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

SFF - 4060 미니PC를 완성했습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SFF009 220.♡.234.62
작성일 2024.05.25 15:49
분류 IT·전자기기
4,741 조회
26 댓글
6 추천
글쓰기 분류

본문

Feiyoupu T80 

가로 125mm 높이 250mm 깊이 200mm 정도의 비교적 작은 크기의 케이스입니다. 

패널 부터 내부 프레임까지 전부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어서 색상만 화이트로 도색한 제품이죠. 

중국산 짭이지만 품질이 상당히 좋습니다. 

다만 프레임이 빨간색이라 호불호가 갈립니다. 


사이드 패널은 슬라이드 방식입니다. 패널을 잡고 위로 당기면 빠집니다. 닫을 때는 반대순서로 내리면 됩니다. 

케이스에 홈이 있어서 거기에 맞추기만 하면 됩니다. 갭,단차가 거의 없어서 여닫을 때 아주 부드럽게 잘 작동하더군요. 


아이디쿨링 TF-9215

케이스 상단에는 92mm 15T 두께의 팬 2개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작은 케이스다보니 내부에 쌓이는 열기를 빠르게 밖으로 빼줄 수 있는 팬은 귀중한 존재죠. 

SFF 빌드에서는 녹투아 제품이 많이 선호되는데 저도 유명한 팬들은 전부 실재로 보유하고 있고 사용도 해봤지만 아이디쿨링 제품이 가격대 소음비 측면에서 꽤 좋습니다. 

팬 2개는 1,400 RPM 정도로 고정 세팅해서 상시 돌아가도록 했습니다. 

설치팁으로 팬 가이드와 설치시 팬을 딱 붙여야 합니다. 케이스에 조립시 정말 1mm 틈도 없을 정도로 딱 맞습니다. 



라이젠 7800X3D : 너무 인기 많고 유명한 CPU라 생략합니다.  

아이디쿨링 IS-47-XT LP 쿨러 : 국내 미정발로 직구했습니다. 


애즈락  A620i ITX 보드 : 미정발로 직구했습니다. 

기본 Tjmax 값이 AUTO로 잡혀있는데 75도 제한 세팅입니다. 제한이 기본값입니다.

클레브 DDR5 5600 16기가 2개 : 이쪽도 워낙 유명한 기본of 기본램이라서 생략합니다. 


SK하이닉스 P31 골드 2테라 : 이것도 유명템이라서 넘어갑니다. 다만 유명세에 비하면 온도 높고 가격은 비싸서 개인적으로는 다른 제품 추천합니다. 

써멀라이트 HR-10 2280 PRO : P31에 달아준 M.2 쿨러입니다.  Gen5 까지 커버됩니다. 


실버스톤 FX600-PT Flex-ATX : 미정발이라 직구했습니다. 

다만 ENB 7660B OEM 제품이라서 (팬과 팬세팅이 다릅니다.) 굳이 직구할 필요 없습니다. 국내 수입업체에서 7660B 개별구매 하시는 걸 권합니다. 

그리고 모듈러가 아닌 케이블 일체형이라 선정리가 진짜 욕 좀 많이 나옵니다. 다만 우겨넣으면 어떻게든 되긴 되더군요. 


컬러풀 4060 미니 8기가 

가로길이가 177mm 2슬롯에 불과한 미니 사이즈 4060입니다.  3팬 달고 나오는 4060도 있는데 저걸로 발열이 잡히나?? 하겠지만 잘 잡힙니다. 

3DMARK 타임스파이 (실내 역 28도)  GPU 최대 67도, 핫스팟 81도 정도  기록됩니다. (인케이스 상태) 다만 팬이 하나다보니 소음이 발생하는 게 단점이네요. 

no_profile SFF009 Exp 7,184
79%

댓글 26 / 1 페이지

상오기님의 댓글

작성자 상오기 (125.♡.246.122)
작성일 05.25 15:56
미니피시는 이쁜데 뭔가 어려운 세계 같습니다 ^^

SFF009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FF009 (220.♡.234.62)
작성일 05.26 06:37
@상오기님에게 답글 15~20 리터 급으로 가시면 그렇게 어렵지는 않습니다. ㅎㅎ

Layne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Layne (110.♡.55.106)
작성일 05.25 16:55
와 예쁘지만 보는것 만으로도 두통이 옵니다.
전 NR200 정도로 만족 하렵니다

SFF009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FF009 (220.♡.234.62)
작성일 05.26 06:38
@Layne님에게 답글 NR200이면 아주 좋은 케이스죠.

유닉스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유닉스 (110.♡.177.211)
작성일 05.25 18:19
필요는 없지만 갖고싶네요

노세노세님의 댓글

작성자 노세노세 (61.♡.168.121)
작성일 05.25 18:25
케이스도 이쁜데 속이 아주알차네요.
이런거 볼때마다 혹하지만 부품구성이 쉽지않다는걸 알고 항상 포기하네요ㅎ

SFF009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FF009 (220.♡.234.62)
작성일 05.26 06:40
@노세노세님에게 답글 국내 정식 발매된 케이스와 부품 만으로도 쉽게 조립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언제나 사람 욕심이 문제죠. ㅎㅎ

슈니님의 댓글

작성자 슈니 (119.♡.165.197)
작성일 05.25 19:16
플렉스 파워는 ENP-8345L이라고 새로나온놈 있는데 꽤 죠습니다. 450W에 플래티넘급이고 인핸스 최초의 모듈러 파워입니다. 사제 개조가 아니라서 찝찝할일도 없고요. 다만, 글카 전원이 8핀 하나뿐이라는게 살짝 아쉬운 부분입니다.
얼마전에 조립하면서 꽤 맘에 들었는데, 그라고 직구금지 어쩌고 딱 나오길래 하나 더 사서 쟁여뒀네요.

슈니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슈니 (119.♡.165.197)
작성일 05.25 19:19
@슈니님에게 답글


다른 PC에 7660B 들어있어서 이것도 바꿔버릴까 싶었지만
귀찮아서 냅두려고요...

SFF009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FF009 (220.♡.234.62)
작성일 05.26 06:43
@슈니님에게 답글 저는 원래 계획했던 게 7900 XTX 래퍼를 사용한 시스템이라 실버스톤 제품을 일부러 직구했던 건데 케이스 문제로 결국 방향을 틀 수 밖에 없어서 현재의 빌드가 되버렸네요. ㅎㅎ

확실히 모듈러로 구성한 거 보니까 깔끔하네요.

그린내님의 댓글

작성자 그린내 (223.♡.39.96)
작성일 05.25 23:06
와 진짜 예쁘네요.. @.@

제피르님의 댓글

작성자 제피르 (211.♡.68.89)
작성일 05.26 01:18
소음과 발열은 어떤가요?
7800x3d에 4060이면 열이 얼마나 날지 궁금하네요.
풀사이즈 타워에 5800x3d와 3080으로 게임 하나 돌리면 거의 방이 찜통이 되어서 스팀덱을 들이고 부터는 데탑은 거의 켜지도 않네요.

실리콘 맥에서 윈도우 게임도 그럭저럭 돌린다니 데탑 정리하고 실리콘 맥북을 들일까 싶기도 하고 3080 정리하고 좀 낮은 그래픽카드를 쓰면 방 온도 치솓는게 좀 잡히려나 싶기도 하고요.

게임을 워낙 좋아하긴 하는데 소음에 방 온도 치솓아서 땀 뻘뻘 흘리면서 게임하다보면 현타가 쎄게 오더라구요. 스팀덱이 게임 라이프를 완전히 바꿔놓은 탓도 있지만 가끔은 데탑에서 좋은 해상도에 큰 모니터로 게임하고 싶기도 해서 이래저래 고민만 늘어가네요.

SFF009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FF009 (220.♡.234.62)
작성일 05.26 06:50
@제피르님에게 답글 게임 기준입니다.
7800X3D는 75도 제한 + 1,500 RPM 고정이라 무소음 수준입니다. 시네벤치 멀티 점수는 1,000점 넘게 떨어지지만 게임 성능은 차이가 없어서 이 세팅으로 쓰고 있습니다. 메인보드 기본세팅이 75도 제한이기도 합니다. 

상단 배기팬 역시 고정RPM으로 정숙합니다. 92mm 지만 이 팬이 역할을 잘 하는 것 같습니다.

4060 미니가 조금 문제이긴 합니다. 풀로드 전력이 120와트 정도인데 맥시멈 걸리면 온도는 70도를 넘지 않아서 (핫스팟은 90도 이내) 온도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2500 RPM 넘게 작동하는 팬이 문제입니다. 팬 소음이 있는 편이라서 이 부분을 어떻게 개선해볼가 지금도 고민중이긴 합니다. 

시스템 전체 풀로드 기준 165~175와트 정도 전력을 소비합니다.

다발군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다발군 (121.♡.77.58)
작성일 05.26 07:56
@제피르님에게 답글 4080super가 비록 옆글이지만 소음과 온도에서 해방시켜주더라구요. 풀로드 65도를 넘지않습니다. 업글만족도가 가장좋았고 140만원 태운게 아깝지않았습니다. 고통이시라면 저처럼 옆글 추천드립니다.

슈니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슈니 (119.♡.165.197)
작성일 05.26 09:29
@제피르님에게 답글 열은 결국 전력 사용량 따라갈 텐데, 7800X3D+4060 조합이면 게임 돌릴 때 기준으로 5800X3D+3080의 절반도 안 됩니다.
일단 글카만 해도 각 TGP가 115W, 320W고 거기다 7800X3D가 게임 구동시 전력 사용량이 착하거든요.
하지만 3080과 4060은 성능차가 커서 옵션을 꽤 많이 타협하셔야 할겁니다. 타임스파이 점수가 2/3에도 못 미쳐요.
그리고 발열(전력 사용량)이 줄어든대도 온도 올라가는 게 더뎌질 뿐 막을 수는 없고, 또 모니터의 발열도 생각보다 꽤 됩니다.
그래서 PC 부품 교체에 비용을 쓰지 마시고 방 온도를 낮추는 방법에 우선적으로 투자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저도 딱 요즘같은 시기부터 방문 닫아놓으면 게임 안 하더라도 온도가 답 없이 올라가서 힘들었는데, 몇 년 전에 에어컨 설치하고 평화를 찾았습니다.

그리고 소음은 전력제한해서 사용하시면 좀 나아질겁니다.
https://coolenjoy.net/bbs/28/4455157
전력 사용량을 80~85% 정도로 제한해서 60W 정도 덜어내도 성능 하락은 5%이내로 크지 않습니다.
엔당 4000번대 제품들이 대체로 쿨링 솔루션을 엄청나게 키워놔서 조용합니다만, 어쨌거나 방이 더워지는 건 마찬가지고
또 3080에서 4070 Ti Super 정도는 가야 업글한 티가 날 텐데, 못해도 돈백은 태워야 하니 쪼끔 그래요.
곧 여름이니 일단 가장 급한 냉방부터 해결하시고 글카는 그 다음에 찬찬히 고민해보셔도 될것 같습니다.

제피르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제피르 (211.♡.68.174)
작성일 05.27 14:59
@슈니님에게 답글 답변 감사합니다~
사실 아예 여름은 방에 에어컨에 있어서 괜찮은데 오히려 한겨울(집에 아이들 땜에 보일러 돌려야 하는 시기)이나 지금 같이 애매한 시기가 좀 고민이더라구요.
방이 더워지니 더 PC는 켜기 싫어지고…
스팀덱으로 옵션 조정 후 플레이는 어느정도 익숙해져서 이제는 무조건 풀옵에 60프레임 이런걸 원하지 않게 되어 버렸네요. ㅎㅎ

셀빅아이님의 댓글

작성자 셀빅아이 (125.♡.200.218)
작성일 05.26 10:27
DeskMini에 아이디쿨링 쿨러 쓰는데, 가성비 참 좋습니다.
저 작은크기에 4060이라니 멋지네요. :)

SFF009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FF009 (220.♡.234.62)
작성일 05.27 06:19
@셀빅아이님에게 답글 SFF의 매력이죠. 작은 사이즈에 최대한 우겨넣기요. ㅎㅎ

내가그린님의 댓글

작성자 내가그린 (121.♡.219.96)
작성일 05.26 11:32
기성품 미니 PC를 알아보고 싶은데 어디서부터 찾으면 좋을까요?

SFF009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FF009 (220.♡.234.62)
작성일 05.27 06:17
@내가그린님에게 답글 ASUS PN시리즈
애즈락 데스크미니 시리즈
이런 제품 찾아보시면 될 듯 합니다.

셀빅아이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셀빅아이 (125.♡.200.218)
작성일 05.27 07:46
@내가그린님에게 답글 기성품은 DeskMini가 가성비 제일 좋습니다.
무거운 게임은 무리구요.

네질러님의 댓글

작성자 네질러 (59.♡.245.219)
작성일 05.26 13:00
오 예쁘네요. 심플한 외관에. 멋집니다.

SFF009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FF009 (220.♡.234.62)
작성일 05.27 06:20
@네질러님에게 답글 RGB 싫어하는 분들에게는 깔끔하고 좋은 케이스라 생각합니다.

어쩌다님의 댓글

작성자 어쩌다 (198.♡.180.151)
작성일 05.27 00:12
마더보드 앞면에는 CPU가 장착되고 뒷면에는 그래픽카드가 장착되는 구조인건가요? 조립하기 쉽지 않겠네요.

진짜메뚜기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진짜메뚜기 (14.♡.42.248)
작성일 05.27 01:40
@어쩌다님에게 답글 케이스가 반쪽으로 나눠져 있다고 생각하시면 편할 것 같습니다

SFF009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SFF009 (220.♡.234.62)
작성일 05.27 06:16
@어쩌다님에게 답글 샌드위치 구조 케이스라고 해서 이게 오히려 조립이 더 쉽습니다.
글쓰기 분류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