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D와 치매

페이지 정보

1,581 조회
28 댓글
58 추천

본문

전에 클리앙에 썼던 글 중에서 하나 연습용으로 올려봅니다.

============

최근에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이 실패로 끝나면서 많은 분들이 실망을 하셨습니다. 저도 마찬가지구요.

이전에 중국쪽에서 개발했던oligomannate (GV-971)에 대한 것은 댓글로 말씀드렸던 바가 있기는 했었습니다.

https://biopharma.media/oligomannate-finally-new-drug-to-treat-alzheimers-disease-426/

대략, 36주 정도 복용후에 알츠하이머에 유의성 있는 개선을 보인바 있다고 합니다.

https://www.greenvalleypharma.com/En/index/pageView/catid/48/id/6.html

이 물질에 대한 대규모 임상 실험이 미국에서 계획되고 있으며, 참여자를 모집하고 있기도 합니다.

https://www.beingpatient.com/alzheimers-seaweed-drug-oligomannate-clinical-trial/

오늘은 이와 별개로비타민 D의 섭취가 치매의 위험을 줄여준다는 논문이 하나 발표되어서 간단하게 리뷰해 드릴까 합니다.

어제 (3/1) 날짜로 발표된 논문이구요, 원문은 아래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alz-journals.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dad2.12404

[연구개요]

National Alzheimer's Coordinating Center(NACC)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 2005~2021년 사이의 44,713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습니다. 이중에서 여러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데이터를 제외하였고, 최종적으로 12,388명을 분석에 이용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본문 Figure 1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본문 Table 1에는 분석한 데이터들의 구성이 명시되어 있는데, 분석 그룹 사이의 구성이 비슷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비타민 D를 섭취한 그룹에서 여성의 비율이 좀 더 높았습니다. (46.9% vs 70.5%)

[결과]

6c5d1-661db95d28718-26cd83d1fbbfaec9e4d14287b673c19a9b44b2ac.jpg

 

먼저 그래프 (A)를 보시면,5년 치매 예방율이비타민 D 미섭취자는 68.4%(95% CI: 67.1%–69.7%),비타민 D 섭취자는 83.6%(95% CI: 82.3%–84.9%) 였습니다.10년 이후 치매가 발생한 사람 2,696명을 살펴본 결과 2,017명 (74.8%)이 비타민 D를 섭취하지 않은 사람이었고, 679명 (25.2%)은 비타민 D를 섭취한 사람이었습니다. 결론적으로비타민 D의 섭취는 10년 치매 발생 위험을 40% 줄여줬다고 합니다 (HR = 0.60, 95% CI: 0.55–0.65,p< 0.001).

(B)를 보시면, 성별로는 여성쪽에서 치매 위험도가 1.12로 남성보다 조금 높았고, 인종적으로는 흑인이 0.59로 치매 발생율이 적었습니다. 아무래도인지장애가 있는 사람에게서 치매 위험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구요,우울증을 가진 사람이 치매 발생 위험도가 1.35로 꽤 높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유전적으로는APOEe4유전자를 가진 사람에게서 1.83으로 높은 위험성을 보였다고 합니다. APOEe4는 뇌신경세포의 파괴와 타우 단백질 덩어리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Table 2에 제시된 데이터에 의하면, APOEe4유전자를 가진 사람이 비타민 D를 섭취할 경우 치매 발생 위험율은 33% 낮아진다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인지장애가 있는 사람은 33%, 우울증이 있는 사람은 31% 낮아진다고 합니다.

치매 환자 데이터를 분석한 논문이어서 실제 임상 테스트와는 좀 차이가 있겠지만, 대규모 데이터를 통해서 관찰한 결과는 비타민 D 섭취가 치매에 도움이 되는 것은 분명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끝으로, 이 논문의 초록 부분을 chatGPT로 번역해 봤습니다.

------------------------------

요약

서론

비타민 D 결핍과 인지 장애 사이의 관련성에도 불구하고 보충제의 역할은 명확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전망적으로 National Alzheimer's Coordinating Center의 12,388 명의 인지 장애가 없는 사람들 사이에서 비타민 D 보충과 인지 장애 사이의 관련성을 탐구했습니다.

방법

기준선에서의 비타민 D 노출은 D +로 간주되었으며, 인지 장애 발생 이전에 노출되지 않은 것은 D−로 간주되었습니다. Kaplan-Meier 곡선은 그룹 간 인지 장애 없는 생존을 비교했습니다. Cox 모델은 나이, 성별, 교육, 인종, 인지 진단, 우울증 및 apolipoprotein E (APOE) ε4을 조정한 그룹 간 인지 장애 발생률을 평가했습니다. 민감도 분석에서는 각 비타민 D 제형에 대한 발생률을 검토했습니다. 노출과 모델 공변량 간의 잠재적 상호작용을 탐구했습니다.

결과

모든 제형에서 비타민 D 노출은 노출이 없는 경우보다 유의하게 긴 인지 장애 없는 생존과 낮은 인지 장애 발생률과 관련이 있었습니다(위험비=0.60, 95% 신뢰구간: 0.55-0.65). 비타민 D의 발생률에 대한 효과는 성별, 인지 상태 및 APOE ε4 상태의 계층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습니다.

논의

비타민 D는 인지 장애 예방에 잠재적인 요인일 수 있습니다.

하이라이트

  • 전향적 코호트 연구에서, 우리는 국립 알츠하이머 조정 센터 데이터셋으로부터 12,388명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비타민 D가 치매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습니다.
  • 비타민 D 노출은 비노출 대비 치매 발생률이 40% 낮았습니다.
  • 비타민 D 효과는 남성보다 여성, 경도 인지 장애보다 정상 인지와 유전자형이 Apolipoprotein E ε4 비보유자와 비교했을 때 유전자형이 Apolipoprotein E ε4 보유자에서 더욱 유의미하였습니다.
  • 비타민 D는 높은 위험군에서 치매 예방에 대한 잠재력이 있습니다.


요약)

1. 치매 치료제로 oligomannate가 중국에서 임상테스트되었고, 미국에서 대규모 임상 테스트를 준비하고 있다.

2. 비타민 D의 섭취는 10년 치매 발병 위험도를 40% 감소시켰다. (5년 치매 예방율은 비타민 D 미섭취자 68.4%, 비타민 D 섭취자는 83.6% 이었다.)

3. APOEe4 유전자를 가진 사람, 인지장애를 가진 사람, 우울증을 가진 사람들이 치매 발병 위험이 높았으며, 이들이 비타민 D를 섭취할 경우 치매 발병율이 약 31~33% 감소되었다.

 

(추가) 비타민 D는 면역 기능 정상화에도 깊이 관여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과도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고, 감소된 면역력을 끌어 올려줍니다. 관련 문서는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https://www.cdc.gov/nutrition/micronutrient-malnutrition/micronutrients/index.html#vitamind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738984/

한편, 미 FDA에서 권고하는 비타민 D의 일일 섭취 권고량과 제한량은 아래와 같습니다.

6c5d1-661dba3634f19-1a8dfa805c7c9fedf83cc28192185e1ac424bbba.jpg

6c5d1-661dba4a2a24b-14c4fb906c3f5d4c67ab0641ede3eb2bf9d25493.jpg

(댓글에 있었던 정보들)

1. (아토피에) 비타민 D3가 도움이 분명히 되실 겁니다. 그러나, 증상이 심하시면 듀피젠트나 아니면 옵젤루라 크림 같은 Jak 억제제를 사용하시면 부작용 거의 없이 효과적으로 관리되실 겁니다. 피부과 선생님과 상의하시면 좋은 치료제를 골라 주실 것으로 생각합니다. (건선에) 비타민 D3 크림이 있는데 이것도 꽤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기타 살리실산 크림도 염증반응을 낮춰줘서 도움이 되구요, 역청(coal tar)이라고, 과거 철도 침목에 바르던 것이 있는데요, 이게 피부 아래 있는 면역세포 (주로 마크로파지)를 죽여서 건선부위에 바르면 면역반응을 줄여줘서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냄새가 좀 좋지 못해서 저희 아이는 잘 안 바르려고 하더라구요. (추가 정보) 최근 건선이 조금 있는 저희 아들은 Jak 억제제 연고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건선 부위에 하루 1~2회 정도 바르는데, 3일 정도면 거의 사라지고, 같은 부위에는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냄새도 없고, 스테로이드가 아니어서 좀 편안한 마음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직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임상 연구는 많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기억해야 할 이름들 : 정형식, 성창호, 송경호, 정준영, 임정엽, 이동원, 엄상필, 천대엽, 조재연, 민유숙, 김세용 영장전담, 김상우 영장전담, 이준철, 조병구

댓글 28 / 1 페이지

고약상자님의 댓글

다모앙에 연습 삼아서 지난 글 하나 올려 봅니다. 전에 클리앙에서 보셨던 글 그대로 입니다. 업데이트된 내용은 없습니다.

thatsokei님의 댓글

코로나 시기에 정말 도움이 많이 되었던 고약상자님 반갑습니다. 비타민D 정보도 상당히 흥미로운 결과입니다.

Pazz님의 댓글

고약상자님 반갑습니다! 수고스럽겠지만 클량에 올렸던 강좌 여기다가 옮겨서 다시 올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올라오는건 하나도 안빼고 다 잘 보고 스크랩했었는데 글이 다 지워져서 너무 아쉬웠거든요~

고약상자님의 댓글의 댓글

@Pazz님에게 답글 @미토 이미 보신 글이라서 새로운 내용이 아니라서 의미가 있을런지 모르겠습니다. Jeff님이 만들어 주신 유틸로 백업해 두긴 했습니다.

인생자전거타기님의 댓글의 댓글

@고약상자님에게 답글 저도 ㅋㄹㅇ에 스크랩한거 다 날려서 아쉬웠는데 지난글 다모앙에 올려주시면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미토님의 댓글

정말 많이 도움 되었던 글이 었습니다. 정보에서 자게 고견 까지 너무 감사드립니다. 강좌 다 옮겨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삭제된 이모지)

데카르나시온님의 댓글

너무 잘읽었습니다. 비타민 D를 2000~4000IU 함량을 가족이 꾸준히 먹고 있는데, 왠지 잘하고 있는 것 같아요 ㅎ

쪽빛아람님의 댓글

클량에선 못본 글인데 덕분에 볼 수 있었습니다.

비타민D가 좋긴 한데, 섭취 한계가 있는 성분이라 무작정 먹을 일도 아니네요.
70세 이전 성인이면 600IU, 70세 이상이면 800IU 정도 섭취하면 한계치 넘을 가능성은 거의 없겠죠? ㅎㅎ

고약상자님의 댓글의 댓글

@쪽빛아람님에게 답글 보통 하루 2000iu 이하면 괜찮다고 많이 알려져 있고, 신장 질환이 있는 경우는 좀 더 낮춰서 먹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Crosby님의 댓글

안녕하세요. 방갑습니다. 클리앙에서 제가 댓글 적었던 부문이 있어서 그림으로 첨부하네요. 파킨스 병은 치매보다 앞으로 치료가능한 신약이 많이 등장할 듯 보이네요. 저는 클리앙에서 어처구니 없게도 가족분이 만든걸 이중이디로 신고당해서.. 30년간 활동정지 받았습니다.  ^_^

날마다너네상수님의 댓글

클리앙에서 보았던 자료를 다모앙에서 다시 보게되어 반갑습니다.

자료를 게시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배불뚝이아저씨님의 댓글

와 천단위의 표본 연구 결과라면 굉장히 유의미한듯 합니다. 비타민 D는 꼭 섭취해야겠어요 ㄷㄷㄷ

고약상자님의 댓글의 댓글

@배불뚝이아저씨님에게 답글 저도 님의 말씀에 동의합니다. 명확하게 수치로 말씀드리는 것은 좀 무리가 있을 수 있지만, 충분히 도움이 된다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저희 가족들도 모두 매일 열심히 매일 먹고 있습니다. 아이들은 면역 시스템에 도움을 주는 목적으로, 어른들은 치매에 도움을 주는 목적으로 복용하고 있습니다.

고약상자님의 댓글의 댓글

@강물처럼님에게 답글 어차피 보충제라서 안 드셔도 큰 문제는 없으실 겁니다. 음식을 통해서도 어느 정도 흡수도 가능하구요.
다만,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 뭐 좋은 게 없을까? 하실 때, 비타민 D3가 가장 과학적인 선택일 것이라는 정보를 드리는 것일 뿐입니다. 그 정도로 이해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thoracic0pain님의 댓글의 댓글

@강물처럼님에게 답글 대부분은 새로운 연구결과에 따라서 유행처럼 나오는 것도 있겠습니다만
지식 공유 목적의 글이니 좀 더 부드럽게 생각해보시는거 어떨지 싶습니다.

피키대디님의 댓글의 댓글

@강물처럼님에게 답글 D3는 그런거랑 상관없어요.
부족하시다면 꼭 드셔야 합니다.

만성피로가 있다면 일주일만 먹어도 확 달라지고요.
거친 피부도 어느 정도 개선됩니다.
저희 가족 모두 건강이 안좋았는데 큰 효과를 봤어요.

그리고 제일 좋은건 비타민 제품중에 D3가 가장 저렴해요 ^^
전체 259 / 1 페이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