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먹거리 찾는 LCC, 중앙아시아 신규 노선 주목

페이지 정보

192 조회
3 댓글
1 추천

본문

항공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이르면 다음 달 국제선 운수권 분배에 나설 계획이다. 대한항공이 내놓는 파리·프랑크푸르트 등 유럽 4개 노선을 포함해 인도네시아 발리와 몽골 울란바토르,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노선 등이 올해 배분 대상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가운데 새 주인으로 티웨이항공이 이미 정해진 유럽을 제외하고 LCC 업계가 주목하는 것이 중앙아시아 노선이다. 카자흐스탄 노선은 지난달 국토교통부가 현지 당국과 항공 회담을 통해 주 3~5회에 그쳤던 노선 수를 총 주 21회로 크게 늘리며 하늘길이 넓어졌다. 국내에서는 아시아나항공만 인천~알마티 노선을 두고 있다.

국토부는 우즈베키스탄 당국과도 현재 운수권 증대를 논의 중인 만큼 결과에 따라 양국을 오가는 항공기 운항 횟수가 늘어날 수 있다.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과 국내를 오가는 여객 수요는 연간 10만~30만 명 수준에 그친다. 인기 노선은 아니라는 의미다. 여객 대부분이 일자리를 찾기 위해 한국을 찾는 ‘노무 수요’다. LCC 업계는 그러나 한 번 시장이 열리면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지에서 관광을 활성화하려는 의지도 크고 홍보를 많이 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앙아시아에서 카자흐스탄이 한국과 교역이 가장 큰 나라인 만큼 화물 수요 증대도 기대해볼 만하다. LCC도 미국이나 유럽 등 장거리 노선을 늘린다고 하지만 보유 항공기들이 단거리 운행에 최적화된 만큼 한계가 있고 따라서 중거리 노선의 대안으로 중앙아시아가 블루오션으로 떠올랐다는 설명이다.

댓글 3

수퍼주님의 댓글

LCC들이 A320 Neo나 737-8을 도입 증가가 되면 아마 본격적으로 중앙아시아도 취항을 검토할 것 같습니다. 저도 상당히 기대중입니다~
전체 460 / 9 페이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