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

차세대로 빨리 가야 할 것 같습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sdk 116.♡.107.11
작성일 2024.04.25 06:25
15,350 조회
184 댓글
614 추천
글쓰기

본문

현재 다모앙은 그누보드5 (PHP)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음대생일 떄 소소하게 시작한 음악커뮤니티 뮤지아 (https://muzia.net ) 는  현재 21년 째 취미로 운영하고 있으며,

아래와 같은 CMS를 사용하다가 그누보드로 정착했습니다.  

  • html + 슈퍼보드
  • 제로보드 
  • 테크노트 CGI
  • 테크노트 PHP
  • 그누보드 + 아미나 빌더 (현재 나리야)

저는 제 인생에 이렇게 큰 커뮤니티를 운영하게 될 줄을 상상도 하지 못했습니다. 

지금도 개발자 디스코드 , 1기 운영진분들 

가장 중요한 회원님들 도움이 아니면 절대 절대 절대 저 혼자 운영할 수 없는 규모가 되어 버렸습니다. 

그누보드가 정통이 있고 오래된 CMS (컨텐츠 메니지먼트 시스템) 이지만 세션이 꼬이는 듯 안정성을 보장 할 수 없습니다.

@룩키 님께서 DB 튜닝을 해주시고 디스코드 개발자 분들께서 서버에 무리를 주는 쿼리들을 제거하거나 수정하는 방법으로 지금까지 잘 버텨오고 있습니다. 

하루에 한번 이상씩 문제가 발생하여 오늘 부터 본격적으로 차세대를 준비하려고 합니다. 

대한민국의 인력풀이 많은 개발 언어는 java + spring boot 프레임워크입니다. 

하지만 가장 빠르게 구현 할 수 있는것은 그누보드 6 (python) 버전으로 시작하여 새로운 줄기로 그누보드와 별개의 길을 하려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기존 사이트는 신규기능을 추가 하는 것보단 유지보수를 우선으로 하고 하루 빨리 새로운 버전을 시작하겠습니다. 

다모앙이 한 두달 뒤면 10만명이 되고, 몇 달 후면 지금 보다 규모가 10배 이상이 될텐데 

개발자 디스코드 방에 계신 개발자 그룹분들  그리고 모든 회원님들께서

하루 하루가  외줄타는 것처럼 서버가 무사히 돌아가기를 간절히 간절히 바라면서 일상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Next 제너레이션 다모앙을 기대 하며 , 힘차게 글 리젠을 높여 보아요 

(하지만) 로그인도 잘 안되고? 글 쓰기 하면 오류가 자주 나시죠??? 

네 알아요 , 저도 그렇거든요 

(이렇게 말씀 드려 정말 죄송합니다...ㅠㅠ) 

항상 감사드립니다.

댓글 184 / 2 페이지

loveMom님의 댓글

작성자 loveMom (211.♡.198.73)
작성일 04.25 10:24
출범한 지 한달도 안된 신생앙이 벌써 차세대 준비하는건 듣도 보도 못한 일이네요 ㅎㅎ
역시 태생부터 인터넷 커뮤니티의 혁명을 보여주는 다모앙답습니다. (삭제된 이모지)

@룩키 룩키님 db 튜닝 재능기부 중인 줄 첨 알았어요. 감사합니다^^

카카루님의 댓글

작성자 카카루 (211.♡.175.214)
작성일 04.25 10:26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라이더님의 댓글

작성자 라이더 (118.♡.12.227)
작성일 04.25 10:28
감사합니다

롯데자일리트롤님의 댓글

작성자 롯데자일리트롤 (117.♡.1.28)
작성일 04.25 10:31
프론트 엔드 스택도 리액트나 스벨트 같은 차세대 프레임워크로 전환 해보는건 어떨까요?
요즘은 nextjs같은 서버서이드렌더링을 지원하는 프레임워크가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사람만이희망이다님의 댓글

작성자 사람만이희망이다 (14.♡.25.177)
작성일 04.25 10:33
항상 응원드려요~~ ^^

Rebirth님의 댓글

작성자 Rebirth (116.♡.148.34)
작성일 04.25 10:34
어떻게 음대생이 개발자 일을 시작하개 됐는지
썰 좀 푸시죠
ㅎㅎㅎ

애기장대풀님의 댓글

작성자 애기장대풀 (203.♡.64.70)
작성일 04.25 10:39

제나토스님의 댓글

작성자 제나토스 (202.♡.40.58)
작성일 04.25 10:44
응원합니다~

수오재님의 댓글

작성자 수오재 (118.♡.195.238)
작성일 04.25 10:47
늘 감사드려요!!

YAONG님의 댓글

작성자 YAONG (222.♡.107.177)
작성일 04.25 10:48
화이팅~!

rince님의 댓글

작성자 rince (118.♡.6.54)
작성일 04.25 10:54
문제점이 있다 하더라도
이 과정이 너무 보기 좋고 멋집니다!

대한독립만세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대한독립만세 (211.♡.42.4)
작성일 04.25 10:59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와이본님의 댓글

작성자 와이본 (183.♡.107.57)
작성일 04.25 10:59
이얏호~!

폭스바겐세일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폭스바겐세일 (1.♡.98.17)
작성일 04.25 10:59
고생 많으십니다!!
감사합니다!!

Kolbe님의 댓글

작성자 Kolbe (61.♡.139.75)
작성일 04.25 11:00
압도적 감사

gaia님의 댓글

작성자 gaia (118.♡.228.167)
작성일 04.25 11:05
좋은 커뮤니티를 만들어 완성하고자 하는 큰 노력에 감사드립니다.

렌더님의 댓글

작성자 렌더 (175.♡.223.148)
작성일 04.25 11:07
천천히 하세요 ㅎㅎ

현민아버지님의 댓글

작성자 현민아버지 (125.♡.93.2)
작성일 04.25 11:09

오마이걸님의 댓글

작성자 오마이걸 (121.♡.155.81)
작성일 04.25 11:09
홧팅~!

수리1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수리1 (223.♡.74.153)
작성일 04.25 11:10
너무 감사드립니다 대장님 그리고 기여해주시는 모든분들..

꿈의대화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꿈의대화 (115.♡.118.220)
작성일 04.25 11:24
멋지십니다.

spanner님의 댓글

작성자 spanner (211.♡.139.226)
작성일 04.25 11:24
화이팅요

이해하면님의 댓글

작성자 이해하면 (121.♡.255.52)
작성일 04.25 11:29
그누보드는 초보자를 배려 하기 위해 모든 설정을 위한 기능등등이 들어 가있엇서 무겁지 않을까요 ^^
다모앙은 전용 프로그램으로 시작해서 범용으로 코드 공개를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세계로 뻗어나가시길..

지푸라기님의 댓글

작성자 지푸라기 (1.♡.33.26)
작성일 04.25 11:32
그누보드는 front/back 코드 분리가 안되어서 유지관리가 어려운 것 같습니다.
다모앙은 집단지성으로 다양한 분들이 협업을 하고 계신데
이런경우 동일한 파일일 열고 작업하다가 충돌이 날 수도 있고
코드가 복잡해져서 코드 시안성도 나빠지고 개선이 필요해보입니다.

가급적 차세대는 Rest API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면 좋겠습니다.
그래야 확장성도 좋아지고 front/back이 확실히 분리되어 유지관리도 용이하지 않을까요^^;

b1uesky님의 댓글

작성자 b1uesky (211.♡.37.212)
작성일 04.25 11:34
음악커뮤니티 바이럴인가유

sdk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dk (223.♡.36.20)
작성일 04.25 12:09
@b1uesky님에게 답글

Beyouman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Beyouman (1.♡.17.148)
작성일 04.25 11:40
아니 음대생이었다고요?

북극곰님의 댓글

작성자 북극곰 (211.♡.45.9)
작성일 04.25 11:40
(삭제된 이모지)

onlyYOU님의 댓글

작성자 onlyYOU (222.♡.92.201)
작성일 04.25 11:41
대장님! 음대생요????

청리기사단님의 댓글

작성자 청리기사단 (117.♡.22.227)
작성일 04.25 11:48
멋집니다

osiki님의 댓글

작성자 osiki (210.♡.152.3)
작성일 04.25 11:50
벌써 Next Level 시스템을 준비하시다니. 멋진 계획이십니다.

kforce님의 댓글

작성자 kforce (39.♡.28.251)
작성일 04.25 11:57
감사합니다

사진찍는개발자님의 댓글

작성자 사진찍는개발자 (210.♡.189.144)
작성일 04.25 12:00
정확하십니다.

이제 베이스를 대규모 커뮤니티 기반으로 설계를 처음부터 하는 것 강추 드립니다

검은별7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검은별7 (118.♡.13.197)
작성일 04.25 12:03
충격입니다.
음대생출신이면서,  개발도 잘하신다니..
^__^b

LinusPauling님의 댓글

작성자 LinusPauling (104.♡.76.237)
작성일 04.25 12:07
ㅎㅎ 키워나가는 맛이 있죠.
화이팅입니다!

담연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담연 (121.♡.35.198)
작성일 04.25 12:09
현재 그누보드 6인데 일단 그누보드 6으로 갔다가 이후에 그누보드 6 아닌 다른 시스템으로 간다는 뜻인가요?

Simlady님의 댓글

작성자 Simlady (121.♡.73.61)
작성일 04.25 12:34
음대출신 개발자라니 싱기방기합니다
매번 로그아웃되거 사이트가 먹통이 돼도
사람들이 짜증은 커녕 이번엔 또 뭐가 바뀔까
기대하고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는 게 또 큰 즐거움 입니다
고생하시는 개발진분들의 노력이 빛을발해
나중에 경제적으로도 보상되기를 바래봅니다

그런의미에서 닉네임에 언더바좀 허용해주세요 흑흑
원 닉네임 찾고파요 ㅠㅠ

흰바위님의 댓글

작성자 흰바위 (83.♡.37.43)
작성일 04.25 12:35
늘 감사드립니다.
@sdk 대장님께 받아야 할 포인트가 있는데,
바쁘셔서 말씀을 못드리고 있습니다.
오타 찾기 이벤트요.
아니면, 제가 이미 받았는데, 모르고 있을수도요.

sdk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dk (116.♡.107.11)
작성일 04.25 12:49
@흰바위님에게 답글 해당글에 소환 부탁드립니다.
제가 놓쳤어요

흰바위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흰바위 (83.♡.37.43)
작성일 04.25 12:57
@sdk님에게 답글 https://damoang.net/notice/6296
댓글을 달 수가 없는 상태입니다. 받을 포인트가 여러개 입니다.

흰바위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흰바위 (83.♡.37.43)
작성일 04.25 12:59
@흰바위님에게 답글 @sdk 대장님, 계산해보니 1,270포인트네요 ~~

sdk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dk (175.♡.123.172)
작성일 04.25 13:09
@흰바위님에게 답글 위 링크는 방문하지 않았지만 반올림 해서 13,00 포인트 넣어드렸습니다.

흰바위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흰바위 (83.♡.37.43)
작성일 04.25 13:37
@sdk님에게 답글 고맙습니다.
현재 까미노 순례길 걷기 위해
스페인에 있습니다.
무사히 마칠 수 있는 힘을 얻었습니다.

미드나잇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미드나잇 (124.♡.89.146)
작성일 04.25 14:28
@sdk님에게 답글 13,00 포인트
숫자 쉼표 오타입니다 ㅎ

얼음반지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얼음반지 (121.♡.129.61)
작성일 04.25 12:40
IT 현업이지만 인프라 전문이라 .. 도움을 드리고 싶어도 딱히 드릴께 없어서 그저 응원만 하고 있습니다.
( 굿즈는 샀어요 )
벌써 차세대 준비라니 .. ( 차세대 라는 말만 들어도 벌써 아찔...) ... 대장님 홧팅 !!!!!!!!!!!!!

미니무새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미니무새 (106.♡.32.94)
작성일 04.25 12:52
그누보드가 좀 꼬인다는 얘기를 풍문으로 들어서 내심 걱정은 있었는데 ㅎㅎ 결단에 감사드립니다.

BugMan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BugMan (118.♡.11.145)
작성일 04.25 12:54
대장님 글에서는 내용을 보기전에 오타를 먼저 찾게됩니다….


화이팅 입니다~

잡초나무님의 댓글

작성자 잡초나무 (112.♡.160.207)
작성일 04.25 13:01
그누보드, XE엔진, 워드프레스 다 써봤지만 한계가 명확하죠...
저는 Nuxt + Prisma로 갈아탔습니다.

잡초나무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잡초나무 (112.♡.160.207)
작성일 04.25 13:10
@잡초나무님에게 답글 차세대 엔진으로 바꾸려면 오래 걸리니 최소 6개월 이상 잡고 천천히 가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sdk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dk (175.♡.123.172)
작성일 04.25 13:14
@잡초나무님에게 답글 (삭제된 이모지) 감사합니다.

오호라님의 댓글

작성자 오호라 (175.♡.154.96)
작성일 04.25 13:09
역시나... 커뮤니티 개발 운영 관리 경력이 있으셨군요.

ㅋㄹㅇ도 그렇고.. 볼륨 나오면.. 자체 게시판으로 넘어가는게 수순인거 같습니다.

게시물 늘어나서 옮기기 힘들어지기 전에 미리미리 준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듯 합니다.

화이팅!!

공허한숲님의 댓글

작성자 공허한숲 (218.♡.154.48)
작성일 04.25 13:22
그만 좀 작작 '더' 하십시요

Suk9님의 댓글

작성자 Suk9 (110.♡.73.50)
작성일 04.25 13:33
죄송합니다...
글 제목 보고
차(car) 세대를 생각했습니다.
정말 죄송합니다~ ㅠ...

Woogler님의 댓글

작성자 Woogler (223.♡.35.221)
작성일 04.25 13:33
잘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왕이면 레딧 같은 플랫폼이 되었으면 합니다. 디시는 사이트 분위기나 운영진 태도가 진짜 별로라서 한국의 레딧이라고 할만한 곳이 없어서 슬펐는데, 확장적인 마인드를 가진 분이라 너무 기대됩니다.

악사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악사 (118.♡.3.154)
작성일 04.25 13:36
에에? 음대요? 컴공인 저는 -.-
대단하십니다!

푸른아쿠아님의 댓글

작성자 푸른아쿠아 (211.♡.41.64)
작성일 04.25 13:40
여기서 차세대를 접하게 될 줄이야 ^^ IT업계에 있는 곁다리로서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 적응하는 것도 쉽지 않네요.
그래도 다모앙에서는 도태되지 않게 가열차게 더더더 자주 들어와서 활동할겁니다 ㅋㅋ

희희희희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희희희희 (123.♡.201.51)
작성일 04.25 13:41
차세대로 가야겠군요 음

stillcalm님의 댓글

작성자 stillcalm (211.♡.237.201)
작성일 04.25 13:42
이미 차세대!! 한달도 채 안된 사이트 맞습니까~~
감사합니다. 압도적 감사!

희뽕바리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희뽕바리 (118.♡.40.17)
작성일 04.25 14:03
항상 고맙습니다

tsboard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tsboard (118.♡.14.43)
작성일 04.25 14:09
서버 운영이 쉽지 않아보이는데 개발팀 여러분 화이팅입니다!

Rintrah님의 댓글

작성자 Rintrah (61.♡.239.197)
작성일 04.25 14:22
감사합니다.

Dev조무사님의 댓글

작성자 Dev조무사 (106.♡.249.210)
작성일 04.25 14:38
훌륭하십니다.

시민님의 댓글

작성자 시민 (218.♡.121.43)
작성일 04.25 14:54
구리앙에서 사라지길 결심한 뒤 여기저기를 기웃거렸습니다.
sdk님이  아니었다면 존재하지 않았을 또 하나의 멋진 배에 승선해서 너무 기쁩니다. 감사하다는 말씀 밖에는..

말하다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말하다 (59.♡.5.38)
작성일 04.25 15:10
역시 편하게 댓글 다는 뒤에는 고생하는 많은 분들이 계시다는 것을 새삼 깨닫습니다.
감사합니다

열정님의 댓글

작성자 열정 (222.♡.30.76)
작성일 04.25 17:08
항상 감사합니다.

휴머니즘회복운동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휴머니즘회복운동 (116.♡.219.64)
작성일 04.25 17:36
감사해요 ~~ (삭제된 이모지)

커피농장님의 댓글

작성자 커피농장 (115.♡.72.195)
작성일 04.25 18:10
두려운 그 단어.. "차세대" ㄷㄷㄷ 하지만 응원합니다 ㄷㄷㄷ

삼포가는길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삼포가는길 (1.♡.48.138)
작성일 04.25 18:51
잠깐의 불편함은 좀 참으면 되니까요, 초심 유지한 채 오래 가는 것이 중요하죠.
노고에 늘 감사드립니다

와타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와타 (116.♡.248.34)
작성일 04.25 20:06
정말 대단하고 멋집니다! 감사합니다!!

몽유님의 댓글

작성자 몽유 (211.♡.13.114)
작성일 04.25 20:31
늘 감사드립니다~

고막남편님의 댓글

작성자 고막남편 (58.♡.235.237)
작성일 04.25 20:42
역사를 함께 하고 있어서 영광입니다!!

istD어토님의 댓글

작성자 istD어토 (39.♡.206.31)
작성일 04.25 20:51
항상 건강과 본업이 우선입니다.
다모앙은 후순위로 밀려도 다들 불만 없습니다.
그저 감사할 따름입니다.

너울금님의 댓글

작성자 너울금 (119.♡.21.129)
작성일 04.25 20:56
항상 감사합니다. 그리고 항상 응원합니다.

잘하자얍님의 댓글

작성자 잘하자얍 (183.♡.154.212)
작성일 04.25 22:08
뭔 말인지 하나도 모르겠지만 응원합니다! 빠샤!

농약벌컥벌컥님의 댓글

작성자 농약벌컥벌컥 (136.♡.34.102)
작성일 04.25 22:52
드디어 참전할때군요 ㄷㄷ 예상보다 빠른시점이긴합니다만. 뭐 가즈아~~~~

큐브님의 댓글

작성자 큐브 (59.♡.78.228)
작성일 04.25 22:57
제로보드 오랜만에 들어보네요 ㅎㅎ

뚜찌님의 댓글

작성자 뚜찌 (220.♡.72.82)
작성일 04.25 23:06
그누보드6 파이썬 기반이라 생소한데 그래서 걱정이 되면서 더 기대됩니다. 할줄 아는 언어가 파이썬 밖에 없어서요....
파이썬 풀이 넓어지면 프론트 건들여 보고 싶어요...

sdk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dk (116.♡.107.11)
작성일 04.25 23:15
@뚜찌님에게 답글 목적은 프론트 / 백엔드 분리입니다.

sdk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dk (116.♡.107.11)
작성일 04.25 23:16
@sdk님에게 답글 분리가 되면 프론트는 리엑트로 가도 되고
백엔드도 Swagger  가 있으니 나중엔 Go 로 하던 Java로 하던 nodejs 로 하던
pytnon 으로 하던

생각만 해도 기쁩니다

1830m님의 댓글

작성자 1830m (3.♡.2.171)
작성일 04.26 01:34
파이썬 기반 사이트를 생각하신다니 반갑네요.

그런데 차세대를 하면서도 그누보드 기반으로 하신다면 결국 지금과 비슷한 문제를 내재하게 되지 싶은데요,
완전하게 제로 베이스에서 새로 시작하시는 것도 생각해보시는게 좋지 싶습니다.

저도 파이썬 기반의 서비스를 운영중인데요 저희쪽 핵심 기반 소프트웨어 및 아키텍쳐 스택을 약간 소개해보자면
(모든 외부 소스는 항상 latest를 유지합니다)

python3
fastapi
redis(main) + mongodb(sub) + elasticsearch(search)

aws
ec2 + route53 + elastic load balance + s3 (+cloud front(cdn))


fastapi 가 swagger 문서 생성이 자동으로 지원되서 fe 협업하기가 편합니다.
모든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redis를 사용하는데 용량이 많은 데이터는 mongodb에서 관리합니다.
(서로 논리적으로만 연결되어 있습니다)
검색은 elasticseach에 복사본을 생성해둡니다. (마찬가지로 다른 db와 커플링이 없습니다)

k8s 는 저랑 좀 안 맞아서 모든 코드는 ec2에서 네이티브로 실행하고 ec2의 확장은
쉘스크립트(+ aws cli) 로 관리합니다.
aws 쓰는 김에 네트웍 인프라 서비스도 aws 제품을 그냥 사용하고 있습니다. 관리가 편해서 좋네요.

아참 중요한 부분...
저희 서비스는 웹 페이지는 거의 없어서 (앱입니다)
웹 fe는 따로 분리하지 않고 be에서 처리하는데 2가지 방식으로 처리합니다.

1. 완전한 바닐라 html 파일에서 바닐라 js 만으로 페이지 컨트롤.
> 이 때는 fastapi 를 사용하지 않고 flask 로 라우팅 컨트롤만 합니다.

2. fastapi 에서 html 페이징을 렌더링 > mako 사용
> 최대한 바닐라 html에 가까운 라이브러리를 찾다보니 저게 나오더군요.

이 방식이 별로 나쁘지 않은 점이 장황한 바닐라 html 코드를 전부 chatgpt 에서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chatgpt가 없었다면 이런 식의 스택은 구성하지 못했을겁니다)


몇년에 걸쳐서 기반 언어를 바꿔왔는데요.
(java > nodejs > typescript > python ... )
생산성 면에서 파이썬이 가장 좋았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ai 협업 할 일이 꽤 있는데,
별다른 복잡한 과정 없이 ai 쪽 코드를 네이티브 라이브러리 형태로 사용하고 있어서 사용감이 좋습니다.

sdk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dk (116.♡.107.11)
작성일 04.26 01:36
@1830m님에게 답글 감사합니다

crom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crom (106.♡.142.109)
작성일 04.26 06:09
감사합니다

RoNi님의 댓글

작성자 RoNi (222.♡.20.35)
작성일 04.26 08:55
응원드리고 정말 감사합니다 ^^

Jedi님의 댓글

작성자 Jedi (210.♡.12.175)
작성일 04.26 21:22
차세대 다음에는 차네대입니다. =3=3=3=3.
10만명되면 호텔 컨퍼런스룸 빌려 성대하게 파티한번 하시죠!!
글쓰기
앙님들 사랑합니다. ❤️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