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

구글 클라우드는 선녀였습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sdk 223.♡.35.15
작성일 2024.04.26 07:50
10,728 조회
76 댓글
213 추천
글쓰기

본문

AWS (아마존 웹 서비스 :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프론트에서 모든 트레픽을 받으니 엄청나군요. 

이사한지 일주일도 안돼었잖아요? 비용 최적화 부분은 CTO 젤리님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읽어보면 좋은 글 : https://sdk.xyz/1260 (클라우드)

현재 AWS + MSP ( 클라우드 중간 계약) 업체와 최종 컨텍이 되어 진행중입니다. 

 

그러는 중간에 구글 클라우드에서도 최상의 BENEFIT 으로 해주신다고 하셨는데 저흰 이미 이사를 했지 않습까 ? ㅠㅠ 

저는 구글클라우드 프로페셔널 자격증도 3개 가지고 있고 작년 구글 써밋에서 최우수 학습자로 선정되기도 하였습니다 

 

결론 : 저는 2년전에 구르밋 (구름 + IT) 클라우드 커뮤니티를 개설 하였습니다 

지금은 트레픽이 없는 상태라서 구르밋을 그누보드 python 버전으로 마이그레이션 해보겠습니다 

https://goorm.it 

차세대 또한 디스코드 개발자 분들과 함께 진행될 것이며 2 Track 중 한 개인 python + fastAPI 를 먼저 시도 해보겠습니다. 

그리고 현재 레거시 버전도 많은 분들께서 개선중이시니 좀 더 다이나믹한 앙라이프를 함께 하실 수 있습니다. 

머릿속에 많은 것이 떠오르는데 어떻게 정리 할지 몰라 이만 글을 줄입니다.

한 분 한 분 지속 적으로 함께 하여 주신다면 영광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76 / 1 페이지

거미님의 댓글

작성자 거미 (116.♡.59.178)
작성일 04.26 07:53
이번달 비용 5천달러 찍도록 노력해보겠읍니다.

거미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거미 (116.♡.59.178)
작성일 04.26 07:59
@거미님에게 답글 아 참
트레픽(X)
트래픽(O)

케이건님의 댓글

작성자 케이건 (168.♡.154.45)
작성일 04.26 07:53
한달 트래픽 비용이 와.. 이거 이 상태면 머그컵 수익으로 그리 오래 버티지도 못하겠네요...
잠깐만 저게 달러니까.. 1300원으로 계산해도 500만원이 넘는군요 아직 며칠 남았는데도.. ㄷㄷㄷㄷㄷ
뭔가 지속적인 수익모델을 빨리 만들지 않으면 안되겠네요.. 링크프라이스건 직홍게건...

Und3r9r0unD님의 댓글

작성자 Und3r9r0unD (118.♡.62.3)
작성일 04.26 07:53
감사합니다!

토리옹님의 댓글

작성자 토리옹 (116.♡.69.16)
작성일 04.26 07:54
aws는 가격이 진짜 ㅜㅜ
하지만 그만큼 서비스 안정도에서는 아직까지는 top이니..
크레딧 마니 주세요. msp통한 할인 좀... 굽신굽신..

붉은스웨터님의 댓글

작성자 붉은스웨터 (223.♡.251.162)
작성일 04.26 07:54
비용이 어마무시하네요..

시민님의 댓글

작성자 시민 (136.♡.34.101)
작성일 04.26 07:55
이 배너가 다시 보이네요. 좀 더 분발하겠습니다.

rumblekat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rumblekat (220.♡.87.246)
작성일 04.26 07:56
@시민님에게 답글 이 배너 너무 귀여워요.

칸느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칸느 (211.♡.120.137)
작성일 04.26 07:55
서비스가 안정적이라면 재이사해도 되죠
다만.  이동이 원할하게 ttl 조절 및 양서버 일주일 동시운영은 필요할 것 같습니다

sdk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dk (223.♡.36.214)
작성일 04.26 07:56
@칸느님에게 답글 이미 계약된 상태라서 1-2 년 후에 멀티클라우드 설계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각 장점을 활용하려는 계획입니다.

칸느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칸느 (211.♡.120.137)
작성일 04.26 08:08
@sdk님에게 답글 약정이 있군요
그러면 분산운영도 괜찮은 방법이죠

엔뜨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엔뜨 (112.♡.4.128)
작성일 04.26 13:35
@sdk님에게 답글 이미 다 계획이 있군요. (삭제된 이모지)

수필님의 댓글

작성자 수필 (209.♡.53.225)
작성일 04.26 07:55
아마존이 단가가 더 비싼 건가요 ㅎㄷㄷ 하네요

sdk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dk (223.♡.36.214)
작성일 04.26 07:59
@수필님에게 답글 꼭 그렇다고 볼수는 없는게 구글클라우는
$25 짜리 클라우드플레어라는 CDN을 붙였는데 저희는 AWS 에서 Cloud Front라는 데에서 트레픽을 모두 처리하고 있어 주말에 긴급 개선 예정입니다

loveMom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loveMom (211.♡.188.75)
작성일 04.26 10:14
@sdk님에게 답글 (삭제된 이모지)

마이콜님의 댓글

작성자 마이콜 (112.♡.125.170)
작성일 04.26 07:55
고생많으십니다. 항상 감사하게 생각하고있습니다.
저에게도 기회가 왔군요
이사한지 일주일도 안돼었잖아요?
이사한지 일주일도 안되었잖아요?

sdk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dk (223.♡.36.214)
작성일 04.26 07:57
@마이콜님에게 답글

INVENTOR2025님의 댓글

작성자 INVENTOR2025 (121.♡.33.97)
작성일 04.26 07:57
유료 메일링 서비스를 추천합니다. (가격은 1000원대라던지)
내용은 별거 없고 대장님 포토 카드 형식이나 월간 다모앙 상태(이력-회원수, 트래픽 등)를
보여주는 겁니다.

sdk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dk (223.♡.36.214)
작성일 04.26 08:00
@INVENTOR2025님에게 답글 구글 워크스페이스 비니지스 구독중입니다 ㅜ

케이건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케이건 (168.♡.154.45)
작성일 04.26 08:05
@sdk님에게 답글 어.. ㅋㅋ 이해를 잘못 하신거 같은데요?

겸공이나 꽃 구독하는 것처럼.. 다모앙 구독자를 모집하는 건 어떨까? 라고 하는 겁니다.
메일링 서비스는 아마도 보통 아이돌이 많이 하는 서비스 일거에요..
사진이나 이런저런 문자를 팬들에게 보내주는 ㅋㅋㅋ

sdk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dk (223.♡.36.214)
작성일 04.26 08:07
@케이건님에게 답글 아 이해를 못했어요
저는 회원님들이 적은 금액이라도 차등을 받지 않아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말씀 감사합니다 (삭제된 이모지)

엔뜨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엔뜨 (112.♡.4.128)
작성일 04.26 13:38
@케이건님에게 답글 여유가 된다면 좋은 서비스네요.
수익 창출도 소폭 생길 거 같고 무엇보다 주기적으로
정보를 받아본다는게 좋긴한데 휴먼 관리 리소스 + 컨텐츠 생산 인력이 필요하겠네요.
궤도에 오르면 생각해봄직한 서비스인거 같아요.
(삭제된 이모지) 꼬리에 꼬리를 무는 아이디어!

낮은언덕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낮은언덕 (115.♡.83.44)
작성일 04.26 07:58
어우야 ㅠㅠ 어떻게 해야할까요. 지속가능한 모델이 가능한건지 걱정이 앞섭니다.

에르메스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에르메스 (118.♡.3.102)
작성일 04.26 07:58
돈도 돈이고.. 커뮤 생성, 유지, 발전시킨다는 게 보통 일이 아니긴 하군요..

엔지니어는무슨님의 댓글

작성자 엔지니어는무슨 (106.♡.142.32)
작성일 04.26 07:58
굿즈를 더 만들어야 됩니다..진지.
그리고, 고맙습니다.

Kenia님의 댓글

작성자 Kenia (175.♡.100.133)
작성일 04.26 07:58
감사합니다.

고약상자님의 댓글

작성자 고약상자 (192.♡.86.241)
작성일 04.26 08:01
도네이션을 받으시면 어떨까요? 아니면 지분을 나눠서 투자를 받는 것도 좋을 것 같구요. 수익이 나면 돌려주면 되니까요.

sdk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dk (223.♡.36.214)
작성일 04.26 08:03
@고약상자님에게 답글 저는 확고하며 하지 않을 것입니다.
다모앙을 1~2년 하고 그만 둘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만 국내 최고 커뮤니티 뿐만 아니라 글로벌한 서비스를 회원님들과 만들어 가겠습니다 .

회원님들은 그저 재미있게 즐겨주시면 됩니다
제가 괜한 글로 혼란을 드린 것 같아 비용
이미지는 삭제할게요 ㅜㅜ

고약상자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고약상자 (192.♡.86.241)
작성일 04.26 08:09
@sdk님에게 답글 이 냥반이 고집이 쎄시네... 아니면 수익 사업을 늘려야 하는데, 아이디어 필요하시면 회원들에게 물어보세요. 머리를 맞대고 생각하면 좋은 아이디어가 많을 겁니다.

sdk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dk (223.♡.36.214)
작성일 04.26 08:18
@고약상자님에게 답글 급할 것이 없으니 천천히 신중하게 생각해 보기로 해요
마음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도네는 정말 최후의 수단에만으로라는 마음이 있고요 그렇게 되지 않게 회원님들의 의견 잘 수렴하겠습니다 (삭제된 이모지)

높다란소나무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높다란소나무 (104.♡.1.110)
작성일 04.26 08:24
@sdk님에게 답글 신중하게 생각하는 동안의 비용은 어떻게 하시려구요. 회원들이 이 공간을 즐기실 원하시면 지속가능한 해법을 찾아야죠. 너무 이상적인 것만 생각하지 마세요.
그리고 자차 ==> 차차

sdk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dk (223.♡.36.214)
작성일 04.26 08:26
@높다란소나무님에게 답글 며칠간 앙집사님과 젤리님과 안정적인 수익 모델을 놓고 고민중이오니 너무 심려치 마시옵소서 (삭제된 이모지)

호랭가시나무님의 댓글

작성자 호랭가시나무 (112.♡.18.169)
작성일 04.26 08:01
대장님 글보면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좋은 공간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그리고 알구게에 링크프라이스 도입도검토바랍니다

routing님의 댓글

작성자 routing (223.♡.202.174)
작성일 04.26 08:02
AWS가 그래도 돈값은 한다!!가 제 결론입니다
아니면 국내 KT도 나쁘지 않습니다.

성깡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성깡 (211.♡.192.105)
작성일 04.26 10:59
@routing님에게 답글 kt는 아....아닙니다.

보헤야미안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보헤야미안 (219.♡.200.143)
작성일 04.26 23:17
@성깡님에게 답글 KT 클라우드는 쓰는 거 아닙니다. 다시 강조합니다. KT 클라우드는 쓰는 거 아닙니다.

osiki님의 댓글

작성자 osiki (1.♡.127.31)
작성일 04.26 08:03
고생 많으십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삭제된 이모지)

인엄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인엄 (125.♡.23.70)
작성일 04.26 08:05
대단하십니다. 그리고 감사드립니다.
드디어 저에게도...

이미 이사를 했지 않습까 ? / 이미 이사를 했지 않습니까 ?

왈라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왈라 (223.♡.95.120)
작성일 04.26 08:10
Windows 아 mssql 기반이라면 azure 도 좋은 선택이될수도 있다네요.

노래쟁이냥님의 댓글

작성자 노래쟁이냥 (220.♡.135.113)
작성일 04.26 08:10
서버비 비싸네요 수건하고 스티커까지 해서 충당하시죠? 하면 안된다고 단호하게 말씀하실거 같고..
빙송켜서 수퍼챗 받아도 다음달 정산이니 흠.. 일하는데 자금적인게 걸림돌이 되면 아이디어가 잘 안나오고 창의적이고 재미가 없게 되어서 금방 지칩니다.. 부담을 같이 나눠 지고 싶은데 지를 수 있는 이벤트를 만들어 주세요.
제보) 이모티콘이 커서 부분에 안붙고 맨 마지막 단락 끝에 붙어요. 중간에 이모티콘 붙이려면 글을 지워애 하는 불상사가 생깁니다! 확인 부탁이요 (삭제된 이모지)

Jaekky님의 댓글

작성자 Jaekky (106.♡.197.245)
작성일 04.26 08:14
와...비용이 어마무시하네요. ㅜㅠ
직홍게 같은걸 만들어서 지속적인 수익이 나도록 해야 되지 않을까요?

찰스님의 댓글

작성자 찰스 (112.♡.108.57)
작성일 04.26 08:27
힘네세요 대장님:)

잠이좋아님의 댓글

작성자 잠이좋아 (182.♡.71.215)
작성일 04.26 08:29
잘 읽어 봤습니다~
아 이거 읽는게 아니었구나...


...

맨땅헤딩님의 댓글

작성자 맨땅헤딩 (39.♡.231.30)
작성일 04.26 08:35
묵묵히 감자탕만 깍으며 기다리는 중입니다. ㅎㅎ

뼁끼쟁이님의 댓글

작성자 뼁끼쟁이 (220.♡.220.35)
작성일 04.26 09:08
같이 만들어가는 다모앙이니까 언제든지 필요하시면 협조를 요청해주세요~
같이 모여 놀수 있는 곳을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ㅎ

불의정령님의 댓글

작성자 불의정령 (121.♡.122.206)
작성일 04.26 09:09
AWS SA입니다...CloudFront는 CloudFront Savings Bundle 과 월 10TB이상의 트래픽이 있을때 쓸수 있는 사용자 지정요금제를 가지고 할인을 받을수 있구요 EC2부분에 해당하는것은 RI나 Compute Saving Plan, EC2 Instance Savings Plans 이 있으니 MSP업체 컨택해서 잘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sdk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dk (175.♡.123.172)
작성일 04.26 09:15
@불의정령님에게 답글 저희는 하루에 1.5TB 이상입니다. (일주일 전) 기준 현재 M 사와 계약 진행중입니다 감사합니다.

불의정령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불의정령 (121.♡.122.206)
작성일 04.26 09:36
@sdk님에게 답글 혹시 CloudFront Savings Bundle 을 쓰시면 약정금액의 10%만큼 WAF (Web Application Firewall)을 쓰실수 있는데 트래픽규모로 봐선 거의 무료로 쓰실수 있을것 같습니다.

Rock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Rock (110.♡.146.124)
작성일 04.26 09:24
유료 서비스를 만들어 주세요
회원 간에 서비스 차등 주기 싫다고 하셨으니
구독 회원은 회원 보기에서 명예뱃지 하나씩만 달아 주시면 충분하지 않을까요?

ellago님의 댓글

작성자 ellago (118.♡.3.78)
작성일 04.26 09:37
그나마 굿즈 진행해서 한시름 덜었다고 생각했는데
그냥 다시 구글 가면 안되려나요??

유저 입장에선 쾌적한 속도 안정적인게 젤 편하고 좋지만
운영자 입장에선 비용보면 속이 새카맣게 타들어갈텐데 ㄷㄷㄷㄷ
구글 광고수익은 언제부터 들어오려나요??
여긴 부담돼서 이용못하겠단 생각들지 않게 부담없이 오랫동안 정착하고싶으니
sdk님도 너무 고집부리지 마시고 무료 베네나 광고, 도네 등 적극적으로 활용해주세요!!!
좋은 공간 만들어주셨는데 이런 일은 너무 가슴아파요.

빵빵곰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빵빵곰 (104.♡.71.27)
작성일 04.26 09:54
국내는 네이버 클라우드가 낫습니다. ㅎㅎ
cdn은 클xx의 것을 역분석해보시는 것도 좋겠네요. 비용과 해외성능을 모두 잘 잡았다고 생각합니다.

왠지 편의 때문에 원큐에 하는 걸 하고 계신다고 생각되긴하네요. 어쩔 수 없는 상황이 있지만…

뭐가 되었던 좋은 선택을 하시길 빕니다.

loveMom님의 댓글

작성자 loveMom (211.♡.188.75)
작성일 04.26 10:17
"중간에 구글 클라우드에서도 최상의 BENEFIT 으로 해주신다고 하셨는데 저흰 이미 이사를 했지 않습까 ?"

>> 배는 이미 아마존으로 떠났드
진작에 잘 해주징~
근데, 기술지원단 분들이 구글보다 아마존에 더 익숙하다 들었는데 아닌가요?

sdk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dk (116.♡.107.11)
작성일 04.26 10:33
@loveMom님에게 답글 제가 아마존 어색합니다. ㅠ

loveMom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loveMom (211.♡.188.75)
작성일 04.26 10:37
@sdk님에게 답글 이미 여러번 입증해줘서 알아요

검붉은바다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검붉은바다 (125.♡.8.192)
작성일 04.26 10:36
aws가격이 좀 사악하죠
얼핏보면 저렴한듯하나, 지속적인 트래픽이 있다면, 무시못할 금액이 나오더군요

하백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하백 (211.♡.95.114)
작성일 04.26 10:43
아이고 너무 급하게 하시다보니..
중간 업체랑 계약 진행중인거 같은데 그렇게 하면 cdn경우 70~90% 할인해 주기는 합니다만,
해외에서도 사용하시겠지만 국내 커뮤니티인데 아마존 cdn을 써야하나 하는 의문이 있긴 합니다.
할인을 받아도 비싸서..

Funalism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Funalism (221.♡.61.1)
작성일 04.26 11:10
비용 정말 눈깜짝할사이에... 불어나죠......

오호라님의 댓글

작성자 오호라 (175.♡.154.96)
작성일 04.26 12:15
알뜰구매 좀 더 활성화에 신경써야 겠네요..

stillcalm님의 댓글

작성자 stillcalm (221.♡.128.197)
작성일 04.26 12:52
감사합니다.

유전무죄무좀유죄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유전무죄무좀유죄 (122.♡.150.82)
작성일 04.26 12:53
국내용으로 aws 라이트세일 인스턴스를 nginx 리버스 프록시 및 캐시 레이어로 10불짜리 30대 묶으면 300불에 90TB 대응이 가능합니다. 이미지 오브젝트들 캐시 히트를 높히려면 디스크가 더 큰 인스턴스 하면 되구요. 동영상 서비스를 s3 랑 엮어서 이렇게 쓰는데 비용효율성이 최고입니다. 그리고 나머지 인프라들은 DR 고려말고 한곳의 가용영역으로 모아버리시구요. 비용과의 싸움에서 승리하시길 바랍니다 :)

농약벌컥벌컥님의 댓글

작성자 농약벌컥벌컥 (136.♡.34.98)
작성일 04.26 12:54
이건 좀 여러가지로 고민해보셔야할듯합니다.

ssunshine님의 댓글

작성자 ssunshine (112.♡.82.156)
작성일 04.26 13:16
제가 클라우드 세대 이전이라 잘 모르는데 서버 호스팅 무제한 트래픽 같은 것도 있던데 이런건 안되는걸까요?

pillllll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pillllll (221.♡.114.92)
작성일 04.26 13:56
다모앙이
글로벌 서비스가 아니다 보니
aws 또는 구글 클라우드, azure등을 고집할 필요는 없을듯 합니다.

위에 댓글에서도 네이버 클라우드 같은
생소할 순 있어도 가격적 이점이 있다면
국내 클라우드를 선택하는것도 하나의 방법일테고
'클라우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 또한 방법일 수 있습니다.

떡갈나무님의 댓글

작성자 떡갈나무 (118.♡.0.82)
작성일 04.26 15:55
늘 수고 많으세요.
감사합니다

SprotbackLover님의 댓글

작성자 SprotbackLover (59.♡.60.139)
작성일 04.26 16:41
뭐가되었든간 응원합니다.
sdk님 화팅

간실장님의 댓글

작성자 간실장 (1.♡.173.35)
작성일 04.26 17:20
비용이 생각보다 많이 나오는군요..
클라우드 세팅되면 계정 받아서 서버 구축이랑 코딩 작업만 해 왔는데..
클라우드쪽도 뭔가 할게 많아 보이네요..

담연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담연 (121.♡.35.198)
작성일 04.26 17:23
글과 글 안의 사이트 내용까지 잘 봤습니다. 고수신 듯.
유저에게 한 달에 100원? 500원 씩 받으면 어떨까요

paypal donate 버튼 같은거 만들어서요

담연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담연 (121.♡.35.198)
작성일 04.26 17:25
지금 다모앙 운영주체가 개인사업자인거 같은데 법인으로 하면 더 좋을 듯요.
유저들을 주주로! 주주총회는 다모앙 플랫폼 이용해서!

만두꽃님의 댓글

작성자 만두꽃 (211.♡.204.71)
작성일 04.26 17:34
않습까 ? -> 않습니까?
지속 적으로 -> 지속적으로

수고 많으십니다.
좋은 공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삭제된 이모지)

tb99님의 댓글

작성자 tb99 (61.♡.14.191)
작성일 04.26 17:58
수고 많으십니다. 응원합니다.

남녀칠세마동석님의 댓글

작성자 남녀칠세마동석 (79.♡.55.5)
작성일 04.26 21:17
CDN은 국내 CDN업체 사용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트래픽이 많은 경우 잘~ 계약하면 예상보다 훨씬훨씬 싼 가격에 CDN 이용이 가능합니다.

뚜찌님의 댓글

작성자 뚜찌 (220.♡.72.82)
작성일 04.26 22:43
저도 국내 사용자가 대부분이라 생각해서 가격이 이점이 있다면 네이버 클라우드 같은 국내 클라우드도 추천합니다. NHN이나 네이버 모두 해외 CDN 리전은 있을테니... 흠...

구글이 좀 더 빨랐으면 좋았을텐데...

그나저나 유튜브는 이제 슈퍼쳇 쏠 수 있나요?

JakeKimm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JakeKimm (39.♡.42.32)
작성일 04.26 22:49
그냥 저는 @sdk 님이 금수저 3세로 인정하렵니다.

지속가능한노가다의억군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지속가능한노가다의억군 (221.♡.127.218)
작성일 04.26 22:59
항상 감사하십시오 휴먼 하는중 입니다.

plenty님의 댓글

작성자 plenty (121.♡.132.14)
작성일 04.27 00:37
클라우드 쓰다가 서비스가 궤도에 오르면 예상되는 트래픽 고려해서 실제 서버로 옮기는 게 비용 측면에서 더 나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루나님의 댓글

작성자 루나 (115.♡.127.188)
작성일 04.27 00:49
파이선 공부해보고 싶어서 작년에 잠깐 보다가 프로젝 투입되면서 접었는데요. 틈날때 한번씨구경하고 겅부좀 할 수 있겠습니까? 배우고 싶습니다 파이선 ㅎㅎㅎ
글쓰기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