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최근접' 김빛내리 교수, "재료비 부족, 10월이면 일부 연구 포기할 판"

페이지 정보

2,351 조회
13 댓글
17 추천

본문

a77fe-6621c84194ce0-40866f8454b87eff98f93cd322d1a0bef9bc8ba2.jpg

 

대한민국 생명과학계의 권위자인 서울대학교 김빛내리 석학교수가 연구비 부족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10월쯤 재료비가 떨어지면 어떤 연구를 중단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작년에 정부의 갑작스런 연구개발(R&D) 예산삭감으로 인해 연구실 운영에 어려움이 생겼다고 언급했다.

 

"예산 때문에 오는 여름 인턴을 원하는 수많은 지원자들에게 거절 메일을 보내야할 생각을 하면 아찔하다"

 

김 교수는 연구비 부족 문제는 국내 대다수 연구 책임자들이 겪고 있는 고민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상황은 과학기술 분야의 활성화를 저해하고 예측 가능성을 줄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예산이 복구되더라도 신뢰 회복까지는 오랜시간이 걸린다며, 예산삭감이 후배들의 진로 선택에 영향이 미치지 않길 바라며, 안정적으로 연구를 지속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공계 석박사 과정 규모 축소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일부 대학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학교에서 석박사 학생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는 의대 집중 현상을 더욱 가속화할 수 있다.

 

김빛내리 교수는

내적 동기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연구자 주도형 다년제 과제의 안정적 지원, 전폭적인 장학사업 지원, 우수 유학생 영입을 위한 인프라 구축, 전문연구요원 제도 유지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같은 지원이 연구자들이 본질에 다가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

기사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조해 주세요.

    무기력과 냉소에 맞서는 용기
    ¯\_( ͡° ͜ʖ ͡°)_/¯ 대동세상 ♥

    ezgif-1-9cf769b9c8

    다모앙에서 2024.3.29

댓글 13 / 1 페이지

Dozen님의 댓글

유명하신 과학자분인걸로 아는데 저런 분들도 저러면 이제 막 시작하는 분들은 어떨지 짐작이 가네요

짬타이거님의 댓글

저희도 재료비 줄이고 인건비 우선으로 갑니다. 도저히 멀쩡히 일하는 사람 인건비를 줄이거나 자를 수가 없습니다 ㅠ

블루지님의 댓글

이런 국가 R&D 상황에서는 어떻게든 예산이 지원되더라도
성공못하고 실패하거나 삽질하고 맨땅에 헤딩해가면서 나올만한 그런 큰 결과물은
진짜 기대할수가 없겠네요..

팡파파팡님의 댓글

예견된 미래였다는게 참 분하고 억울하네요

이 모든게 자기가 추앙하는 일본에게 선두를 내주기 위한 계획일지도 모른단 생각 마저도 드네요
전체 1,536 / 1 페이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