 접근성 등 자연·지리적 요소로 나뉜다.

이를 기준으로 물색한 1차 대상지들에 대해 비용 대비 편익(B/C) 등 경제성을 분석해, 2~3차 검토 과정을 거쳐 후보군을 좁히겠다는 게 도의 구상이다.

후보지 검토 과정에서 그간 화성지역의 거센 반대에 막혀 온 수원 군공항의 민·군 통합공항 이전 계획은 고려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 관련 조례에도 군공항 사항은 제외하는 것으로 규정돼 있다. 지난해 6월 '경기도 국제공항 유치 및 건설 촉진 조례'에 대한 경기도의회 심의에서 '군공항 이전 특별법에 따른 군공항은 제외한다'는 조항이 추가됐다.


경기도 관계자는CBS노컷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군공항 이전과는 별개의 사업으로, 민간공항 건립이 가능한 지역들을 다수 검토하고 있는 게 맞다"며 "3차 검증 절차를 거치고 나면 3~4군데 안팎으로 압축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경기도는 최초의 국제 민간공항 건립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합의를 이끌어내는 역할에 집중하고 있다"며 "군공항 이전은 수원시의 목적에 해당된다"고 거듭 선을 그었다.

공론화 후 '유치 경쟁' 기대…金 "남부권 신성장 엔진"


경기국제공항 건립을 위한 또 다른 핵심은 '공감대' 형성이다. 이를 위해 도는 연구용역과 함께 '공론화 사업'을 병행 중이다.

도는 3억 6500만 원을 들여 '경기국제공항 유치 도민 숙의공론조사'를 추진, 이달 중 도민 3천여 명을 대상으로 공항 건립의 방향성에 관한 여론조사를 실시하고 '도민참여단'도 꾸린다.

다음 달에는 200명 규모의 도민참여단을 중심으로 2차례에 걸친 숙의토론회를 열어 공항의 특성과 규모, 운영 방안 등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모으기로 했다.

이를 토대로 7월쯤 백서를 발간하고 8월 발표 예정인 연구용역 결과에도 적극 반영하겠다는 전략이다.

이후 도는 건립 후보 지역을 대상으로 주민공청회를 열고, 해당 지자체로부터 공항 유치 신청을 받아 이르면 오는 12월 국토교통부를 상대로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2026~2030)' 반영을 정식 요청할 계획이다.

도는 공항 주변지에 대한 보상 차원이 아닌, 수도권 민간공항 수요를 효율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 적정 규모로 건립함으로써 산업단지 등과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각종 기반시설을 확충해 경기남부권 전체의 신성장 동력을 마련하도록 사업 방향을 설정하고 있다.

경기남부 인구가 1100만 명에 육박하고 국가산단을 비롯한 반도체 벨트가 구축된 권역으로 여객과 화물 운송에 대한 항공수요가 충분하다는 점을 감안한 사업 구상이다.

김동연 지사도 이 같은 사업 취지를 꾸준히 앞세워 왔다. 김 지사는 지난 3월 경기언론인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용역에서) 건립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입지 선정과 배후지 개발을 포함한 종합적인 발전 전략을 제시할 것"이라며 "교육·금융·의료 인프라를 확충해 복합국제도시를 만든다면 경기남부 지역의 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비전을 제시했다.

댓글 6

FlyCathay님의 댓글

청주공항 관짝 주문하나요 ㄷㄷㄷ
그런데 수원 군공항 이전과는 별개사업으로 가면 삽질 아닌가요. 우리가 해야할것이 그게 아닌디...무안공항 삽질 뻔히 보면서 이 삽질을 왜 하는걸까요.

지조님의 댓글

경기 남부 수요 라면 청주 확장하는게 더 나아 보이네요..
근데 천안에서도 인천공항까지 2시간에 끊을 수 있는데 굳이 경기도에..?

그리고 공항 만들어도 항공사가 들어와야..

FlyCathay님의 댓글의 댓글

@지조님에게 답글 청주는 확장해도 실익이 없어요. 군사공항이기도 하고 F-35 전량 배치가 유력해요.
오죽하면 청주시가 민간용으로 활주로 분리해달라고 요청도 했는걸요 ㅎㅎ
그리고 경기국제공항 논의 자체는 경기도 자체적으로 하는것이기도 하고 이런 경우엔 B/C가 높게 나와도 국토부 계획에 못들어가면 의미가 없기도 하구요. 가장 큰 문제는 왜 경기남부에 공항을 세우려고 했나 라는 기본틀을 생각해봐야 할텐데...군공항과 상관없는 민간공항이라고 해버리면 그럼 그동안의 싸움과 논의가 무색해지는 결론인거죠. 도정이 왜 이런지 모르겠습니다. 경기북도 분리를 한다하지 않나 논란만 가중되는 국제공항 신설을 돈들여 연구용역까지 발주한다지를 않나......

앙겔군님의 댓글


도대체..화옹가느니 김포나 인천이랑 너무 겹치고
안성으로가자니 산지도 (+평택/청주와 가깝고)
왜 뻘짓을 하는걸까요;;

FlyCathay님의 댓글의 댓글

@앙겔군님에게 답글 어차피 뭔가에는 예산은 써야겠으니 그냥 그럴듯 해 보이는걸로 해먹으려나봅니다.

오렌지반쪽님의 댓글

청주 시외노선을 좀 더 확충하고 확장을 했으면 좋겠지만....
F35 본격적인 전력화가 이루어지면 어찌 될지 모르겠네요
지금도 뜨문뜨문... 그저 에어로케이가 제주노선만 줄이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근대 청주공항 근처 청주공항역쪽으로 확장은 어려울려나요......
그래도 경기권 땅 매입하는 비용보다는 저렴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ㅜㅠ
전체 460 / 2 페이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