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공항 신공항 말고 기존공항 확장 이런 방안은 어떨까요?

페이지 정보

163 조회
9 댓글
0 추천

본문

작년에 제주신공항 승인은 났지만 아직 공사가 진행되지 않은 시점에서 제주공항 확장안 살펴보니

보조활주로 확장은 교차 운영 어려움, 평행활주로 신설은 하수처리장 문제가 큰것으로 나왔습니다.

현재도 보조활주로는 교차로 운영되야하는 상황이긴 한데 어차피 운영이 어렵다면 보조활주로를 버리고 해당부지에 하수처리장 이전후 평행활주로 신설하면 나름 대안이 될거 같은데 이 방안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비용이나 환경, 인프라 집중면에서는 더 나아보입니다만 기존 활주로의 측풍문제가 그대로라는게 아쉽긴합니다.

댓글 9

늑대미니님의 댓글

하수처리장이 단순 이전으로 접근이 안될겁니다. 지하 하수관로까지 다 엮여 있고 방류를 어디에 할지도 따져봐야 되고 등등 이것저것 따져볼 게 많다보니.....

밤고개커피님의 댓글의 댓글

@늑대미니님에게 답글 보조활주로부지에 이전할경우 연결관로 설치하면 어찌어찌 되지 않을까요? 기존위치까지 인프라 그대로 활용하고 거기서 연결관로를 만드는거죠. 단점이라면 유지보수시 공항운영에 영향을 준다는게..

건더기님의 댓글

하수처리장 이전이 굉장히 복잡한건 위에 다른 댓글도 있거니와......
저 해안이 상당히 핫한 해안이라 저기를 수용하는건 돈이 문제가 아니라 수용자체가 안될겁니다. 어떤 땅주인이 저기만큼 핫한 땅을 수용당할까요....

그리고 제주공항은 어차피 활주로 아니어도 이미 터미널이나 주기장이나 등등등 소화할 수 있는 최대를 넘어선 수준이라 활주로 늘려봐야 여기서 더 취항편을 늘릴 여건이 안됩니다.
제주 항공편이 가장 많이 출발하는 김포공항도 여기서 간격을 더 줄이기에는 한계가 있고요....

Foxtrot님의 댓글

기존 활주로 위에 2층으로 활주로를 하나 더 만드는건 안될까요?
라는 뻘한 상상을 해봤습니다만... 실제로 적용시킨 사례(복층 항공모함)가 있긴 있군요 ㄷㄷ

FlyCathay님의 댓글


애초에 복수의 활주로는 의미가 없습니다. 급변풍 등 악천후에 대응할 수 있는 곳을 찾는게 신공항 추진의 이유인걸요. 특히나 해당지역 보상처리하려면 사업비는 비싸지고 진척도 없을것이구요.
차라리...일본이 그렇게 하고 싶다는 한일해저터널 해주면 됩니다. 전액 일본돈으로 제주를 경우해서 전남쪽으로 나가게 해주면 제주 경제도 살고 전남쪽 유입인구도 증가할 테구요.

FlyCathay님의 댓글의 댓글

@Foxtrot님에게 답글 우리가 해달라는것도 아니고 자기들이 하겠다는데 노선 정도는 우리가 유리한대로 해야죠 ㅎㅎ
200km 정도 되니까 세계신기록도 세워보고 해야지요. 규슈에서도 환영 할 것입니다.

오렌지반쪽님의 댓글의 댓글

@FlyCathay님에게 답글 터널뚫리면 규슈 제주 연계 올레길이 생기겠네요 ㅎㅎㅎ
규슈 올레길도 꽤 괜찮습니다. 이젠.... 안가지만 ㅠㅠ
전체 460 / 7 페이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