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g.docker
 
X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5년 세계경제 전망 (업데이트)

페이지 정보

작성자 blast
작성일 2025.05.13 14:25
192 조회
2 추천

본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5년 세계경제 전망 (업데이트)

- 2025.5.13


▶ [세계경제] KIEP는 2025년 세계경제 성장률을 종전 전망치 대비 0.3%p 하향 조정한 2.7%로 전망하고, 2026년에는 2.9%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측


- 2025년 세계경제의 키워드는 ‘격변의 무역 질서, 표류하는 세계경제’이며, △관세 및 무역 전쟁 격화, △인플레이션 재발과 통화정책 불확실성, △역(逆)자산효과와 금융 불안 및 부채 위기 등이 복합적으로 성장의 하방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
- 특히 금번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 수치는 현재 진행 중인 미국과 주요국 간의 협상 결과와 실제 관세 부과 이행 정도 등에 따라 변동 가능성이 매우 높음.


▶ [선진국] 2025년에는 미국의 경기 둔화가 뚜렷한 가운데, 유럽, 일본 경제도 동반 부진할 전망


- 미국은 파격적인 관세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 확대로 소비와 투자가 크게 둔화되어 2025년 1.3% 성장할 것으로 전망(종전 전망치 대비 0.8%p 하향 조정)
- 유럽은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심화에 따른 무역·투자 위축, 불안정한 국내외 정치 상황 등으로 인해 0.8%의 더딘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는 0%대의 저조한 성장 전망
- 일본은 임금 인상에 따른 개인소비 회복에도 불구하고 미국 관세정책의 영향으로 수출 및 기업 투자가 다소 위축되어 0.6%의 성장을 보이며 제한된 회복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


▶ [신흥국] 인도가 견실한 성장을 보이는 반면, 중국 및 여타 신흥국은 대외 불확실성 확대로 2025년에는 상대적으로 둔화된 모습을 보일 전망


- 중국은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에도 불구하고 미국과의 무역 전쟁, 부동산 시장 침체 등의 하방 압력으로 4.1% 성장하여 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예상
- 인도는 민간 투자·소비 확대 및 정부지출 확대 등으로 6.4%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지속할 전망
- 아세안 5개국은 높은 상호관세율이 책정된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글로벌 교역 불확실성이 확대되어 성장률이 4.6%로 다소 주춤할 전망
- 러시아는 지정학적 긴장, 고물가·고금리 기조, 재정 압박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2024년에 비해 크게 둔화된 2.0% 성장할 것으로 예상
- 브라질은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응한 긴축적 통화정책 실시, 대외 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경제가 다소 위축되어 2.1% 성장할 전망

2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0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