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 친할머니가 돌아가셨는데 장례식 비용 이게 맞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아바타
211.♡.113.108
작성일 2025.05.12 11:47
4,641 조회
45 추천

본문


요즘 보면 가족장으로 해서 장례식을 최대한 간소화해서 하는 경우도 많아졌더라고요.

저도 혹시 죽으면 바로 화장해달라고 말해놨습니다 ㄷㄷㄷ


45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22 / 1 페이지

넘실이님의 댓글

작성자 넘실이 (124.♡.63.42)
작성일 05.12 11:49
저도 장례하지말고 화장바로 하라고 얘기해놨어요

케이건님의 댓글

작성자 케이건 (168.♡.154.34)
작성일 05.12 11:53
보통은 손님 많을 경우 결혼식과 마찬가지로 조의금으로 어느 정도 해결이 됩니다만..
찾아오는 지인들이 부족한 경우라면 추가 금액이 들어갈 수 밖에 없죠..

RE2PECT님의 댓글

작성자 RE2PECT (222.♡.128.124)
작성일 05.12 11:54
대학병원은 장례식장이 운영에 큰 도움이 된다고 본것 같습니다 ㄷㄷ

monarch님의 댓글

작성자 monarch (211.♡.149.205)
작성일 05.12 11:56
영리 의료법인은 불법인데 몇 안되는 영리가능 사업이 장례식장이죠.

메카니컬데미지님의 댓글

작성자 메카니컬데미지 (211.♡.138.253)
작성일 05.12 12:02
장례도 간소화하고 매장도 법으로 금지 시켰으면 좋겠습니다.

미루미루님의 댓글

작성자 미루미루 (104.♡.217.212)
작성일 05.12 12:04
종합병원 수입1위 장례식장 2위 주차장이죠..

한달만님의 댓글

작성자 한달만 (118.♡.6.124)
작성일 05.12 12:04
그래서 부조금을 드리고 오는거죠..
큰일에 보태시라고요..

늙은젊은이님의 댓글

작성자 늙은젊은이 (58.♡.86.18)
작성일 05.12 12:07
그래서 무빈소 장례가 더 활성화 되어야 합니다.

19금님의 댓글

작성자 19금 (112.♡.203.217)
작성일 05.12 12:09
가족장 생각하고 있습니다.

후아앙님의 댓글

작성자 후아앙 (106.♡.135.25)
작성일 05.12 12:12
병원에서 수익1등 부서가 장례식장 이라죠.

얼남인즐님의 댓글

작성자 얼남인즐 (211.♡.131.158)
작성일 05.12 12:12
작은결혼식은 가능한데
장례식은 쉽지 않죠.
법적인 문제도 있지만 작은 장례식을 원하지도 않습니다.
마지막 가는길 원없이 하려는 유가족이 대부분이라서요.
그걸 장례식장은 등쳐먹는 수준으로 벗겨 머꼬요.

누리꾼님의 댓글

작성자 누리꾼 (58.♡.61.230)
작성일 05.12 12:15
상주가 부모님이고
부의금이 들어왔는데
손주가 계산을 한다?
장례 치뤄봤지만 저긴 좀 이상하군요
유품정리도 가족이 하면 되는거고,
음식값은 좀 비싸긴 합니다만
일반 식당말고 예식장하고 비교해야할 듯하구요,
각 지역마다 공립 시설이 있으니
그쪽을 알아보셔요

아이리어펠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아이리어펠 (118.♡.7.209)
작성일 05.12 12:19
@누리꾼님에게 답글 그러게요 어지간하면 부의금으로 충당되던데 말입니다...

BlueX님의 댓글

작성자 BlueX (106.♡.128.58)
작성일 05.12 12:22
대학병원 장례식장도 일반적으로 저렇게 안나올텐데...엄청 당하신듯요.

커스텀키보드님의 댓글

작성자 커스텀키보드 (223.♡.94.32)
작성일 05.12 12:24
장례식장이 대형 병원 캐시카우 중 하나죠
주차장도 꽤 수익성이 좋고요 ㅡㅡ

빅버그님의 댓글

작성자 빅버그 (222.♡.34.145)
작성일 05.12 12:24
30여년 전만 해도 음식을 집에서 직접 해갔습니다...그 때 생각하면 지금도 끔찍합니다.

우라레지님의 댓글

작성자 우라레지 (116.♡.50.145)
작성일 05.12 12:36
저의 경험과 지인들의 얘기를 들어본 바, 상조회사를 통하는게 더 저렴합니다.
상조회사라고 마진을 안보는건 당연히 아니지만 바로 장례식장을 섭외 하면 경황 없는 상주를 상대로 눈탱이를 좀 치는 듯 하네요.
저도 상을 치룰 때 상조회사에서 어떤 어떤 항목은 크게 중요하지 않으니 싼걸로 하시고, 어떤 항목은 중간 이상이 괜찮다고 옆에서 코치를 해주는 덕에 많은 도움 됐습니다.

야나기님의 댓글

작성자 야나기 (203.♡.212.30)
작성일 05.12 12:36
일단 저소득층의 결혼식장과 장례식장을 대관할 장소가 급선무고요
점차 늘려야죠.

고물개님의 댓글

작성자 고물개 (211.♡.142.160)
작성일 05.12 12:51
화장장 잡기 어려워서 상조업체 통해서 해요
화장시설을 먼저 늘려야 합니다

powermax님의 댓글

작성자 powermax (222.♡.158.106)
작성일 05.12 14:21
서울권에서 화장장 잡기 어렵지 않습니다. 3월 초에 상 치뤘는데 생각보다 화장장 잡기는 어렵지 않았습니다.

모 종합병원 장례식장에서 진행했는데
술, 음료, 비품 등은 장례식장내 편의점(cu)에서, 음식은 구내식당에서 납품하더군요
외부음식은 반입이 안된다고 해서 그러려니 했고
비품들은.... 가격이 일반 cu 가격보다도 최소 5%~10% 이상 붙여서 들여오더군요.
물티슈 하나가 5000원에 들어오는걸보고... 비품은 한쪽에 딱 몰아두고 안쓰고
가까운 다이소가서 싹 다 사왔네요.
사정상 장례를 좀 짧게 지냈는데도 900만원정도 나왔습니다.

경황이 없는 사람들 상대로 눈탱이는 기본으로 치는게 장례문화라는 사실이 씁쓸했습니다.

인생은경주님의 댓글

작성자 인생은경주 (39.♡.28.36)
작성일 05.12 14:53
협동조합 장례  검색해서  하시면  실제로 부담이 믾이 준다고 합니다

쟘스님의 댓글

작성자 쟘스 (221.♡.194.163)
작성일 05.12 15:17
세상이 빠르게 변해가는데
전통행사나 의식 등도 자본주의에 맞게 바뀌어야죠.

간소화하고 필요없는 비용은 없애는게 맞다고 봅니다.

애도하고 화장이든 매장이든 잘 보내드리면 되는게 핵심인데, 모여서 밥먹고 하는 건 간소화하는게 낫다고 봅니다.
×
×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