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모앙 같은 사이트를 만들기 위한 최적의 솔루션은 과연 뭘까요?

페이지 정보

514 조회
7 댓글
0 추천

본문

운영자께서 짧은 시간 고생해서 이렇게 훌륭한 사이트를 만들고 많은 분들의 도움을 최적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현재 다모앙은 php 기반의 그누보드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사실 저는 그누 보드에 대해 처음 들었습니다. 

php기반의 솔루션이 보안 측면에서 뭔가 문제가 있는지 많은 회원분들이 언급을 했는데, 만약 다모앙 같은 사이트를 바닥 부터 만든다면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최적일까요?

제가 만든다면, 저는 그냥 TypeScript + NestJS + ReactJS를 쓸 것 같습니다. 웹서버는  nginx가 되겠죠.

NestJS는 맛만 봐서 잘은 모르지만, 대형 사이트 만들 때, 복잡한 로직을 구조화해주는 것 같습니다. ReactJS는 거의 표준 처럼 쓰이고 많은 분들이 익숙해서  frontend 개발할 때 써야할 것 같습니다.

실제 이렇게 구성하면  php기반 보다 성능이나 보안 측면서 더 좋을까요?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합니다.

댓글 7

enoeht님의 댓글

그거야 뭐 영원히 끝나지 않을 전쟁을 하는 분야 아니겠습니까 ㅎㅎ

php자체가 참... 애증의 존재죠.....
php는 개발자 구하기가 상대적으로 쉽고 임금도 저렴한 편이지만

오래된 녀석이라 뿌리깊은 성능/보안문제나 구조적 문제가 최신버전에서 대부분 수정/개선되었으나....
정작 최신버전에 능숙한 개발자 찾으려고 하면 위의 장점이 상실되어 버립니다.
결국 현실적으로 구버전 php의 구조적 불편함과 성능/보안 이유를 개발자 능력으로 억지로 보완하며 끌고 가게되죠.

최신 php문법과 구조에 익숙한 개발자들은 이미 진작에 임금이 더 높은 JAVA/ReactJS등으로 넘어가 있으니까요...

그렇다고 처음부터 ReactJS등을 선택하려면 개발 기술적 측면에서 필요한 공부량도 많고
개발자를 데려다 쓰기에도 초반부터 임금이 더 많이 필요하며
뭣보다 서버 구조 자체도 호스팅비용이 더 비싼편입니다.
물론 소규모에서는 php든 reactJS든 둘다 거의 무료에 가까운 서비스들이 둘 다 똑같이 많지만,
또 최소한의 서비스까지에도 서버관리에 요구되는 기술이 reactJS쪽이 더 많이 필요합니다.

결국 이런저런 진입장벽때문에 장벽이 훨씬 낮은 php로 일단 시작은 되었다가
위의 여러 문제로 결국 리뉴얼을 하거나 계속 억지로 끌고가거나의 흐름이... 거의 비슷해 보이더군요.

openstep님의 댓글

사이트 안정화되면 여기 능력자 분들이 많으니 어떻게 마이그레이션을 할지 고민해볼 수 있겠네요.

조알님의 댓글

저는 웹은 하나도 모르지만.. 결국 대규모 트래픽을 감당할만한 능력있는 개발자를 구인하고 또 개발비용과 시간 들여서 바닥에서부터 쌓아올리는게 관건인거 같습니다. 대중적인 오픈소스에 의존하는거는 소규모 사이트급 까지는 좋지만 대규모 트래픽을 감당하기엔 한계가 많은 것 같습니다. 다 돈이네요..

푸른열정님의 댓글

저는 php의 가장 모던한 laravel 개발자이긴합니다만 ㅠㅠ 라라벨을 제대로 최신버전 기반 개발해본 분들이 너무 적긴합니다

NPMachine님의 댓글

언어도 언어인데, 한국의 이용자들과 개발자들이 현대적인 웹 게시판에 대한 고민이 없습니다.
오픈소스 프로젝트인 discourse가 주장하는게 있습니다.
웹 기술은 20년 넘는 기간 동안 눈 부시게 발전했는데, 게시판이 그 동안 정체되어 있었다고요.
discourse가 그렇게 주장하면서, 우리가 직접 보여줄께 하면서 나온 커뮤니티 오픈 소스 프로젝트인데 그누보드, xe랑 비교하면 매우 뛰어납니다. 그런데 discourse 나온 것도 이제 벌써 10년전 얘기에요. 역시나 다른 오픈 소스 프로젝트인 forem(dev.to가 운영하는 포럼) 같은 게시판 형태가 새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discourse, forem 같은 형태는 외국 문화에 맞춰져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적응 잘 못 하더라고요. 한국 사람들에게 맞는 새로운 모던 웹 게시판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openstep님의 댓글의 댓글

@NPMachine님에게 답글 찾아보니 한국 우분투 커뮤니티가 discourse를 사용하네요.
https://discourse.ubuntu-kr.org/
전체 157 / 3 페이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