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팁

🔥 제목 시위는 [말머리] 또는 임시게시판(불타는앙)을 이용바랍니다.

[아라천자문] 008 - 果珍李柰 菜重芥薑 (과진리내 채중개강)

알림
|
X

페이지 정보

작성자 dalnimbest 211.♡.81.216
작성일 2024.05.29 11:59
분류 기타
2,970 조회
4 추천
쓰기

본문

과일 중엔 자두와 능금이요, 채소 중엔 겨자와 생강이라.


과진리내(果珍李柰) : 과일은 오얏과 능금을 보배로 여기고
실과 과(果), 보배 진(珍), 오얏 이(李), 능금나무 내(柰)
실과(實果)는 과실(果實) 즉 과일나무에 달린 열매를 말한다.

자두(李, 오얏 리/이)는 자도(紫桃)의 변형(變形)으로 순우리말로는 '오얏'이라고 한다. 꽃은 '오얏꽃'이라 하는데 대한제국 황실꽃이다. 한자로는 이화(李花)라고 쓴다. 배꽃을 뜻하는 이화(梨花)와는 동음이의어이다. 오얏은 명심보감(明心寶鑑) 정기편(正己篇)에 강태공 말한 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瓜田不納履 李下不整冠, 오이밭에서 신발을 고쳐 신지 말고 오얏나무 아래에서 갓을 고쳐 쓰지 마라)라는 고사성어로도 잘 알려져 있다. 위진(魏晉)때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인 왕융(王戎)은 좋은 오얏 품종이 있었는데 종자(種子)가 남에게 전달(傳達)되는 것을 염려(念慮)하여 씨앗에 구멍을 뚫었다고 한다

능금(柰, 사과 내)은 맛이 좋아 많은 날짐승(禽)이 숲(林)속으로 모여(來)들기 때문에 내금(來禽) 또는 임금(林檎)이라 하였다고 발음이 변하여 능금으로 되었다.(왕을 말하는 임금은 순우리말이다). 柰는 "능금나무 내"이고 檎은 "능금나무 금"이다. 일본에서는 사과(沙果)를 링고(林檎, 임금, リンゴ)라고 부른다. 능금은 사과(沙果/砂果)와 비슷한 과일이지만 종(種)이 다르고 능금이 훨씬 작다.

本草綱目(본초강목)에는 다음과 같이 나온다. 李味酸甘, 去痼熱, 調中(이미산감 거고열 조중, 오얏은 맛이 시고 달며, 열병(오랫동안 뭉친 열)을 제거하고 뱃속의 오장육부를 조화롭게 한다). 柰味苦, 補中焦, 和脾(내미고 보중초 화비, 능금은 맛이 쓰며, 중초(中焦: 심장과 배꼽 사이)를 보(補)하고, 비장(脾臟)을 고르게 한다)

채중개강(菜重芥薑) : 채소는 겨자와 생강을 중히 여긴다.
나물 채(菜), 무거울 중(重), 겨자 개(芥), 생강 강(薑)

둘 다 매운 맛을 내는 겨자(芥子, mustard)와 생강(生薑, Ginger)은 씨앗과 뿌리를 향신료(香辛料)로 쓴다. 겨자는 위장(胃腸)을 따뜻하게 하고 기운을 유통하게 하며, 생강(生薑)은 신명(神明)을 통하게 하고 예악(穢惡: 악취)을 제거한다.
논어(論語)의 향당편(鄕黨篇)에 불철강식 불다식(不撤薑食 不多食, 끼니 때마다 반드시 생강을 잊지 말고 먹되 많이 먹지 말아라)이라는 말이 나오듯이 다른 음식(飮食)의 과도한 냄새를 완화(緩和)시켜 주고 메운(辛) 맛이 상하기 쉬운 나물등에 방부제(防腐劑) 역활을 한다.

本草綱目(본초강목)에는 다음과 같이 나온다. 芥味辛, 除腎邪, 利九竅, 明耳目(개미신 제신사 이구규 명이목, 겨자는 맛이 매우며, 신장(腎臟)의 사기(邪氣: 나쁜 기운)를 제거하고, 구규(九竅: 인체의 아홉 구멍)를 순조롭게 하며, 귀와 눈을 밝게 한다). 九竅(구규)는 눈, 코, 입등 인체에 있는 9개의 구멍 즉 구혈(九穴)을 말한다.
薑味辛, 通神明, 去臭氣(강미신 통신명, 거취기, 생강은 맛이 매우며, 정신을 맑게 하고, 나쁜 냄새를 제거한다). 神明(신명)은 사람의 정신을 말하고 臭氣(취기)는 악취(惡臭)를 말한다.

먹을 수 있는 나무열매를 果(과)라고 하듯이 먹을 수 있는 풀을 菜(채)라고 한다. 여기서는 과일과 채소로 대구(對句)로 하였다

댓글 0
쓰기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