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만원으로 홈카페를 시작하는 방법.txt

페이지 정보

3,915 조회
65 댓글
85 추천

본문


  1. 원두를 산다 

커피맛의 90%는 원두가 좌우합니다 개봉한지 1년된 상온보관 원두를 맛있게 내릴 수 있는 바리스타는 세상에 없습니다.. 

생두를 쌀에 비유하자면 로스팅된 원두는 지어놓은 밥입니다 밥 짓고 5일뒤에 전기밥솥에 있는거 먹으면 맛있겠습니까? 

물론 밥처럼 지은 직후가 맛있지는 않습니다 

원두는 로스팅한 후 디게싱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원두가 머금고 있는 가스를 배출하는 시간인데 

중강배전이면 4,5일 중약배전이면 10일정도를 보통 로스터리에서 추천합니다 

이 기간이 지난 이후부터는 맛을 잃어가는 과정입니다 

그럼 원두는 어디에서 사야 하냐면..

프랜차이즈 카페나 대형마트에 가서만 안사면 됩니다 

그런 구매처를 가보면 원두 로스팅 날짜가 없습니다

오직 유통기한만 있는데 그 유통기한에서 1년 빼면 로스팅한 날짜라고 보시면 됩니다 

아마 계산해보면 2,3개월 지난 원두들이 태반일겁니다 맛있기가 힘듭니다 

그러니 동네 로스터리 카페나 소형 로스터리 스마트스토어들을 추천합니다 주문하면 그 전날 볶은 원두 구매가능합니다 

몇 g을 사야 하냐.. 처음이라면 200g을 추천합니다 드립커피 비율을 생각할 때 20g이 1인분 정도 됩니다 

10번 내려먹을 정도 사면 하루 한잔 먹는 사람도 10일이면 끝낼 수 있으니 커피가 가장 맛있을 때 다 먹을 수 있습니다 

원두 종류가 너무 많다 뭘 사야 하냐 

평소에 고소한 커피가 좋았으면 중강배전에 컵노트에 초콜릿이나 고구마 이런거 써있는거 사시면 되고 

평소에 상큼한 커피가 좋았으면 중약배전에 컵노트에 과일 이름이나 꽃이름 써있는거 사면 됩니다 

 

  2. 그라인더를 산다 

이제 막 시작하는데 좋은거 살 필요 없습니다 

어차피 홈카페 시작한 사람중 87.54%는 한두번 내려먹다가 때려칩니다 

하지만 제발 오른쪽 같은 칼날형 그라인더는 사지 마세요 

저걸로 갈면 원두 굵기가 그야말로 미분에 가까운 입자부터 터무니없이 굵은 입자크기까지 중구난방으로 갈립니다 

최소한으로 투자하더라도 왼쪽같은 코니컬 버 형태의 제품, 그리고 버 재질이 스테인리스인 cnc 가공된 제품을 구입하세요 

얼마 하냐구요? 한 4만원이면 삽니다 

째째하게 그런걸 어떻게 사냐 한번 사는거 좋은거 사겠다! 좋은게 얼마야! 하시면 한 400만원 합니다.. 


 3. 커피저울을 산다 

커피는 어머니 손맛처럼 냄비에 오징어 볶다가 맛보고 좀 심심하면 고추장 더넣고 매우면 물 더 넣고 할 수가 없습니다. 

한번 망하면 그냥 망한겁니다  

그래서 계량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집에 있는 주방 저울 쓰면 안되는거야? 됩니다 그거라도 쓰면 큰 문제 없습니다 

하지만 결국 커피를 내리다보면 0.x g단위 계량이 안되는 저울이 몹시 답답해지고, 타이머가 안달린 저울에 속이 터집니다. 

저 두 기능을 모두 갖춘 저울이 얼마나 하냐구요? 한 2만원이면 삽니다. 


 4. 전기 드립포트를 산다 

집에 차 끓여먹을 때 쓰던 전기포트 있으시다구요? 축하합니다 

그건 차 끓여 먹을 때 계속 쓰시면 됩니다 

1번에서 원두를 친절한 로스터리에서 샀다면 아마 레시피 카드를 함께 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 레시피카드에는 몇도의 물로 내려야 하는지, 몇십초마다 몇ml의 물을 드리퍼에 부어야 하는지 다정하게 적혀있습니다 

이 물의 온도는 보통 85도에서 95도까지 1도단위로 원두마다 최적의 온도가 적혀있습니다 

즉 1도 단위의 온도조절이 안되는 전기포트를 쓸 생각이라면 100도까지 끓고 꺼진 주전자의 물이 

그 온도가 될 때까지 온도계를 꽂아놓고 기다려야 합니다 그리고 내가 물을 붓는 동안에도 그 물온도는 떨어지고 있겠죠 

또한 집에서 쓰던 전기포트는 물이 나오는 곳, 수구가 그냥 뭉뚝한 새부리모양일겁니다. 그런 수구로는 월드바리스타챔피언도 

자기가 원하는 만큼만 물을 드리퍼에 부을 수 없습니다 왈칵! 쏟아지거든요. 

커피용 드립포트는 구즈넥의 형상을 한 가느다란 수구를 가지고 있어 섬세한 컨트롤이 가능합니다 

1도 단위 온도조절이 되고, 구즈넥의 수구를 가지고 있으며,

전기포트를 사용 후 올려놓으면 설정온도를 유지하는 전기주전자가 얼마냐구요? 한 7만원이면 삽니다. 


 5. 드리퍼와 서버와 필터를 산다 

하리오 v60 드리퍼 서버 세트 사세요 2만원도 안합니다 

그냥 이 세계의 표준 장비라고 보시면 됩니다 괜히 멋부린다고 세라믹이나 유리로 된거 사지 마세요 깨먹습니다 

플라스틱으로 된거 사면 됩니다 


자 그럼 이제 커피를 내려볼까요? 


원두 20g을 저울위에 컵을 올려 계량하세요. 

컵에 다이소에서 파는 분무기로 물을 한방울 정도 칙 뿌려주세요. 

원두를 그라인더에 넣어서 갈아주세요. 분쇄도요? 그라인더 회사가 제시하는 추천 분쇄도로 일단 갈아보세요. 

저울위에 서버위에 드리퍼를 올리고 필터를 접어서 드리퍼에 올려주세요 

레시피 카드에 있는 온도까지 전기드립포트가 물을 끓였나요? 

물을 필터에 전체적으로 적셔주세요 린싱이라고 하는 절차입니다 필터의 종이냄새를 없앤다는데 전 사실 안해도 잘 모르겠어요 

그래도 하고 나면 커피에 정성을 다하는 멋쟁이가 된 기분이 듭니다 린싱한 물은 종이우린 물이니 싱크대에 버려주세요 

갈아놓은 원두를 필터에 부어주고 드리퍼를 살살 흔들어서 평탄화해줍니다 

이제부터 정신 바짝 차리고 

40g의 물을 고르게 돌려가며 부어주고 부풀어오르는 원두를 멍하니 1분간 지켜보세요 

1분이 지나면 80g의 물을 다시 부어주고 떨어져내리는 커피를 멍하니 1분간 지켜보세요 

이제 2분이 지났죠? 40g의 물을 부어주고 2분 40초 정도에 드리퍼를 제거해주세요 

서버에 커피가 좀 적은 것 같다구요? 이 레시피는 가수(추출을 빨리 끝내고 물을 더해 완성)하는 레시피입니다 

110g-120g정도의 물을 추가 후 서버를 빙빙 돌려 잘 섞어주세요 

 * 정인성 바리스타의 484 레시피입니다 커피추출에서 유효한 긍정적인 맛성분의 대부분은 추출 초반부에 나오며,

맛은 신맛 단맛 쓴맛 순으로 추출되기에 후반부를 끊어내서 초보자도 쓰지 않은 커피를 내리기 쉬운 좋은 레시피입니다 

컵에 따른 뒤 입에 부어주세요 아차차 그럼 입천장 다 벗겨집니다 좀 식혀서 드세요 


지금까지 제대로 커피를 내려본 적이 없다면

정말 감동적인 맛일겁니다 

이제 끝없이 장비를 지르면 됩니다 드립하다가 지겨우면 에스프레소 내리는 장비도 사세요

돈 쓰기 좋습니다 


댓글 65 / 1 페이지

BECK님의 댓글

말씀처럼 한 일년 하다가 때려쳤는데
그라인더 오른쪽꺼 샀습니다 ㅠㅠ
근데 커피원두 남은걸로 커피주 담가 먹으니까 좋더군요

BECK님의 댓글의 댓글

@지구님에게 답글 한  3달정도  숙성시키면 적당하니 지금 담궈서 8월쯤 개봉하면 딱 좋습니다
시원하게 해서 한 여름에 캠핑가서 마시면 진짜 좋습니다

국수나냉면님의 댓글의 댓글

@BECK님에게 답글 4년된 커피주 있습니다. 이걸 어쩌나 싶네요. ㅋㅋ
뭘 담그면 방치농법으로 바뀌니.

D다님의 댓글

저는 이렇게 들었네요
1번 1kg에 3만원
2번 15만원(itop03)
3번 3만원 (타임모어 베이직2)
4번 25만원 (브뤼스타 아티산)
5번 4만원 (홀츠클로츠 드립퍼세트 당근)
번외 30만원 (밤비노 플러스 당근)

적고보니 꽤 들었네요;;;

파란하늘님의 댓글

전 그래서 전자동 커피 머신으로 먹고 있습니다.
세상 편안합니다..맛은 좀 떨어지더라도 ㅎㅎ

지구님의 댓글의 댓글

@길을가다가님에게 답글 그라인더 : 하우지안 Hz-cg300 39,000원
커피저울 : 아쿠바 cs-5010 16,000원
드립포트 : 하트만 전기드립포트 (구형 말고 신형 사야 합니다 구형은 5도단위 온도조절 신형은 1도단위) 65,000원

이게 현시점에선 가장 가성비 있는 제품들 같습니다

DdongleK님의 댓글

브레빌 밤비노 처음 나왔을때 구입해서... 계속 잘쓰고있습니다...
귀찮아서 한번 세팅해두고 원두 계속 같은거 주문해먹으니 늘 같은 맛이네요 ㅋㅋㅋㅋ

지구님의 댓글의 댓글

@coldsalt님에게 답글 아닙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귀찮아서 오래 하지도 않습니다 일단 자기가 저 귀찮음을 즐길 수 있는 사람인지 검증한 후에 말코닉을 사는겁니다.. ㅋㅋㅋ

migo님의 댓글

재미나게 잘 쓰시네요. ^^ 커피 생각나는데 밤이라 참습니다. 정성이 들어간 만큼 맛있는 커피를 마시게 되더라구요.

뇩홍시님의 댓글

이런 정성스런 글 너무 좋아요~올해 박이추까페인가 거기 갔는데 드립커피도 다 기계식으로 하길래 뭐 많이 다른가 싶었어요.. 알려주신대로 한번 해보고 싶은 마음이 생겼어요
^^

달려라하니님의 댓글

오늘 커피관련 글들을 보면서
코슷코에서 샀던 전기포트가 커피드립용이란걸 알았습니다.
어쩐지 온도조절이 되고 목이 길고 가늘더니 다 이유가 있었네요ㅎㅎ

카브릴로님의 댓글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만 귀차니즘에 캡슐 커피로 10년 넘게 버티고 있네요.
크레마가 몸에 안 좋다고 해서 드립으로 가야 하나 고민 중입니다

부릎뜨니숲이어쓰님의 댓글

오.... 마침 커피 궁금했는데 정말 자세한 글 감사합니다.
근데 장비를 다 마련하려니 엄두가 안 나는데 캡슐커피는 저런 커피에 비하면 맛이 많이 떨어질까요? 맛이라는게 주관적이긴 하지만 궁금하네요..

지구님의 댓글의 댓글

@부릎뜨니숲이어쓰님에게 답글 아닙니다 캡슐커피도 맛있어요 특히 일리 캡슐커피의 과테말라나 에티오피아는 편의성을 생각할 때 놀라운 맛입니다. 근데 캡슐커피머신도 보통 돈 10만원은 줘야 사고.. 일리 캡슐 한개의 커피함량은 6g정도라 저렇게 내려먹는 커피와 비슷하게 내리려면 사실 3캡슐을 소비해야 합니다. 그럼 캡슐값만 한잔에 2천원 꼴이죠.. 원두를 사서 내려먹으면 20g에 2천원짜리 원두면.. 아주 하이엔드는 아니어도 제법 근사한 원두를 살 수 있습니다.

부릎뜨니숲이어쓰님의 댓글의 댓글

@지구님에게 답글 헐...그렇군요 ㄷㄷㄷ 덜컥 주문했으면 후회했겠네요. 댓글 감사합니다 ㄷㄷㄷ

degi님의 댓글

안그래도 가끔보던 유튜버 분이 같은 주제로 올린 영상이 있어서 슬쩍 추가해 봅니다~
(이미 사용중인 제품이 있어서 - 핸드그라인더,전기포트 - 뭔가 반갑더라구요~)
https://youtu.be/e7ixWta41Go

요즘은 게을러져서인지 클레버라는 제품으로 뚝딱 내려먹는중이네요~

지구님의 댓글의 댓글

@degi님에게 답글 아마 홀츠클로츠 E80 나오면서 만든 영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
저도 e80 2대나 사서 주변에 선물로 돌렸습니다

백곰th님의 댓글

저는 집에는 니체 미크라를 쓰지만 ..
입문용 밀리타 아로마보이 +알리 k6그라인더 세트도 가성비로 좋은거 같습니다.
캠핑가서도 가볍게 편하게 가져가고 드립 테크닉도 없어도 되고 조합이 편하고 좋더라구요 ㅎㅎ

티슈님의 댓글

저렴한 타임모어 그라인더 쓰고있는데 10만원초반대 또는 그 이상의 그라인더와 차이가 많이날까요??

PINECASTLE님의 댓글

귀찮아서 그냥 갈아놓은 거 사먹는데, 덕분에 한 번 도전해 볼 생각이 들어서 감사한 마음에 남깁니다.

칼쓰뎅님의 댓글

저렴하게 입문하시는분들께는 커피내리는 기기는 에어로프레스 강추합니다.
브루잉처럼 자연스럽게 내릴수도 있고 공기압을 통해서 진하게 내릴수도 있습니다.
가격도 5만원입니다.

저렴하지만 맛은 결코 저렴하지않은 녀석입니다.

국수나냉면님의 댓글

카페 뮤제오에서 v60 스뎅 샀는데 도착해서 보니 왤케 못생겼죠? ㅋㅋㅋㅋ
와아. 본문이 정석에 +정성이라서 강추드립니다.

지낭님의 댓글

지구님 홈카페 그라인더들 심상치 않더니 이런 친절한 글까지 너무 좋습니다. 👍
이런 정성 글은 추천합니다. ( ⁎ᵕᴗᵕ⁎ )

LazyComeng님의 댓글

시작은 네스프레소머신이었는데..실력은 쥐뿔도 없으면서 이런저런 차이도 조금씩 느끼게 되고 취향도 찾아가면서..코만단테와 펠로우ekg, 블루보틀 드리퍼(이건 선물받은 걸 그냥 그대로 쓰고 있네요) 조합으로 커피 즐기고 있네요. 그러고보니 프렌치프레스도 하나 있고 테크니봄 모카마스터도 한 대 있고 뭐 많이도 질렀...

삼학년삼반님의 댓글

아내가 커피를 좋아하는데, 두고두고 읽어보면 도움이 될 것 같아 스크랩해 갑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

코끼리야님의 댓글

좋은 글이네요. 저는 더 저렴하게 시작했다가 요즘은 가변압 에스프레소 추출에 물의 경도까지 따지는 환자가 되었습니다. 정말 재밌고 맛있는데 나이들면 캡슐과 드립 기구들만 남길 것 같네요.
전자동은 위생 문제로 고려하지 않고 있습니다.

bittercocoa님의 댓글

커피는 좋아해서... 이것저것 다 하다가...
결국 머신으로....집에는 필립스...
회사에는 드롱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떼레레님의 댓글

커피를 너무 좋아해서 드립해먹다가.. 전자동에 일단 정착했습니다. 다음엔 왠지 모카포트 아니면 반자동으로 갈거 같아요.

달2님의 댓글

전 드립커피는 어려울것 같아서 모카포트 사서 해먹었었어요. 커피도 직접 볶아서 해먹었었구요.
맛은 잘 모르겠고 하는 과정이 재밌었습니다.
검색 25 / 1 페이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