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

Ruby On Rails 사용기(?) 입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이쁘당 118.♡.80.84
작성일 2024.04.16 06:23
분류 서비스·SW
1,245 조회
17 댓글
2 추천
글쓰기 분류

본문

요즘 사이트를 계속 꾸준히 만들고 있는중 입니다.

 

만들다 보니 삽질을 많이 하게 되어서

 

먼가 흔적을 남겨보고 싶어서 글을 써봅니다.

 

우선 개발환경은 Ruby On Rails 로 루비는 3버전대, 레일스는 7 버전대 입니다.

 

제가 2004년에 루비 1.8 버전대와 레일스 2버전대 를 사용했던 기억이 새록 새록 하네요

 

맨땅에 헤딩한다고 당시 국내에서 구입할수 있는 모든 루비책은 다 구해본것 같습니다. 빨간책 부터 곡갱이 책 까지...

 

우선 루비온 레일스로 그동안 제가 삽질하면서 만들어온 것들이

 

여러분의 기억속에서 살아 있을지... 아니면... 영원히 잊혀졌을지 모를...

 

아이디스틱 이라는 서비스가 있었습니다.


스크린샷 2024-04-14 오전 12.09.04.png

인터넷에서 겨우 이미지 찾았네요 ㅋㅋㅋ 아직도 글이 남아있군요 이게 아마 2008년 인가 2009년 인가 그럴겁니다.

 

그다음에

 

만든 서비스가...

 

루비패스라고 있었는데...

 

요걸... 사업화 해보겠다고 법인 설립하고 

 

이름도 거창하게 "패스뱅크" 라고 이름 지었었네요

 

스크린샷 2024-04-14 오전 12.11.00.png

 

스크린샷 2024-04-14 오전 12.11.13.png

언제나 그러하듯...

 

투자 이야기가 활발했는데... 그냥 흐지부지 흘러가고...

 

친한 동생을 대표로 앉혔었는데... (저는 개발에 전념하기위해) 최초 투자자분과 지분 문제로 트러블 생기고...

 

그리고 나서 그냥 공중 폭파 되어버렸네요...

 

이외에도 자잘하게 루비로 많이 만들었었는데...

 

위에 건 이미 사라진 서비스라 홍보가 아니라 막 올려도 되는데 최근에 만든건 아직 살아 있는 서비스라

알리기 머하네요

 

일단 작년에 AI 그림 그리기가 핫하길래 냉큼 4090 그래픽 카드 사서 그림그리는 사이트 하나 만들어서 거진 1년째 돌리고 있는데 수익은 당근 0원이고 지출만 월 30만원 정도네요 (우하하하핫 전기요금 끝내 줍니다. 하루종일 4090을 풀로 돌린다고 생각해보세요)

 

뭐 구글에서는 이상한 사이트라고 애드센스 절대 못붙히게 하고... 뭐 그렇다고 회원수가 몇백명대라면 그냥 접고 말겠는데 그래도 만명 가까워서 접을수도 없는... 이상한 서비스가 되었습니다 ㅋㅋㅋ

 

그냥 전기요금 열심히 내고 있어요... 그리고 수익구조는... 뭐 굳이 만들생각이 없어서 그냥... 회원분들끼리 노시라고 방치 중인데... 커뮤니티의 기능은 상실하고 다들 열심히 그림만 그리시네요...

 

암튼...

 

홍보 아닙니다. 홍보하면 저만 손해에요... 수익구조도 없고 돈만 나가는 사이트라...

 

암튼

 

이 사이트 만들때 처음엔 그누보드로 시작했다가 시작한지 일주일만에 바로 접고

 

루비온레일스로 개발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이건 그냥 심심해서 만든건데

 

테슬라스파이라고... 테슬라 애프터블로우를 해주는 도커 이미지인데...

 

잘 동작했는데 ㅠㅠ 테슬라에서 공식 api 가 나오면서 구 API 는 막아버려서... 아예 새로 개발 해야 하는데

 

안하고 있네요 크흣

 

스크린샷 2024-04-14 오전 12.27.49.png

 

이거는 웹페이지 (관리자 페이지) 는 루비온 레일스로 되어있고

테슬라와 통신하는 부분은 파이썬으로 되어있습니다. (TeslaPy 라이브러리 사용)

 

암튼... 거의 1년 가까이 잘 써먹다가... 이제는 새로 만들어야 하는데... 귀찮아서...못하고 있네요...

 

암튼...

 

최근에는

 

위에 언급한 AI 그림 그리기 사이트의 소스로... 커뮤니티 사이트를 하나 개발 중입니다.

 

현재 기본적인 기능은 다 개발이 완료되어있고...

 

개발자 입장에서 기능을 소개하자면

 

루비온 레일스의 액션 케이블 (소켓 프로그램) 을 이용해서

 

접속한 회원 각자에게 소켓을 열어주고... 이벤트가 발생하면 실시간으로 알림을 띄웁니다.

 

예를 들면 쪽지가 왔다던가 혹은 메세지가 왔다던가...

 

메세지가 와서 메세지 함으로 들어가면 그때부터는 소켓을 이용한 실시간 채팅이 됩니다!

 

크흣... 원래 이 기능은...

 

AI 이미지 생성할때...

 

이미지서버에서 이미지 생성률을 받아올때 그걸 화면에 뿌려주기 위해 구현한건데 (각 회원별로)

 

생각해보니이 액션 케이블의 기분은 실시간 채팅 아니것습니까?

 

당장 신규 커뮤니티에 적용했습니다 ㅎㅎ

 

그리고...

 

당근 AI 이미지 생성 기능은 포함이고요

 

아참...

 

아이폰에서 파일을 업로드할때 먼가 이상하게 안올라간다 했는데... 보니까 HEIC 포멧이 문제더라고요

 

구글에서는 제대로 보이지도 않고...

 

carrierwave라는 젬을 업로드 용으로 쓰고 있는데...

 

오늘 그냥 하루종일 삽질하고 하루종일 chat gpt 괴롭히고...

 

거의 반나절만에 겨우...

 

HEIC 파일이 업로드되면 jpg 로 변환하고 썸네일 만들게 만들었는데

 

썸네일 만드는게 진짜 힘들었네요 ㅠㅠ 그냥 일반 이미지들은 잘 만들어 졌는데...

 

이상하게 HEIC 이미지는 JPG 컨버팅 까진 성공했는데 썸네일이... 마임이 HEIC 로 남아있...

 

이걸 몰랐어서 반나절 고생했네요

 

아니... 맥에서는 잘보이는데

 

브라우저에서는 안보이고...

 

크흣 엄청 고생 했습니다.


그리고 뭐 더 특별한 기능이랄게 있나 모르겠네요

암튼... 결론은

 

루비온레일스는... 혼자서 북치고 장구치기 진짜 좋은 프레임 워크 입니다.

 

왜 인기가 없는지 ㅠㅠ 이해가 안가네요 ㅠㅠ

 

외국에서는 많이들 쓰는데 ㅠㅠ 슬픕니다.

 
no_profile 이쁘당 Exp 0
0%

전기차 커뮤니티 이쁘당 (EVDang) 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https://evdang.com

전기차 커뮤니티 이쁘당 (EVDang) 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https://evdang.com

댓글 17 / 1 페이지

모멘텀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모멘텀 (253.♡.228.67)
작성일 04.16 08:08
저 처음 입사했을 때 선임이, 너는 개발자가 아니니 파이선, 펄, 루비 중 암거나 하나만 선택해서 파고들라고 했는데,,, 그때 펄을 선택해버렸네요..
제가 했던일이 로그처리와 관련되어있어, 펄이 더 뛰어나다는 글을 봐서요...ㅠ
근데 이제 펄도 다 까먹고, 제가 짠 스크립트 보면 변수가... 정말 변태같네요;;; 왜 펄을 했지 ㅠ
**수정)!! 루비온레일스는 루비로 만든 프레임워크일 뿐이고, 루비 언어를 쓸필요는 없는건가요? ㅎㅎ

이쁘당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이쁘당 (254.♡.247.184)
작성일 04.16 08:47
@모멘텀님에게 답글 어아 레일스가 프레임워크입니다 루비가 레일스 위에 돌아간단 의미로 루비로 써야 해요 ㅜㅡㅜ

모멘텀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모멘텀 (253.♡.228.67)
작성일 04.16 08:53
@이쁘당님에게 답글 아아 루비를 사용하는게 맞나요;;
정말 찍먹도 안해본 언어가 루비라 ㅠㅠ
아참! 만드신 작품들 멋지십니다! ㅎ

이쁘당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이쁘당 (254.♡.247.184)
작성일 04.16 09:16
@모멘텀님에게 답글 이참에 찍먹 해보세요 워낙 쉬워서 찍자마자 한숟갈 뜨는 효과가 있습니다!

작은우산아래서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작은우산아래서 (118.♡.148.155)
작성일 04.16 10:28
@모멘텀님에게 답글 루비가 펄에 영향을 많이 받은 언어입니다. 문법도 꽤 비슷해요. 루비 쪽이 오히려 특수문자를 잘안쓰고, 좀더 모던합니다. 펄을 하셨다면 알게모르게, 함수나 문법을 보면 익숙(괄호나 세미콜론 없는 거 빼고)하실 겁니다. 그래서 일본 개발자들도 펄을 쓰다가 루비로 많이 넘어가는 것 같습니다.(개인적인 추측)

이쁘당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이쁘당 (254.♡.247.184)
작성일 04.16 10:39
@작은우산아래서님에게 답글 아아 펄은 한번도 안해봐서 모르고 있었네요 :)

모멘텀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모멘텀 (253.♡.228.67)
작성일 04.16 12:05
@작은우산아래서님에게 답글 저는 이제 파이선 할겁니다!! ㅠㅠ
파이썬이 정말 편하다고 느껴져서요 ㅎㅎ
인덴트는 vscode쓰니 알아서 예쁘게 잘 되네영 ㅋ

눈물나지않게추억하기님의 댓글

작성자 눈물나지않게추억하기 (211.♡.248.150)
작성일 04.16 08:38
국내에서는 레드마인 커스텀 할 때 ROR 사용하는게, 가끔 루비 개발자로 들어가서 현업으로 본 분이 국내에는 딱 3분 계시네요.
/Vollago

이쁘당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이쁘당 (254.♡.247.184)
작성일 04.16 08:47
@눈물나지않게추억하기님에게 답글 크흣 이제 그 현업에 저도 포함시켜주세욥

위즈덤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위즈덤 (220.♡.187.181)
작성일 04.16 10:20
초창기에 흥미 가지고 책 좀 보고 했는데 역시 비전공자라 개념을 잘 못잡아서 그냥 포기하고 말았는데 아직까지 쓰이는군요! (기억의 오류가 있나 싶어 댓글 쓰다 지웠는데 루비를 일본인이 만든거고 루비온레일즈는 다른 사람이 만든거군요)

작은우산아래서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작은우산아래서 (118.♡.148.155)
작성일 04.16 10:33
@위즈덤님에게 답글 해외는 아직 레일즈가 주류입니다만 루비(레일즈) 개발자가 수요에 비해 모자라서, 좀더 단가가 저렴한(=공급이 많음) 다른 언어로 하나둘씩 옮겨가는 추세구요. 한국은 자바가 평정(과공급)했고, JS와 Python이 파이를 뺏는 형국입니다. 그래서 루비 배우셨어도 많이 못쓰셨을 확률이 높습니다.

이쁘당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이쁘당 (254.♡.247.184)
작성일 04.16 10:41
@작은우산아래서님에게 답글 맞습니다 저도 자영업하니까 루비 쓰지... 아마 si 하면 자바 썻을거 같네요

위즈덤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위즈덤 (220.♡.187.181)
작성일 04.16 14:52
@작은우산아래서님에게 답글 그러게요...국내에서는 왜 SI가 자바로 평정이 되었는지 궁금하더라구요.

켄지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켄지 (27.♡.144.71)
작성일 04.16 15:30
@위즈덤님에게 답글 전자정부프레임워크요....

위즈덤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위즈덤 (106.♡.130.124)
작성일 04.16 17:09
@켄지님에게 답글 전자정부를 왜 자바로 구축했는지가 궁금하더라구요.

켄지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켄지 (27.♡.144.71)
작성일 04.17 17:04
@위즈덤님에게 답글 나무위키를 참조해보자면....
전자정부프레임워크가 처음 등장한게 2009년 이었고
당시로는 java/spring이 신기술이면서 트렌드였었다 하네요.

개인적으로는 그 외로도 어른들의 사정이 있지 않았을까 싶기도 한데...

여튼 당시로써는 나름 혁신적인 시도였으나...
국내 SI산업의 특이점과 맞물리면서...
뭔가 의도치않은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 같아요.

이쁘당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이쁘당 (254.♡.247.184)
작성일 04.16 10:41
@위즈덤님에게 답글 넵넵
한국에서 루비는 ㅎㅎㅎ 자영업자에게나 좀 쓸만 할까하네요
글쓰기 분류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