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

미국의 후진적 인프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트레이드조 71.♡.138.204
작성일 2024.06.04 04:17
6,646 조회
24 댓글
21 추천
글쓰기

본문

미국이라고 최첨단일수도 없고 곳곳에 후진적 인프라가 많은것도 사실인것 같습니다.


미국의 수도관 파열과 교체 문제는 나라가 존재하는한 지속될텐데 나라가 넓어도 너무 넓으니

항상 문제가 되는것 같습니다.

지난주 부터 애틀랜타는 물공급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합니다.

대략 700만의 인구가 모여서 사는데 말이죠.

노후화된 수도파이프가 문제죠. 보통 50년에서 100년 정도 되었다고 하니....

미국은 매년 들어가는 수도파이프 교체비용으로 1조4천억 정도 소요됩니다.

근데 빨리 고치지도 못합니다. ㅎㅎㅎㅎ

미국의 도로와 전기, 수도 시설 낙후된건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상식이 된지 오래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어떨지 모르겠네요..

트레이드조 Exp 2,046,981
2527%

댓글 24 / 1 페이지

TallFescue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TallFescue (174.♡.196.131)
작성일 06.04 05:25
미국의 무엇이 최첨단일까요?
인프라는 하나도 모르겠구요
수만명이 사는 주거지역에 며칠씩 정전나는게 연례행사인 나라인걸요

과금 시스템이나 구독 시스템 정도는 첨단이죠.

왁스천사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왁스천사 (125.♡.210.135)
작성일 06.04 07:44
@TallFescue님에게 답글 팁 시스템이 최첨단입니다! 진짜 온갖 키오스크나 단말에서도 팁을 계산할 수 있는 기술은 정말 어디가도 볼 수 없는 최첨단이더군요...

뭐든세워보자님의 댓글

작성자 뭐든세워보자 (70.♡.132.226)
작성일 06.04 05:36
국힘이나, 윤석렬 같은 자들이 안보이다는 점은 좋아요.

박패기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박패기 (59.♡.135.120)
작성일 06.04 06:20
@뭐든세워보자님에게 답글 대신 트럼프가 있죠... 거기 성조기? 부대는 총 들고 의회를 점령하기도 했구요.

뭐든세워보자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뭐든세워보자 (141.♡.46.20)
작성일 06.04 10:11
@박패기님에게 답글 물론 과격하기는 하지만 적어도 나라를 팔아먹는짓은 안하죠.

PTSD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PTSD (1.♡.171.51)
작성일 06.04 10:32
@뭐든세워보자님에게 답글 거긴 트럼프 하나지민 우린 굥 쥴리 둘이나 되죠. 콤비.

todesto님의 댓글

작성자 todesto (76.♡.120.245)
작성일 06.04 06:20
그래도 50년, 100년 정도 버티잔아요.
한국은....

그아이디가알고싶다님의 댓글

작성자 그아이디가알고싶다 (50.♡.69.193)
작성일 06.04 06:32
미국이 미국달러와 첨단기술을 보유하고 있어서 그렇지 인프라의 질은 한국보다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미국달러와 첨단기술, 그리고 자원으로 하드캐리하는 거죠.

사과씨님의 댓글

작성자 사과씨 (54.♡.196.175)
작성일 06.04 06:45
미국이 최첨단을 달리고 있는 건 자본주의입니다.

led형광등님의 댓글

작성자 led형광등 (106.♡.2.155)
작성일 06.04 07:03
미국은 그저 강대국일 뿐, 선진국은 아니죠.

changseok님의 댓글

작성자 changseok (208.♡.112.130)
작성일 06.04 07:22
최첨단의 상징(?) 실리콘밸리 삽니다. 비바람 강하면 단수되고 인터넷 끊기고 정전됩니다. 사람사는 곳 다 비슷합니다.

ThinkMoon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ThinkMoon (211.♡.181.248)
작성일 06.04 07:55
@changseok님에게 답글 정전이 일상이라.. 거기에 있는 구글 애플 등은 RE100 기준도 채울 겸해서 자체 전력 시스템을 갖춘거라고 봐야겠네요.

조알님의 댓글

작성자 조알 (72.♡.119.64)
작성일 06.04 07:29
제가 중서부 북쪽동네에 한 10여년 살땐 심지어 동네에 토네이도가 와도 정전이나 단수를 못 겪었는데요..
남부로 이사오고 났더니 일년에도 몇번씩 겪고 있습니다..
추워졌다고 pipe burst 로 수압 떨어지고, 비바람만 좀 심하게 들이치면 정전되고..
같은 미국이라도 인프라 차이가 진짜 주마다 동네마다 엄청 큰거 같아요.

rymerace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rymerace (115.♡.71.196)
작성일 06.04 07:33
그 넓은 땅에 그정도 유지하는 것도 미국 아니면 못하지 않을까 싶네요. 남미쪽은 잘나갈때 깔아놓은 인프라들이 관리를 전혀 못해서 괴멸 수준인데도 있는 것 같더군요.

떠쓰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떠쓰 (96.♡.227.104)
작성일 06.04 07:54
아직도 나무 전봇대를 즐겨 쓰는 나라죠.
덕분에 조금만 돌풍이 불면 전봇대 부러져서 정전도 되고.....
그럼 다시 나무 전봇대 금방 새워서 빨리? 복구해요.

사이다s님의 댓글

작성자 사이다s (121.♡.208.129)
작성일 06.04 08:16
음 민영화라서 그런거죠 뭐 ㅋ

Woogler님의 댓글

작성자 Woogler (223.♡.27.54)
작성일 06.04 08:18
그걸 지을 때 우리나라가 어떤 상황이었는지 생각하면… 그 때 미국은 진짜 사기캐 그 자체였고, 지금은 아니니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삼불거사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삼불거사 (210.♡.187.179)
작성일 06.04 08:51
@Woogler님에게 답글 그렇죠. 100년전에 그정도 인프라를 구축한 미국이 정말 대단한거죠.

스페셜리스트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스페셜리스트 (211.♡.224.17)
작성일 06.04 08:56
우리나라도 머지 않았죠. 저기는 인구가 유지되니까 그나마 인프라 수선이라도 해보지.. 우리는 인구소멸지역이 다수라.. 제대로 고쳐야 할 때 인구가 없어서 예산도 없고, 투자할 메리트가 없다고 안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기, 수도, 인터넷 끊기고 시골에서 살기 쉽지 않을거라고 봅니다. ㄷㄷ 언제 그렇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이미 자기 돈 내고 전기 끌어야 하는 집도 꽤 있을 겁니다.

choochoo님의 댓글

작성자 choochoo (222.♡.144.182)
작성일 06.04 09:05
도시화의 장점이 인간이 한 곳에 모여 산다는 것이죠.
그러면 사회간접자본 비용도 줄고 자연 훼손도 덜하게 되는 등 여러 장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미국의 도시화는 밀도가 너무 낮은 방사형이라 그만큼 비용이 많이 들죠.
미국이 인구 대비 탄소배출량 높은 이유 중 하나.

aquapill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aquapill (1.♡.247.235)
작성일 06.04 10:50
@choochoo님에게 답글 '도시의 승리'라는 책에서, 저자가 대도시야말로 면적당 또는 인구당으로 나눠보면 대단히 친환경적이라고 주장했는데 딱 그 이유였습니다.

Peregrine님의 댓글

작성자 Peregrine (211.♡.10.243)
작성일 06.04 09:31
지금 일찍 선진국된 국가들이 비슷합니다..
나라가 폭풍 성장할 때 인프라를 엄청 지어 놨고, 그 성장기 때 지은 인프라의 노후 시점이 도래했지만 지금은 유지보수 할만한 예산이나 경제적 타당성이 안나오는 경우가 많아 방치되고 있죠. 비슷한 문제로 일본이나 독일도 인구가 적은 지방의 노후 기반시설이 제때 보수 되지 않고, 법정 노후도 시한을 한참 넘겨서 그냥 쓰고 있는 등 노후 기반시설 문제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인프라 공급이 다른 선진국에 비하면 그나마 몇 십년 늦었기에 지금은 여유가 있지만, 20~30년 지나면 비슷한 문제가 터져 나올 우려가 크죠. 그나마 일찍 인프라 공급을 시작한 서울의 경우 노후 인프라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도 돈이 많은 지자체라 어찌어찌 대응이 됩니다만... 인구 감소 문제가 본격화될 몇 십년 후는 어떻게 될까요.

예룰루랄라님의 댓글

작성자 예룰루랄라 (223.♡.99.204)
작성일 06.04 09:31
사실 그 넓디넓은 땅을 보고 있으면 어디가 망가져도 할 수 없겠다, 통신이 안터져도 할 수 없겠다 싶기는 하더라구요.

aquapill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aquapill (1.♡.247.235)
작성일 06.04 10:48
그거야 땅이 넓고 노후화되어서 그렇죠.

우리나라는 워낙에 국토가 좁고 도시 기준 밀집도가 높아서 유지보수가 편하죠.

'도시의 승리'라는 책의 저자가, 도시의 높은 밀집도 그 자체가 도시의 가장 큰 경쟁력이라 주장했던 이유이기도 하고요.
글쓰기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