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C인증마크는 그래도 필수죠..jpg

페이지 정보

1,036 조회
9 댓글
11 추천

본문

짠! 소개 합니다!


믿음이 가지 않는 인증마크! 


해썹! KC!

댓글 9 / 1 페이지

우주난민님의 댓글

전파인증 몇 번 받아봤는데 우리나라 인증은 사실상의 무역장벽이고 인증기관 돈벌어주려는 수단일 뿐이죠...

New댜넬님의 댓글

인증과 관리를 동일시하면 어디에서 말해야 할지 모르겠군요.

제조사/유통사가 인증받고 그 인증받은 걸 정부가 무작위로 검사합니다.
검사에 걸리면 위와같은 리콜과 행정처분이 있죠.

자주 관리/검사가 필요한데 그만큼 행정력이 필요합니다.

인증자체가 문제가 있는건 아닙니다.

그리고 자주 언급되는 가습기살균제가 있는데

가습기 살균제는 당시 새 화학물질에 대한 안전책임에 대한 책임소재가 불분명했습니다.
새로운 화학물질이 나오면 그것에 대한 안전평가를 회사에 맡겨서 사고가 난겁니다.

위의 건은 제조사/유통사가 품질관리를 못한거에요.
KC가 문제가 있는게 아니라요

New댜넬님의 댓글의 댓글

@인생은타이밍이지님에게 답글 위의 내용은 KC인증이 문제가 있다는 건데 KC인증이 문제가 있는게 아닙니다.
관리와 인증은 유관부서가 다릅니다.
왜 이걸 전부 일치시켜서 이야기하는지 모르겠는데요.

또 위의 내용은 기업의 품질관리가 문제고, 그걸 정부가 정기적인 관리를 통해 적발한 겁니다.

국내인증이 문제가 있다고 할건아니죠

인생은타이밍이지님의 댓글의 댓글

@New댜넬님에게 답글 네, 그러니까 KC 인증 없는 물건은 국민들이 직구를 못하게 하겠다고 한거잖아요. 그런 관리 감독도 제대로 처리 안하면서. 막무가내로 그냥 진행해놓고 KC인증이 마치 보약인 것마냥 파는건 정상이라고 저는 보이지 않는데요. 그거 제대로 관리 감독도 안할거면요. 유관부서가 다르다고 하는 거랑은 아예 말하고자 하는게 다르신 것 같은데요?

그리고 국내인증이 문제가 있다고 할건 아니죠라고 말씀 하시기엔 당연히 나라에선 인증에서 관리감독까지 제대로 해야합니다. 그냥 부서만 다르다고 회피할게 아니죠. 특히 국민이 보기엔 더더욱 그렇게 보이구요.

New댜넬님의 댓글의 댓글

@인생은타이밍이지님에게 답글 관련업무를 하다보면, 많이 느끼는데요.

국내 인증 시스템이 없다면 국민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될겁니다.

예전에 지금처럼 단속되지 않는 시절에 마크를 맘대로 위조하고 유통시킨 전력이 있는
일부 제조업/수입업자들의 윤리를 못믿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위의 경우도 KC인증이 없었다면, 절대 적발 못할 일이죠.

 KC인증의 유무로 국내 직구를 막는다고 그것자체가 문제가 있다고 할수는 없습니다.
검색 70 / 1 페이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