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 20%가 보수 정권 지지하는 이유 (유시민)

페이지 정보

2,354 조회
29 댓글
21 추천

본문

[최경영]

미국의 노동자 계층도 트럼프를 찍고, 

한국의 하위 20%~40% 가까이 되는 사람들도

보수를 지지 하는 것을 어떻게 보아야 하나?


[유시민]

사람들은 지배 계급을 타도 하고 싶은 게 아니고

자기도 지배 계급이 되고 싶어함

혜택을 못 보면서도 

그들을 부러워 하고 흉내 내고 싶어하기 때문


항상 궁금했는데

어째서 가난한 2찍이 존재하는지에 대해서 조금씩 알아갑니다

제정신은 아닌 사람들 같네요


https://youtube.com/shorts/RNGUY_ZtTWU?si=_9PZY4olZhkGRO54


댓글 29 / 1 페이지

metalkid님의 댓글

유시민 작가님은 진짜 불로장생하게 만들어 드려야 하는데 너무 안타깝습니다.
오래오래 사셔야 합니다.

폴셔님의 댓글의 댓글

@솜다리님에게 답글 당장은 아니지만 언젠가는 기득권이 될 예정이라 일단 반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뽀물님의 댓글의 댓글

@폴셔님에게 답글 부동산에 있어서도 동일하죠

기초생활수급자가
'감히 부동산 종부세라는 대못을 박아!' 라고 말하는...

캐라트레이스님의 댓글의 댓글

@세상여행님에게 답글 하지만 그 대감집은 머슴에게 밥을 주는 대감이 아니라 머슴의 쥐톨만한 밥까지 뺏어먹으려는 대감인거를 모르는사람들인 것 같아요

아름다워용님의 댓글

세상이 망하거나 전쟁나면 혹시 나한테도 기회가? 이런 생각을 갖은 2찍 이야기를 들은적 있습니다.

Cornerback님의 댓글의 댓글

@구름님에게 답글 감성 영역이 아녜요
그들의 '이성' 입니다

나도 언젠가 저 계급이 될거다
그러므로 계급특권 파괴는 안된다
내가 언젠가 누려야하므로

시험이나 입시, 의대도 똑같습니다
아 나때까지는 현행 유지되길...
아 내가 의사되면 원하는게 있는데 증원?
로스쿨? 변호사를 늘린다고?

luqu님의 댓글

참고로 베블레이라고 자막에 나오는데 소스타인 베블런입니다.
유한계급론 저 책도 언젠가 한번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하고 있네요.

별을쫓는아이님의 댓글

저 내용에 + '난 이미 틀렸으니, 다 같이 죽어보자!!' 라는 생각도 포함되어야 우리 나라 상황에 맞을 듯 합니다

PearlCadillac님의 댓글

요샛 말로 부자지망생들이라는거네요.
어릴땐 투푯날 만큼이라도 상위 1프로같은 기분내려고 찍는다 ㅋㅋ
이소리에 에이 설마 했는데
시간 지나보니 설득력있는 소리 같습니다.

폴셔님의 댓글의 댓글

@PearlCadillac님에게 답글 참 제 정신들이 아니에요
부자들을 위해 투표를 하니 본인들이 가난해 지는 건데

Nalto님의 댓글

무식해서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잘 따져보고, 내가 부자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생각해보면  로또 1등 확율이나 다름없죠.
더 냉정하게 생각해보면, 로또 1등은 정말 운 좋으면 1등될 수 있지만,  본문과 같이 이성적인 판단이 안 되는 사람이 성공할 가능성은 전혀 없을 겁니다.

Nalto님의 댓글의 댓글

@Nalto님에게 답글 하지만,  감성의 영역에서는 가능하죠.
내가 좋다는데  무슨 이유가 필요할까요?  ㅎㅎ

gomgome님의 댓글

췟지피티랑 얘기해보니까 잘 설명해주긴 하네요...

베블런의 유한계급론은 주로 상류층의 소비 패턴과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하위층 노동자들이 보수 정권을 지지하는 현상을 완전히 설명하기에는 제한적일 수 있어. 그러나 베블런의 이론과 관련된 몇 가지 개념들을 통해 이 현상을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거야. 여기에 몇 가지 가능성을 제시해 볼게:

상류층 모방:

베블런의 이론에 따르면, 하위 계층은 상류 계층의 생활 방식과 가치를 모방하려는 경향이 있어. 이는 "과시적 소비"나 "과시적 여가"뿐만 아니라 정치적 성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하위층 노동자들이 상류층의 정치적 성향을 모방하여 보수 정권을 지지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어.
상승 이동의 희망:

하위층 노동자들은 자신의 경제적 상황을 개선하고 상류층으로의 상승 이동을 희망할 수 있어. 보수 정권이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개인의 노력에 따른 성공을 강조하는 정책을 제시할 경우, 이러한 정책이 하위층 노동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 있어.
경제적 보수주의:

하위층 노동자들이 보수적인 경제 정책을 지지하는 이유는 다양한 경제적 요인 때문일 수 있어. 예를 들어, 세금 감면이나 규제 완화가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할 수 있어. 이러한 믿음이 하위층 노동자들이 보수 정권을 지지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문화적 요인:

베블런의 이론에서 다루지 않는 부분이지만, 하위층 노동자들이 보수 정권을 지지하는 이유 중 하나는 문화적 가치와 정체성 때문일 수 있어. 예를 들어, 전통적 가치, 종교, 가족 중심의 생활 방식 등이 보수 정권의 정책과 일치한다고 느낄 수 있어.
정치적 동원과 담론:

보수 정당이 하위층 노동자들에게 더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고, 그들의 지지를 얻기 위한 전략을 잘 사용하고 있을 수 있어. 정치적 담론과 미디어의 영향도 중요한 요소일 수 있어.
결론적으로, 베블런의 유한계급론 자체로는 하위층 노동자들이 보수 정권을 지지하는 모든 이유를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상류층 모방이나 경제적 보수주의와 같은 일부 요소들을 통해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 이 외에도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러한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해.

북극곰님의 댓글

선별지급을 보수층이 주장하고 복지 수혜자가 보편적 복지제도 욕하고
그들의 기저에는 언젠가는 내가 1% 부자가 될 텐데!! 라는 불가능한 희망을 꿈 꾸죠...
꿈 꾸는 거야 그러려니 하는데 애먼 자기들 대변해주는 진보계층에
욕 하는 경우가 있죠..
인간의 본성일지도 모릅니다.
내가 지배계급이 되고 싶어하는 것 자체가... 고대때부터 있어왔으니까요...

스카이후크님의 댓글

반대로 상위 20%, 아니 상위 5% 1%가 진보를 지지하는건 왜 그럴까요? 상위 0.1%는 대부분 보수를 지지하던데 말이죠.
검색 20 / 1 페이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