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

미드웨이 해전... 잠수함 그리고 정찰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yuhy 116.♡.15.143
작성일 2024.05.25 14:17
1,324 조회
15 댓글
6 추천
글쓰기

본문


미드웨이 해전 잠수함 이야기 하면

일본 해군 함대 따라가다 일본군 구축함에 쫓겨난 미군 잠수함 이야기나

그거 추적하던 일본 구축함이 다시 본대 따라잡자고 가다


미해군 항공대에 공중에서 들켜서 본 함대 위치 파악되고... 뭐 이런 이야기는... 많이들 알고 있고

그거 떠올리고 글 읽으실지 모르는데 


그 이야기가 아니라요


항공 정찰 이야기 입니다


난 대체 저런 무모한 작전 어떻게 일본군 윗선에서 통과가 됐는지 의문입니다


군에서 중요한 2가지 필수 라고 하면 대충 뭔가요?


정찰과 적 기만


2가지는 군대가 존재하는 필수로 있어야 한다는 건데…


네 그 정찰 이야기를 하려고…


미드웨이 해전이 개전 하기 전에 일본군은 정찰 전무하게 적진에 들어갔습니다

@@


믿기 힘들겠지만 진짜로…




왜 이렇게 됐냐면 미드웨이 라는 곳 위치와

저기를 정찰 하려면 대체 어떤 수단을 통해야 하는가… ?


당시 기술 수준으로는 아래 요런 비행정으로 랑데뷰 지점까지 날아간 다음

부상한 일본군 잠수함으로 부터 급유를 받아 다시 떠서 적진 깊숙히 들어가서 정찰 하고 오는 패턴을 일본군이 했다고 합니다



당시 패퇴 거듭하던 미군은 기본기에 충실하게 이 정찰 라인을 다 짤라 버립니다


암호 해독 통해 그런 것도 있고

거함들은 죄다 침몰하긴 했지만 작은 구축함이나 초계함은 살아있기에 이 전력 풀가동…


적 수상비행정과 잠수함 조우를 원천 차단해 버립니다

아무리 해도 수상비행정은 기지로 귀환 가능 거리까지만 날아서 잠수함 보급 받고

더 멀리 임무를 하고 와야 하는데


요개 막혀버림…  정찰이 불가능 해지는 거죠…


요 상태인데 그래서 미드웨이 침공하면서 1목표 미군 항모전단 파괴 2목표 미드웨이 점령

인데 미드웨이 실상 자체를 파악 못하고 떠난


당시 미군은 정말 만반의 준비를 다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미해병을 대규모로 주둔시켜 일본군 상륙 불가능 하게 하는 전략

(실제 그래서 미군이 아마 패전했어도 상륙은 불가능 했을 거라고 합니다)

일본군이 침공하려고 함께한 상륙 전력이 그렇게 많지가 않았다고…


미드웨이 해전을 벌인 일본군 목표도 1 2 목표로 모호하고

거기에 1목표 달성해도 중요한 목적 달성은 했겠지만

그런 대규모 작전을 벌인 거에 비해 2목표는 불가능 이라고 하니…

성공했어도 반만 성공한 작전이었을테죠…


뭐 작전 성공 못했어도 말려죽이기 작전으로 보급을 막아버리면 되는 거 아니냐는 말이 나올수도 있지만


지도를 보면 알겠지만 미군 본진이라는 하와이와 상당히 가깝습니다

거기를 말려죽이기 한다?   많이 힘들죠


기만전술로 미드웨이 해전을 걸면서 양동작전으로 미리 알류샨 열도로 함대를 보내

미군 주의를 끌고자 했던 점은 일반적인 군사작전 맞습니다

그런데 칠려고 했던 곳 정찰 없이 간다는…


이거 상당히 무모한 일 벌인 거 아닌가요?


그런데  일본군 자신감 근원은 뭐냐?


진주만에서 박살난 미 해군

거기에 

산호해 해전서 또 반쯤 박살난 미 해군

전략적으로 일본군 남방으로 침공을 막긴 했지만 정규 항모 1척을 잃습니다

거기에 미드웨이 해전에 등장하는 미해군 항모 1척은 반쯤 작살나서 일본군 판단으론 항모 2척 격침으로 알긴 했죠


이러면 미해군 항모는 2척뿐이고…


산수 계산으로 그렇다고 쳐도


미드웨이서 만반의 준비하고 거기에 섬을 또 항공기지로 쓸 거라는 추측 한다면

적은 항모 숫자도 어느 정도 커버 가능해진다는 거…


이럼에도 벌인 작전 입니다


대체 무슨 이런 만용이… ?


왜 이런 거죠 ?


모르죠 뭐… 대체 무슨 속인지…


단지 일본군 내부가 엄청나게 자만심으로 똘똘 뭉쳐서 

당시 가장 기본인 짓도 안 하고 벌인 짓 이라는 건 사실입니다


미드웨이 해전 이야기 한국서 언급되는 이야기에 이런 내용은 많이들 없는 거 같더군요

@@


그래서 첨가 정도 한 겁니다


보다 더 자세한 이야기는 상당히 많은 인터넷 자료 많을테니 찾아보심 됩니다

그 전에 산호해 해전 이야기 보시고 (요거 중요해요)

연속해서



산호해해전

https://namu.wiki/w/산호해 해전


미드웨이 해전

https://namu.wiki/w/미드웨이 해전


보시길 추천 합니다


저 해전 이름만 알고 찾아보심 엄청 많을 겁니다


저런 이야기 읽다가 일부에만 나와있는 거 같아서

글 써봤습니다



댓글 15 / 1 페이지

야한건앙대요님의 댓글

작성자 야한건앙대요 (180.♡.127.104)
작성일 05.25 14:26
이상 ㅋㄹㅇ 어그로 stylo 였읍니다

비핏님의 댓글

작성자 비핏 (182.♡.183.167)
작성일 05.25 14:37
냉철하고 치밀하고 계획적인 일본인들은 총력전 연구소에서 싸우면 진다고 재수없는 소리하다 욕처먹고 집으로 ㄱㄱ

https://namu.wiki/w/총력전 연구소

다시머리에꽃을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다시머리에꽃을 (106.♡.68.227)
작성일 05.25 14:42
근데 미드웨이의 경우 일본군이 병력이 더 앞서 있다 알고 있습니다
사실 미드웨이의 경우 오히려 미군이 운이 좋아서 이긴것으로 회자 되던데요

나중에야 미군이 어느정도 항모, 전함들 수리하고 전시체제로 전환되면서부터 일본을 압도했는데..
저 당시만 해도 미군이 더 어려운 상황이라 알고 있습니다

yuhy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yuhy (116.♡.15.143)
작성일 05.25 14:48
@다시머리에꽃을님에게 답글 미드웨이 자체가 요새화 되면서
거기서 출동한 항공기가 상당히 많다는 거 생각하면...

저런 정찰  없이 들어간다는 건 상당히 괴상합니다

다시머리에꽃을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다시머리에꽃을 (106.♡.68.227)
작성일 05.25 14:59
@yuhy님에게 답글 그거 다 해봐야 당시 일본군 전력에 비해 많이 열세였다 알고 있습니다
다만 미해군 주력을 못찾아서 삽질하다가 어이없이 당한걸로 보이고요

너무 과신해서 진주만처럼 쉽게 생각하고 들어간게 큰 패인이었다 생각이 듭니다
반면 미군이 만반의 준비를 한건 맞지 않다 보고요
미드웨이를 급하게 보수해서 군공항화 시키고 어쨌든 최선을 다해 막아보자 정도의 상황이었다 보고요 (왜냐하면 미해군이 이때까지만 해도 태평양에 투사할 전력이 별로 없었음)

일본이 자기들 전력의 우위를 믿고 안일하게 밀고 나간건 맞음..
반면 미군이 철저하게 준비하고 맞서싸운것인가? 그렇지 않음..

이라고 봅니다

해서 당시 미드웨이에서 미군이 패했다면 태평양전쟁의 양상이 꽤 달랐을겁니다
미군의 반격이 많이 늦어졌겠죠

BoldSteps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BoldSteps (218.♡.204.138)
작성일 05.25 15:12
@다시머리에꽃을님에게 답글 미해군 항공기 손실을 엄청나게 보면서도, 일해군 항모전단 보호 제로 비행기들 무력화시킨 것이 결국 항모격침까지 이어진게 아닌가 합니다.

weakness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weakness (172.♡.94.45)
작성일 05.25 15:25
@다시머리에꽃을님에게 답글 1. 미해군 함 전력은 확실히 열세였지만, 이미 앞선 해전들로 일본이 항모 외의 전력은 무의미하다는 걸 증명한 상태였습니다.
2. 미군의 경우 1척 정도 항모가 적었지만 미드웨이 자체가 불침함이었는데다가, 일본 항모 두 척은 경항모였기에 출격할 수 있는 비행기의 소티에 제한이 있었고,
따라서 항공 전력은 비등했습니다.
3. 심지어 미국은 미드웨이로 적이 오는 걸 알고 있었기에 항공전력을 더 증원할 수 있었으나 니ㅁ츠 제독을 폐전처리 땜빵 제독으로 생각하고 있던 대통령과 육군 항공대의 거부로 공군 증원에 실패합니다.
4. 대신 전략항공대에게 b-24정찰대를 지원받았고, 이들이 최초 일본함대 위치를 먼저 발견함으로써 사실상 미드웨이 해전의 승패는 일찌감치 결정됩니다.
5. 일본이나 미국이나 둘 다 병x같은 여러 가지 업보로 패배의 스텍을 쌓고 있었으나 (미국의 경우는 항공대간 파벌싸움 - 이 문제로 뇌격기와 급강하 폭격기가 표적에 제각각 도착하죠. 어뢰의 기능 문제 등등, 일본은 항공대는 처음인 제독, 항모파와 전함파의 갈등, 전함을 개수해 엉망이었던 항공모함 등등) 일본측 업보가 압도적으로 높았기에 결국 집니다.
6. 정찰 문제는 일본이 안한게 아닙니다. 하와이 때 처럼 급습을 전제로, 일본의 경우 수륙 양용기로 된 8대의 정찰대와 잠수함 세대를 깔아놓고  빡세게 돌립니다.
다만 이 1대가 맡아야 하는 넓이가 대략 경기도와 충청도를 합친 넓이 만큼이었고, 하필 미국 함대가 있는 쪽으로 간 수륙양용기가 기능 고장을 일으켜 정찰을 마치지 못해서 결국 쳐 맞기 전까지 미군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죠.

질거라 생각하고 지원을 못받은 미군 대 함대파 출신의 제독, 미드웨이까지가 딱 황벨이었죠. ㅋ

yuhy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yuhy (116.♡.15.143)
작성일 05.25 15:29
@weakness님에게 답글 6번은 본 함대가 가면서 그러니
개전 시켜 놓고  본 함대가 한 거죠...
작전 입안 전에 정찰 이야기 입니다

weakness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weakness (172.♡.94.45)
작성일 05.25 15:32
@yuhy님에게 답글 진주만 때 처럼 급습을 전제로 한 작전이었기에 정찰이 없었던 겁니다.
그때처럼 스파이도 없었고, 미리 정보를 확보해 놓진 못했지만
섯불리 정찰을 보내면 목표를 들킬 거라 생각했죠.
무려 이소로쿠가 입안한 작전이었죠.

안녕클리앙님의 댓글

작성자 안녕클리앙 (218.♡.158.248)
작성일 05.25 14:56
기도메타죠
정신력이면 다 이깁니다

BoldSteps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BoldSteps (218.♡.204.138)
작성일 05.25 15:10
미드웨이 해전에서 미해군의 항공기 손실이 엄청났지 않나요?
결국 물량전이었고, 물량에서 이긴 미해군이 결국 이긴것으로 알고있는데....
근데 당시 태평양 해군 전력상 일본군이 더 밀리느냐? 그건 아니었던걸로 알고있네요.
레이더가 없으니 정찰기 보내고 육안보고 대응하는것이 당시 교리였었으니 무리한 작전은 아닌듯합니다

수선영님의 댓글

작성자 수선영 (58.♡.8.61)
작성일 05.25 15:16
그때는 이미 이판사판공사판 아니었나요?

느린표범님의 댓글

작성자 느린표범 (118.♡.88.181)
작성일 05.25 22:59
유튜브 닥터제이 채널 추천합니다. 자세하고 객관적으로 설명합니다. 사실만 드라이하게 전달하는데도 재미가 있어요.

yuhy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yuhy (116.♡.15.143)
작성일 05.26 00:02
@느린표범님에게 답글 댓글 감사합니다
찬찬히 보고 있는데 제가 언급한 이야기는 없는 거 같네요
그래서 판 글이긴 하지만...

이거 언급한 것이 적긴 합니다

느린표범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느린표범 (118.♡.88.181)
작성일 05.26 10:30
@yuhy님에게 답글 네. 저도 일본군 잠수함 이동 루트를 미군이 파악해서 중간 급유를 막고, 일본이 정찰에 실패했다는 것을 유튜브에서 보았습니다. 어느 영상인지는 못 찾겠네요.
글쓰기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