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니·임플란트 外 '제3의 선택지' 치아 자라는 약 개발

페이지 정보

분류 과학
1,733 조회
2 댓글
3 추천

본문


셔터스톡

셔터스톡


치아를 자라게 하는 약이 일본 연구진에 의해 개발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기타노병원과 제약벤처 '트레젬 바이오파마'는 선천성 무치증 환자의 치아를 자라게 하는 약을 개발했다. 이들은 오는 2030년 출시를 목표로 오는 9월 임상시험에 돌입한다.

선천성 무치증은 선천적으로 치아가 적게 나는 병이다. 사랑니를 제외한 치아 28개 중 6개 이상이 부족한 경우 선전성 무치증일 가능성이 있다. 이럴 경우 식사가 어렵고 턱 발달에 문제를 보여 생활에 불편을 주는 경우가 많다. 기존에는 틀니, 임플란트 시술을 진행했다. 

연구진은 치아 성장을 억제하는 단백질 'USAG-1'가 작용하는 원리에 주목해 이를 억제하는 약을 개발했다. 

개발된 약은 쥐나 개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턱뼈 안에 있는 치아 싹을 움직여 치아를 자라게 하는 데 성공했다.

[중략]

댓글 2 / 1 페이지

초보아찌님의 댓글

우선 좌우 상하악에 치아 종류가 28개 입니다. 그중 2개는 동일 할 수 있고 좌우 대칭이니 돌려 쓸 수 있다면 대충 13가지가 필요합니다.
거기에 치아 사이즈가 각각입니다.
그렇다면 치배 종류만 수백가지 이상이 되겠네요.
치아가 빠진 공간에 딱 맞게 자라지 않는다면 결국 치열이 흐트러 지게 되면 교정이 들어가야합니다.
환자에게서 직접 치배를 만들어 낸다면 모를까(그것도 교정이 필요없는 일부 환자만 유용하겠네요)
지금 당장 발표된 사실만으로는 갈길이 상당히 멀어 보입니다.
거기다 치아가 자라는 기간이 수년입니다
그 기간을 줄일 수 있는지, 사이즈는 맞출 수 있는지, 돌출하는 방향도 정할 수  있는지에 따라 실제 사용 가능이 갈라지겠네요.

10여년 전에  상상을 하다가 힘들겠다는 결론을 냈지만,
기술의 발전이 이런 문지도 넘고 실용화 되기를 바랍니다.
검색 36 / 1 페이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