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1조 자산가가 빈민가에서 아사한 이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미
작성일 2025.06.10 10:48
10,045 조회
455 추천

본문

저 집안이 지금 명동 대부분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거 팔아서 독립자금으로 썼습니다.

455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21 / 1 페이지

PearlCadillac님의 댓글

작성자 PearlCadillac
작성일 06.10 10:49
진짜 보수는 일제시대때 다 돌아가셨다고 하죠;;
친일찌끄래기들이 보수참칭하구요...

호그와트머글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호그와트머글
작성일 06.10 11:14
@PearlCadillac님에게 답글 "일제시대"가 아니라 "일제감점기"라는 표현 부탁드려요. 한국사에서 일본에 강제로 점령당한 시기를 하나의 시대로 인정하는 분위기부터 바로 잡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PearlCadillac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PearlCadillac
작성일 06.10 11:17
@호그와트머글님에게 답글 수정하고 싶은데 리플이 달리면 수정이 안되네유 ㅠㅠ

호그와트머글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호그와트머글
작성일 06.10 12:02
@PearlCadillac님에게 답글 태클 아니니까 넘 맘상해하지 마세요^^ 그냥 그렇다구요~

남산깎는노인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남산깎는노인
작성일 06.10 11:25
@호그와트머글님에게 답글 일제침략기가 좀 더 와닿습니다. ㅎㅎ 뭐 그냥 그렇다는 겁니다. 태클아닙니다. ^^

근짱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근짱
작성일 06.10 12:50
@호그와트머글님에게 답글 일제 강점기가 맞는 것 같습니다.

호그와트머글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호그와트머글
작성일 06.10 15:43
@근짱님에게 답글 앗..오타네요^^ 저도 답글 달려서 못바꿔요 ㅜㅜ

까망꼬망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까망꼬망
작성일 06.10 12:48
@PearlCadillac님에게 답글 비근한 예로 개신교를 들수있죠.
독립운동하고 신앙 지킨 분들은 일제에 다 죽임당하고
일본에 부역질하던 놈들만 살아남은 형국이거든요.

눈팅이취미님의 댓글

작성자 눈팅이취미
작성일 06.10 10:49
ㅜㅜ 맘이 아픕니다..

naroo님의 댓글

작성자 naroo
작성일 06.10 10:49
이제 진정보수를 만들어야죠. 어용보수는 부수고요.

윰어님의 댓글

작성자 윰어
작성일 06.10 10:52
부일매국노 재산 모두 몰수하고 독립유공자들 후손에게 지금이라도 전부 돌려 줘야 합니다.

Rider_man님의 댓글

작성자 Rider_man
작성일 06.10 10:55
이분들때문에라도. 부일하면 3대가 먹고 산다는 말이 사라져야 합니다!!

kmaster님의 댓글

작성자 kmaster
작성일 06.10 11:03
경주 최부자집도 독립운동 하고 해방 후 사회운동 교육쪽에 가문의 전재산을 쏟아 부었죠 
거기다 삼성 이병철한테  대구 대학 넘긴것도 박정희가 꿀꺽 했고요
독립운동 하던 부자들 중에 끝이 좋았던 경우는 거의 없던것 같습니다  해방이후에 군사정권 시절에 막타로  털린 경우가 많죠

용가리11님의 댓글

작성자 용가리11
작성일 06.10 11:12
비슷한 얘기로, 일제 시대 비밀리에 독립운동하던 단체나 위인 분들이 안알려지는 경우가 많다고 하죠.
일제에 들키지 않아서 노출되지도 않았고, 해방 후에 그런 활동을 했다고 공개도 안하셔서,
우리가 아는건 활동이 드러난 단체, 위인 분들이지, 음지에서 활동하시다 조용히 사라져가신 분들은,
진짜 알기 힘들다 라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옐도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옐도
작성일 06.10 11:20
@용가리11님에게 답글 이건 정말 안타까워요

빅버그님의 댓글

작성자 빅버그
작성일 06.10 11:30
다시 한번 머리 숙여 감사드립니다.

이석영 독립운동가 후손 현황

**요약**
- 오랫동안 이석영 선생(1855~1934)의 직계 후손이 모두 끊긴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조사와 유전자 검사 등으로 국내와 대만에 외손 10명이 생존해 있음이 공식 확인되었습니다[1][5].

**후손 구조**
- 이석영 선생의 장남 이규준은 온숙, 숙온, 우숙 세 딸을 두었습니다.
  - 첫째 온숙, 둘째 숙온: 중국에서 살다 한국에 정착
  - 셋째 우숙: 대만에 정착
- 이 세 자매의 자녀들(외손) 10명이 현재 국내와 대만에 살고 있음이 확인되었습니다[1][5].

**후손 확인 과정**
- 오랜 기간 후손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2021~2022년 <한겨레21> 보도와 유전자 검사, 호적 자료 확인 등으로 후손임이 입증됨[1][2][5].
- 국가보훈처가 공식적으로 이석영 선생의 외손 10명을 후손으로 인정하였습니다[1][5].

**특이사항**
- 이석영 선생의 후손들은 일제의 탄압과 가족사의 비극 등으로 오랫동안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으며, 최근에야 공식적으로 확인되었습니다[1][2][5].

**결론**
- 현재 이석영 선생의 외손 10명이 국내와 대만에 생존해 있으며,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후손으로 인정받았습니다[1][5].

인용:
[1] 불멸의 독립운동가…이석영 선생 후손 88년만에 찾았다 - 한겨레 https://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1032271.html
[2] [단독] 독립운동가 이석영 끊겼다던 직계후손이 나타났다 - 한겨레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05079.html
[3] 이달의 독립운동가 - 공훈전자사료관 https://e-gonghun.mpva.go.kr/user/IndepCrusaderDetail.do?goTocode=20003&mngNo=7954
[4] 독립운동가 이석영 선생 후손, 대만서 찾아 > (사)아총연 회원국 소식 https://asia.korean.net/bbs/board.php?bo_table=localnews&wr_id=2187&page=91&me_code=5030
[5] "무려 88년 만에…" '6형제' 독립운동가 이석영 후손 찾아 - 국방신문 http://www.gukbang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553
[6] 독립운동가 자료실 - 보훈인물 - 국가보훈부 https://www.mpva.go.kr/mpva/selectBbsNttView.do?key=226&bbsNo=82&nttNo=219555&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1&integrDeptCode=
[7] 이석영 - 남양주역사인물 - 인물 - 문화 - 문화관광 https://www.nyj.go.kr/culture/contents.do?key=314
[8] 우당 이회영으로 인해 우리는 대한민국이 되었습니다. https://www.gggongik.or.kr/page/archive/archiveinfo_detail.php?board_idx=3572

사라진기억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사라진기억
작성일 06.10 13:33
@빅버그님에게 답글 고맙습니다.기사 읽다보니 마음이 아프네요.

가시나무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가시나무
작성일 06.10 18:45
@빅버그님에게 답글 하.. 할 일 많은 이재명 대통령님..

개인적인 소원이 있다면 독립운동가 후손들에게 5억원 정도 현금 지급해 드렸으면 좋겠습니다.

금액은 그냥 사는데 조금은 여유있게 사시라고요.

다만, 후손이라 할지라도 일정 연령 이하가 받게 됐을 때는 한국사능력검정 2급(대충기준) 이상 자격증 보유해야 지급한다는 등의 역사인식이 정상적인 기준을 통과 해야 한다는 단서조항이 있으면 좋을 듯 합니다.

kes5713님의 댓글

작성자 kes5713
작성일 06.10 12:53
ㅠㅠㅠㅠㅠ

우루님의 댓글

작성자 우루
작성일 06.10 21:35
이회영선생 모든 형제가 독립운동하다 돌아가셨죠...ㅠㅠ

매일걷는사람님의 댓글

작성일 06.11 17:35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