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준비] #1. 은퇴 후 생활비

페이지 정보

3,694 조회
31 댓글
26 추천

본문

안녕하세요.

어느덧 나이가 들다보니 미래가 걱정이 되더라구요.

직업이 안정성이 높은분들은 괜찮겠지만, 그렇지 않은분들은 지금부터라도 준비를 해야할 것 같습니다.

검색만 해봐도 연금준비하는방법이 많지만, 미래를 위해 생각해볼 주제여서 간단히 정리해보았습니다.

1. 은퇴 후 필요한 생활비

부부 기준으로 자신만의 기준을 수립하고 그에 필요한 생활비를 결정합니다.

  • 월 200만원? 먹고사는 수준
  • 월 300만원? 국내여행 1~2번하는 수준
  • 월 400만원? 해외여행 1번하는 수준
  • 월 500만원? 해외여행도 하고 손주 학원비도 보탤 수 있는 수준

2. 은퇴 전/후 목돈 준비

살면서 여러 이벤트가 발생하기 때문에 예상이벤트를 정리하고 필요한 목돈을 준비할 방법을 찾습니다.

년도별 이벤트를 엑셀에 정리하면 더 좋습니다.

  • 부부
    • 자동차 구입 (//년, //원)
    • 결혼 기념일 여행
    • 병원비
  • 자녀
    • 학자금
    • 결혼 자금
  • 부모님
    • 용돈
    • 병원비
    • 장례비

3. 노후준비 국민연금만으로 가능할까?

현재기준으로 약150만원 정도 될것 같은데, 이 금액으로 앞의 1번의 노후자금으로 충분하면 더 준비할 필요없으나 내가 필요한 금액이 400만원이라고 하면 250만원을 추가 연금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4. 선진국형 3층연금 + 1계층 더 건축하기

아래의 4개층으로 튼튼하게 연금을 설계해야합니다.

1층: 국민연금

2층: 퇴직연금 (퇴직금 DC/DB)

3층: 개인연금 (개인연금, 개인형퇴직연금IRP)

4층: 배당금, 주택연금 등

1번에 내가 필요연금을 4백만원이라고 수립했다면, 국민연금~주택연금까지 합해서 연금을 만들면 됩니다.

예) 국민연금 150만원 + 퇴직연금 60만원 + 개인연금 50만원 + 주택연금/배당금 140만원 = 총400만원

국민연금 받을때까지 직장을 다닐실수 있는분은 위의처럼 만들면 아무런 걱정이 없을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내가 예상보다 일찍 퇴직하고 목돈이 필요한 이벤트가 많을수도 있기때문에 노후준비를 철저히 해야합니다.

결론은

  • 첫째, 노후준비에 필요한 금액 설정
  • 둘째, 퇴직연금/개인 연금 예상치 분석 연금 계획 재수립
  • 셋째, 재수립계획에 맞쳐서 꾸준히 투자하기


3552195278_3gLd9Ei5_798a20426212afb589c403d819e88c831e560e33.png(그림 출처: 고용노동부)

3552195278_fygGQlqr_787405f3aabbfa003fb5876597317e9a7f545797.png

(그림출처: 한국주택금융공사)

p.s. 예상 연금

1층은 국민연금 https://www.nps.or.kr/jsppage/app/etc/simpleExpect.jsp

4층의 주택연금은 https://www.hf.go.kr/ko/sub03/sub03_02_02.do

연금들 모아서 보는 방법은 나라에서 운영하는 연금 포털 또는 토스등의 금융앱을 이용하면 됩니다.

https://www.fss.or.kr/fss/lifeplan/lifeplanIndex/index.do?menuNo=201101


[이 게시물은 sdk님에 의해 2024-04-15 21:18:50 사용기에서 이동 됨]

댓글 31 / 1 페이지

자손김님의 댓글의 댓글

@줗은날왔으면님에게 답글 내가 필요한 노후연금이 얼마냐가 먼저일꺼 같습니다. 어떤사람은 200만원이면 되고, 어떤사람은 500만원이 필요할 수 있으니까요.
1층은 국민연금 https://www.nps.or.kr/jsppage/app/etc/simpleExpect.jsp
4층의 주택연금은 https://www.hf.go.kr/ko/sub03/sub03_02_02.do

연금들 모아서 보는 방법은 나라에서 운영하는 연금 포털 또는 토스등의 금융앱을 이용하면 됩니다.
https://www.fss.or.kr/fss/lifeplan/lifeplanIndex/index.do?menuNo=201101

xxbox님의 댓글

예외는 어디나 존재하긴하지만 보통 75세가 넘어가면 여행다니기가 쉽지는 않더라고요.
80 넘어서는 애들이 데려가는게 아님 거의 불가능한..
대략 60세부터 70세까지 많이 다니시더라고요.
50세가 넘어간가면 부모님이나 친척들 참고해서
나이대별로 세분화해서 계획을 세워보는것도 좋더라고요.
80세이상부터는 생활비가 진짜 급격하게 줄더라고요.

하늘기억님의 댓글

오. 저도 최근에 생각을 많이해서 정리를 많이 해봤는데,
예상이벤트는 미처 생각을 못해봤네요.
물론 저는 월 550만원으로 어림잡아 해보긴 했습니다.

하늘기억님의 댓글의 댓글

@자손김님에게 답글 글보고 좀더 꼼꼼하게 계산해봐야겠네요.
아내랑 저랑 둘다 국민 연금이 있고,
제 실손보험은 2세대 80세까지라,
우스겟소리로 80세 제 생일 전날에 같이 죽자고 하긴 했네요.

시니7님의 댓글

인구급감으로 인해서 국민연금이 제대로 나올지 항상 의문인데
이에 대해 뭘 어떻게 알아봐야할지도 몰라 방황하네요.
그리고 위에 금액인 인당인가요 아니면 부부 기준인가요?

자손김님의 댓글의 댓글

@시니7님에게 답글 그렇기 때문에 나라에서 개인연금 권장하고 세액공제하는거라 생각합니다. 니들 노후는 니들이 책임져.  부부기준이긴하지만 노후생활비는 가정마다 다 다를것 같습니다.

자손김님의 댓글의 댓글

@히어로즈님에게 답글 맞습니다. 노후준비 2편으로 생애주기표 작성을 간단히 정리해서 올릴예정입니다.

나무플러스님의 댓글

국민연금은 현재일 기준으로 65세에 받을 수 있는것 같은데, 다들 은퇴는 몇세로 생각하시는지? 55세 정도 은퇴 생각하는지? 아니면 60세를 은퇴 나이로 생각하시는지...
은퇴하면 막상 뭘 하고 놀아야 하는지. 생활해야 하는지...그것도 고민이긴 하겠네요..

나무플러스님의 댓글의 댓글

@자손김님에게 답글 아.그러네요..소득이 줄어드는 구간과 소비와의 상관관계를 봐야 겠습니다.
사교육비가 엄청나서..사교육비만 줄어도 소비가 엄청 줄어들 것 같긴 한데..

911카브리올레님의 댓글

좋은 글 감사합니다! 마침 지름신과 싸움중인데 도움이 많이 되네요!
좀더 전략적으로 준비해야겠습니다.

거친날개님의 댓글

좋은 글 감사합니다.
안 그래도 요즘 연금 저축 펀드, 배당금 등 관심 갖고 공부하고 있는데 도움이 많이 되네요!
전체 259 / 1 페이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