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적 피해와 정책 우선순위

알림
|
X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diynbetterlife 220.♡.37.28
작성일 2024.09.10 01:43
269 조회
2 추천
글쓰기

본문


책 

부수적 피해, 지그문트 바우만 저







골든아워 1,  이국종 저







며칠 전 겸공에서 ‘외로움’을 주제로 책 소개를 할 때,

사회로부터 보호받지 못한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아질 수록

극우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아! 겸공에서 소개한 책은 오늘 제가 소개하는 책과는 완전 다릅니다)


이는 공동체 전체의 위기로 이어지죠.


저는 두 책에서 공통점을 봅니다.


자연재해의 피해도 가난한 사람이 더 크다는 점. 절대적 피해액이 아니라 그 사람의 재산 비중이나 열악한 주거환경, 치료나 복구능력 등을 고려하면요.

피해 지원에 소극적인 정부에 대한 동기 의심.


또.. 중증외상센터로 오는 환자는 주로 고위험 현장 노동자들입니다. 외상센터 지원을 위한 정책협의를 할 때, 의사를 정치의 보여주기식 전시성 도구가 아니라, 진지한 논의와 반영의 주체로써 생각한다면, 의사에게 외상센터 말고도 고려할게 많다는 말은 애초 꺼낼 필요도 없겠죠.


그냥 부수적 피해 취급하는거예요.


+


옆동네에 같은 글을 올리고 오간 댓글 중, 

제 최근 댓글을 공유합니다.


와.. 마이클센델의 공정이라는 착각을 읽어보신 듯 하네요. 읽었다 하더라도 이렇게 요약이 … ㄷㄷ

그리고 사회에서 성공했다고 볼 수 있는 직업이나 소득군이 느끼는 역차별도 능력주의로 인한 결과이면서도, 능력주의를 따르면서 역차별을 외치는게 모순이라는 걸 깨달아야 한다.

역차별 역시 조건의 우연적 결합 가능성을 극대화해서 해소방안을 찾을 수 있다는 의미같습니다.

제가 이해하기로는요..

그래서 센델이 나이, 연령, 소득, 등등 다양한 계층이 섞이는게 중요하고 공공시설이나 서비스가 (예: 공공 도서관) 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예를 든 것 같습니다.

박구용이 예시로 들은 독일의 도심공원도 좋은 예 같고요. 강물을 도심 한가운데로 끌어왔는데 파도가 쳐서 사람들이 호텔 등 고비용을 내지 않고도 공공시설인 공원에서 서핑도 하고 sns 비교질과 관음증도 줄일 수 있어 사회 연대나 정신건강에도 도움될 수 있다고요.

공원이 그 지역의 삶의 수준과도 연관돼 있으니, 좋은 사례를 참조해 개발해야 한다는 것 같습니다.

댓글 0
글쓰기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