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비 인하 흐름에 중저가 요금제 '붐'...달갑잖은 이통사

페이지 정보

2,404 조회
4 댓글
3 추천

본문

최근 국내 5세대 이동통신(5G) 가입자들이 데이터 무제한 고가 요금제에서 중저가 요금제로 갈아타는 현상이 확대됐다. 통신사업자의 무선 매출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5G 수익성 하락이 예고되면서 이통 3사는 고심에 빠졌다. 

1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5G 무제한 요금제 가입자 비중은 전체에서 31.3%를 차지했다. 2022년 6월 46%와 비교해 14.7%포인트(p)나 감소한 수준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달 말 발표한 '가계통신비 부담 완화 정책 추진현황·향후계획' 자료를 보면, 올 2월 현재 이통 3사 중저가 요금제를 선택한 이용자는 621만명을 돌파해 5G 전체 가입자의 19%를 넘어섰다. 과기정통부는 장기적으로 1400만명 이상 국민에게 연간 5300억원 수준의 가계통신비 절감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현상은 생활물가 상승과 정부의 국민 가계통신비 부담 완화 정책이 맞물려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이통 3사가 데이터 중간 구간(20~100기가바이트·GB)을 신설하고, 월 4만원대 중후반이었던 5G 요금 최저구간을 최대 1만원 낮추도록 독려해 왔다. 고물가 시대에 가계통신비를 줄여 이용자 부담을 줄여주겠다는 취지다. 

(후략)

댓글 4 / 1 페이지

담배가게삼촌님의 댓글의 댓글

@로얄밀꾸님에게 답글 '마법의 짤방 나와주세요'
'대령이오'
저는 이런 댓글들 때문에 커뮤하는거 같아요. ㅋㅋㅋ

masquerade님의 댓글

MVNO 요금제가 MNO 에 좌우되기는 하지만

그래도 MVNO 는 요금제가 나름 촘촘히 갖춰져 있습니다. (MNO에서 파는 것들 도매 나와서 .... 뻔하게 구성한다고 하더라두요)

MNO 요금제 는..비싼건 둘째치고라도 좀 더 촘촘히 깔아아 하는게 맞아요. 양심이 있으면...  정부도..가격 직접 압박은 못하더라도.....촘촘하게 하도록은 강제 해야 합니다.
검색 32 / 1 페이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