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

협치 : 협력의 정치가 아닌 협소한 정치..

페이지 정보

작성자 브릿매력남 220.♡.97.159
작성일 2024.06.17 17:21
263 조회
2 댓글
0 추천
글쓰기

본문

지지자들이 원하는 바를 알아보는

안목이 저렇게 좁아서야 되겠나요. 


국회법에 따라 집행하고, 

안되면 강행이라도 해서 본때를 보여줘야죠.


하.. 민주당사에 계란 한 판 던지고 오고 싶은 심정이네요.


우원식X끼... 

댓글 2 / 1 페이지

kmaster님의 댓글

작성자 kmaster (1.♡.134.156)
작성일 06.17 17:23
협치는 어느 한 당도 우위를 차지 하지 못할때  내각제에서 권력을 가져오기 위해 하는게 협치고 우리나라는 내각제도 아닌데 잘나신 의원들은 왜 협치타령을 하는지  양당제 국가에서 협치가 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서로 주고 받고 하며  아무 의미도 없는 중제안을 내는건 협치가 아니라 야합이라고 하는겁니다

humanitas님의 댓글

작성자 humanitas (78.♡.45.236)
작성일 06.17 17:46
합치가 엘리트주의라고도 보입니다. 앞서 내각제 국가도 언급하셨습니다만, 내각제 국가에서 더 잘 보이지만, 대통령 중심제로 삼권분립에 근거한 제도든 내각제이든 협치라고 이야기 되는 것들 보면, 정치 현장에서 시민과 국민은 표 받을 때만 있고, 정치 엘리트들끼리 자기들 대표 뽑고, 자기들끼리 존중하고 협의하고, 일상 정치에서 시민이 사라져 버립니다. 피선출인들을 소환하는 제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그 권한은 정치 엘리트들이 가지고 시민에게는 없고 말입니다.
글쓰기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