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모앙 커뮤니티 운영 규칙을 확인하세요.
X

alpine Linux 6개월 사용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zcrt
작성일 2025.01.30 00:00
570 조회
3 추천

본문

리눅스 머신 자체를 관리하는 것도 일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우분투의 snap을 써보니 정말 자동 업데이트는 매우 탐나지만, 

snap에 없는 패키지가 더 많고 꼬이면 수리가 더 어려운 측면이 있어서 제외하였습니다. 


모든 서비스를 docker 위주로 재편하고 docker를 관리하도록 마음을 먹었습니다. 

리눅스의 머신 자체로의 기능 터미널외 GUI을 쓸 것인가에서 과감하게 쓰지말자로 바꿨더니 

Alpine 리눅스의 선택지가 있더군요. 


설치는 매우 간단하고 용량도 많이 먹지 않습니다. 

원하는 패키지는 은근 다 컴파일 되서 community 리파지토리에 잘 올라옵니다. 

docker를 설치하고 portainer로 도커 관리, watchtower로 업데이트 관리를 하니 어려울 점이 없습니다. 


장점

설치된 패키지가 매우 작아, 업데이트가 매우 편하고 빠릅니다. 

당연히 패키지가 적으면 취약점 업데이트도 별게 없습니다. 

패키지가 작으므로 설치 용량도 적게 먹으며, 당연히 부팅도 매우 빠릅니다. 


단점

BusyBOX를 사용해서 몇몇 명령어의 세부 명령어가 안 먹는 경우가 있습니다. (코딩이 안 되어 있음)

한글을 잘 지원하지만 일부 미지원인 경우도 있습니다 (예: vi, nano를 대신 쓰면 됩니다.)

기본 패키지에 속하지 않은 패키지가 많아, 추가적으로 계속 설치를 요구 

GUI(X11, Wayland) 환경을 만들수는 있지만, 거의 gentoo 수준으로 알아서 환경을 구축해서 설치 및 관리 필요. 


docker 만 돌리실꺼면 굳이 ubuntu server를 쓸 필요가 있나 라는 생각이 들었고 

나름 만족합니당. 

GUI가 필요하다면 VM을 새로 올려야할 것 같네요. 


3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2

신사아님당님의 댓글

작성자 신사아님당
작성일 01.30 10:19

도커로만 접해본 알파인 리눅스군요.

https://itsfoss.com/alpine-linux-virtualbox/

작년에 it's foss에서 vm에 설치하는 방법을 다룬 적이 있어서 한 번 깔아보고 싶었습니다. ibus-hangul 패키지도 있어서 한글 입출력도 문제 없을 것 같기도 하구요.

그렇게 생각만 하다가 지나쳤었는데 베어본에 설치해서 사용하시는 분을 이렇게 뵙네요. 반갑습니다.

Realtime님의 댓글

작성자 Realtime
작성일 01.31 01:38
musl 위주로 전체 시스템을 구성하면.... 빠르긴 빠르겠네요 ㅎㅎ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