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모앙운영구조(가칭) 관련 제언입니다. 많은 고견과 논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페이지 정보

분류 지혜의보고
863 조회
13 댓글
7 추천

본문

유사한 난민 피난처에서 다모앙을 많이들 찾아주시는 건 사이트를 만들기 위해 크게 힘써주신 제작자와 유저분들 덕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이제 회원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 같은데 여러가지 부분에서 운영구조에 대한 논의점이 많을 것이라 사료됩니다.
제가 잘난 사람도 아니라 몇가지 사항만 덜렁 제언해봅니다. 저보다 훌륭하신 분들(IT현직, 변호사 등)이 많고, 아마 다른 유저분들도 각자의 방안이 더 있으시니 함께 논의하면 더 좋은 부분이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1. 국가로 치면 통치구조, 회사로 치면 지배구조를 생각해보아야 할 부분 인 것 같습니다.

 - 현재 난민 사태의 발생원인을 생각했을 때, 1인이 소유 + 소수인원회의 문제였던 것 같습니다.
 - 유저분들도 이 점에서 다모앙도 어떻게 굴러갈지 지켜보겠다는 분들이 계십니다. 물론 초기시작단계죠.
 - 협동조합이라는 제도를 이용하면 조합원으로써 함께 출자하고, 운영 등을 합리적으로 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지만 협동조합 기본법에 따라 행위제한사항이 특별히 명시되는 등 문제가 많습니다.
 - 그래서 한다면 일반적인 법인 형태​로 하되, 다모앙 유저 분들이 십시일반하여 설립동지회? 같이 주주로 하시는 방법도 생각해보고..
 - 정답은 ​없습니다. 운영위원회로 만들어도 되고요. 모두가 합유하는 것이 좋은지 어떻게 하면 좋은지 의견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저는 그냥 툭 던져놓는 제안만 하는 것이지 다모앙 제작자분과 모든 분들의 노력을 뺏자 이런 말은 아닙니다. 세상은 노력하신 만큼 보상도 확실해야하고 함께 잘 살자는 의미니까요.

2. 사이트 운영비용 관련

 - 사이버 공간이여도 사람이 지내는데 당장 다모앙 탄생과정만 보더라도 제작자분과 함께 노력해주신 유저분들에 대한 정당한 보상도 해드려야 하구요. 당장 막대한 서버비용(저는 IT관련을 잘 모르지만.. 관련비용이 있을 것 같습니다. 에드센스도 신청하셨다고..) 부담도 있을 것 같습니다. 수익창출을 하되 회계관련도 투명하게 공개할 수도 있고, 잉여금 문제도 있고요.
 - 당장 모금하자는 분들도 계시는 것 같구요. 저도 기여하고 싶습니다.
 - 돈이야기는 조심스럽지만 많은 분들이 의견 주실 것 같습니다.

그냥 생산적으로 토의해보는게 좋은 도움이 될 것 같아서 비루하나마 말씀드려봅니다.
저도 2015년부터 끌량에 있었었고, 초라한 활동(?)이었지만 안타깝네요 지금까지도요.
다른 더 오래 활동하신 분들이나 훌륭하신 분들이 많이 토의해주셨으면 합니다. 
다시 한번 생업중에도 열정을 쏟아주신 다모앙 제작자님과 이를 위해 노력해주신 유저분들께 감사드립니다.

 

6f85794ef556873ef1533d9cc8a1a2e0_1711694224_9445.JPG 

댓글 13 / 1 페이지

스누피님의 댓글

당장은 급한 돈을 회원들 기부로 모아 정리를 하고 이 사이트 처음 만드신 분도 생업이 있을테니 시간을 좀 드리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위에 주신 제안은 좋은 의견 같습니다.

무구정광님의 댓글의 댓글

@스누피님에게 답글 네네 일단 법인화 구조인지 협동조합인지는 중요한게 아니죠 급한불부터 끄되 단계적으로 거버넌스 게시판에서 생산적인 토론이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고견 많이 주세요. 게시판 운영 규칙같은 것도 논의가 활발했으면 합니다.

노말피플님의 댓글

저도 투표 기능 도입을 찬성합니다. 투표라는 것은 역기능 (현 정부 사태 ㅎㅎ)도 존재하지만 과정일 수 있고, 의견은 반영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최선 혹은 차악의 방법은 현실적으로 투표나 독재 밖에 없습니다. 무엇을 택하겠습니까?ㅎ ㅎ

비하군님의 댓글

어느정도 안정화가 되면 클리앙에서 테라포밍을 막는데 효과적이였던 장치들(가입후 바로 게시글 못쓰는 정책, 메모 등)들은 계승을 해서 도입하면 좋겠습니다.

우리요다이티님의 댓글

다들 후원계좌 열리기만 기다리고 계실거에요....ㅋ_ㅋ 급한불 끄고 주식회사로 전환 주주로 참여하고 싶습니다.

Browneyes님의 댓글

우선 바로 필요한 돈이 있으니 조건 없는 크라우드 펀딩을 먼저 하는 게 낫지 않을까요?
돈 없어서 몇 일 못가서 없어지는 건 원치 않아요.....

꾼주재은숨님의 댓글

거버넌스게시판 이름이 참 마음에 듭니다.

현 상황에서 법인의 형태에 대한 논의는 시기상조라고 봅니다.
우선 당장 필요한 비용(서버 등)에대한 대처를 해야 한다고 봅니다.

그 이후 정리가 되면 법인의 형태를 고민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법인의 형태에 대한 논의도 하루이틀 걸릴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무구정광님의 댓글의 댓글

@꾼주재은숨님에게 답글 네. 그래서 추가 글로 후원계좌 관련 의견 작성을 많은 분들이 해주시고 계세요. 운영자님이 게시판을 참고하실 것 같습니다.

JiniKim님의 댓글

법인의 형태는 조금 더 시간이 지나고 공론화가 된 이후라도 늦지 않구요 우선 개발비용이나 운영 비용 충당하는 거와 어떻게 운영을 할지 중립적이고 모두에게 합리적인 그런 운영이 되길 바라고 후원계좌나 장터 그리고 비용 충당을 위한 광고 연계등등이 고려 되어야 하지 않을 까요

무구정광님의 댓글의 댓글

@JiniKim님에게 답글 이 글은 거버넌스 게시판 이전에 제안드린 게시물을 옮겨 놓은 것이구요. 많은 분들의 의견을 받아 게시번호 6번에 후원계좌 관련 글을 바로 올렸습니다. 일단 비용충당이 급선무라는 다수의견이 있으니까요. 감사합니다.
검색 6 / 1 페이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