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NotebookLM 를 잠깐 써봤는데 아직은 만족스럽지 않네요.

페이지 정보

339 조회
6 댓글
1 추천

본문

작년 Google I/O 2023 에서 문서소스로부터 새로운 문서를 정리, 정제해가는 도구로 NotebookLM 을 소개했었는데요.

올해 Google I/O 2024 에 대해 알아보다가 문득 생각이 나서 NotebookLM 을 잠깐 써봤습니다.

아직까지 미국 밖에서는 쓸 수가 없어서 잠깐 VPN 을 연결하고 써봤고요.

 

문서소스로 Google Drive Docs, PDF, text file 과 직접 편집할 수 있는 텍스트를 둘 수 있고요.

대화를 이어가면서 노트를 작성하면 이것도 대화내 문서소스로 삼을 수 있습니다.

 

아이디어는 참 좋은 거 같아요.

여러 종류의 문서소스들을 두고 어떤 문서소스를 대상으로 대화를 이어나갈지도 지정할 수 있고, 대화내용을 바탕으로 새로운 문서소스를 만들어서 점점 정제된 결과문서를 만들어 나갈 수도 있죠.

그런데, pdf 파일도 200MB 로 제한되고 정리내용도 뭔가 만족스럽지가 않은 것이, 대화를 계속 해보니 아직은 Gemini 1.5 가 아니라 Gemini 1.0 기반같습니다.

아직은 Google AI Studio 를 통해 Gemini 1.5 Pro 를 쓰는게 훨씬 더 결과가 좋네요.

하지만, 정식서비스가 되면 여러 문서소스를 정제하고 원하는 결과문서로 정제하는데에는 탁월한 서비스가 되지 않을까 기대는 됩니다.

그런 정도면 충분히 Google Workspace 내 유료서비스로 자리잡을 수 있을 거 같네요.

 

    七嶺八谷 石上松下 칠령팔곡 석상송하 ::::: Stay Humble, Stack Sats. :::::[龜旨歌] 거북아 거북아. 누가 왕인지 마땅히 또 마땅히 드러내거라. 만약 알려주지 않으면, 배껍질을 불에 태우고 밝게 빛내어 갈라서 직접 알아낼테다. --- 가야 왕 추대의식

댓글 6

maplus님의 댓글의 댓글

@팡파파팡님에게 답글 젬마는 상용서비스용이 아니기 때문에 NotebookLM 이 젬마를 쓸 리는 없죠.
구글도 Gemini Pro 를 쓴다고는 했습니다.

---
NotebookLM, an experimental product in Labs designed to help you do your best thinking, is now available in the U.S. to ages 18 and up. And it’s starting to use Gemini Pro, our best model for scaling across a wide range of tasks, to help with document understanding and reasoning.
---

https://blog.google/technology/ai/notebooklm-new-features-availability/#:~:text=NotebookLM, an experimental product in Labs designed to help you do your best thinking, is now available in the U.S. to ages 18 and up. And it’s starting to use Gemini Pro, our best model for scaling across a wide range of tasks, to help with document understanding and reasoning.

TAMPA님의 댓글

일반적인 접근에 비해 구글 AI 스튜디오를 통해쓰면 어떤 장점이 있나요?
notebook LM을 쓸때 용량이 비교적 큰게 올라간다 싶었는데 200MB까지라니...다른 일반 LLM 모델보다는 큰게 올라갈 수 있네요. ㅋ

maplus님의 댓글의 댓글

@TAMPA님에게 답글 AI Studio 는 개발용 도구입니다.
API Key 발급받아서 웹이나 앱에서 연결하거나 커스텀 모델을 만들거나 대화 시뮬레이션을 해본다거나 등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 챗봇 웹사이트처럼 써도 아무 상관없어요.
가장 큰 장점은 이 개발용 도구를 무료로 제공해준다는 점이에요.

사실 gemini 는 돈주고 쓰는거 보다 AI Studio 로 쓰는게 더 좋습니다.
1.5 Pro 가 1.0 Ultra 보다 대부분의 경우 더 낫거든요.
그리고, token window 용량이 1M 이기 때문에 문서 아무거나 다 올려두고서 이런 저런 작업하기 너무 좋습니다.
PDF 파일로 따지면 거의 1GB 가까이는 올라가는거 같아요.
물론, 이런 저런 대화를 하려면 여유가 좀 있어야 됩니다.

기타 오디오파일이나 동영상파일을 올리고 분석해볼 수도 있는데 이건 개발용 목적으로 쓸 때에 필요해도 챗봇용으로 쓸 때는 시간이 너무 걸려서 좀 별로더군요.

아~ 그리고, 이미지 분석은 되지만 이미지 생성은 안됩니다.

TAMPA님의 댓글의 댓글

@maplus님에게 답글 답변 감사합니다!!
아직 이런 부분까지는 시도를 못해봤는데..
어디서 관련 자료들을 얻을 수 있을까요?
혹시 이와 관련된 튜토리얼 유튜브나 온라인 강좌를 알고계시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전체 218 / 2 페이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