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모앙 커뮤니티 운영 규칙을 확인하세요.
X

중국 전기차 발전이 무섭네요. 어떻게 저런게 뚝딱하고 나오지...

페이지 정보

작성자 lghtwave광파
작성일 2025.03.28 10:22
2,037 조회
5 추천

본문



아침에 이 영상 보고 와 하고 감탄했습니다.

솔찍히 제 기준 다음 전기차에 바라는건 테슬라도 현기차도 아닌 중국차가 만들어내는 느낌이네요. 

자율주행 기술에 혹해서 테슬라 생각하다가도... 계기판도 HUD도 기어봉도 방향지시등도 빼버리는 차는 싫고. 머스크 하는 짓거리 보면 더더욱 싫고. 

그래도 국가산업인데 국산차 밀어주자,국내 AS망과 무난한 성능, 실내 공간등으로 현기차 생각하다가도... 갈피를 못잡는 SW와 구린 자율주행. 더불어 ICCU 고장까지 못잡으니 답답할 노릇이고. 


중국차 글들 보면서 '아 그래도 중국차에 수천을 쓰기엔 쫌... 저거 다 바이럴 아닌가?' 생각이 들다가도 BYD 물개 같은거 해외 평들 찾아보면 칭찬 많은게 솔깃하기도 하고 말이죠. 

딱 그 알리에서 차이파이 앰프 같은 음향기기들 생각이 듭니다. 

'와 ㅋㅋ 이 가격에 이게 들어가? 어? 다자인도 꽤 괜찮은데? 전문가들 리뷰도 좋네?'

(써보고) '헐... 성능도 상당한데??'

다른 점이라면 모험심으로 질러보기엔 금액이 쫌 크다는거네요. ㅋㅋㅋ


중국 전기차... 혹하긴한데 그래도 아직 한국 AS망이라던가 몇년 더 지켜보고 생각해볼거 같습니다. 

여튼 다른 기업들이랑 치열하게 경쟁했으면 좋겠네요. 소비자에겐 이득일테니... 

5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31

카리우스님의 댓글

작성자 카리우스
작성일 03.28 10:35
저도.. 아이오닉5 타고 있지만, 계기판도 빼고 hud도 빼고 깜빡이 레버도 다 빼버린 차는 뭔가 싫더라구요. 성능이 좋고 편해도. "익숙한 차"를 타고 싶었는데. 테슬라는 그런걸 못채워주더군요. 그러다보니 선택지가 현대로... ㅠㅜ

lghtwave광파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lghtwave광파
작성일 03.28 10:52
@카리우스님에게 답글 동감입니다. 자동차에 있을만한건 그래도 넣어주던가 최소한 선택지라도 줘야한다 생각하는데... 테슬라는 너무 소비자한테 강요한다는 느낌이 들어서 거부감이 커요. '우리가 다 검증했어. 이게 미래야. 그러니 니들이 적응해서 타.' 느낌.

육일사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육일사
작성일 03.28 13:15
@카리우스님에게 답글 제가 붕삼이로 갈아타며 삼은 기준이 있었어요.

차같은 전자제품보단
전자제품같은 차가 아직은 나에게 맞다.

박스엔님의 댓글

작성자 박스엔
작성일 03.28 10:38
'중국제' 라고 무시하기엔 이미 너무 많이 발전 했어요.

lghtwave광파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lghtwave광파
작성일 03.28 10:53
@박스엔님에게 답글 작년엔가 그 샤오미 전기차 출고되자마자 바퀴 빠지고 제어 안되던거 보고 중국제라고 무시하고 있었는데 말이죠... ㅎㅎ
어느새 샤오미도 잘 나간다 하고... 신기합니다.

시코님의 댓글

작성자 시코
작성일 03.28 10:43
경쟁은 소비자한테 좋지만, 결국 보조금으로 키워진 산업이라 관심이 안갑니다.

더불어 ICCU 결함없는 ccNC 풀옵션 차량을 타고 있으니 너무 만족스러워서, FSD급의 완전자율주행 아니면 기변각이 안보이네요.

lghtwave광파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lghtwave광파
작성일 03.28 10:57
@시코님에게 답글 공산당 지원이 무섭죠. 타국 기업들이 중국 당국의 저런 지원 받는데랑 경쟁하는게 참 힘들겠다 싶습니다.
현기차는 ICCU만 해결하면 당분간은 국내에서 잘 팔아먹을 수 있는데... 왜 미적미적대고 덮으려는지 모르겠습니다. 하드웨어 전량 리콜 비용이 크다곤 하지만 오히려 이렇게 기업 이미지 깎이는거 생각하면 그게 더 비용이 클거 같은데 말이죠.

memento8mori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memento8mori
작성일 03.28 10:47
안전 문제까지 안심할 수준이 됐을까요? 아무래도 다른 전자기기랑 차는 그 부분에서 차이가 있다고 생각해서요- 가격도 가격이지만 차는 사고시 안전힌지도 중요할 것 같아요.

lghtwave광파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lghtwave광파
작성일 03.28 10:59
@memento8mori님에게 답글 맞습니다. 사실 그게 제일 무섭죠. ㅎㅎ 그래서 유럽쪽 많이 팔린 차량 위주로 리뷰를 보긴하는데... 아직 몇년은 더 두고 봐야할거 같아요.

팜3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팜3
작성일 03.28 12:17
@memento8mori님에게 답글 중국 전기차 유럽 수출모델 중심으로
유로앤캡에서 현기 전기차들보다 성적이 더 좋은지
이미 몇년 됐어요
소형 전기차인데 제네시스보다 더 점수 높았던데
벌써 2년전 이에요

세상이 빠르게 변하더군요 ㄷㄷ

와센버그님의 댓글

작성자 와센버그
작성일 03.28 10:56
쫓아오는 기업은 많은 시도를 하는데
쫓기는 기업은 느긋하네요.

lghtwave광파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lghtwave광파
작성일 03.28 11:00
@와센버그님에게 답글 허리띠 조이고 경쟁해라 현기야...

칼쓰뎅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칼쓰뎅
작성일 04.01 16:20
@와센버그님에게 답글 나름 똥줄타게 쫓기고 있는거 아닌가요... ㅎㅎ;;;
독3사도 뭐 마찬가지 모양새고요.

물론 중국차 메이커들도 똥줄탈거에요.
상위권에 못들어가면 정부에서 보조금 안준다고 했던걸로 압니다.

멸굥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멸굥
작성일 03.28 10:59
유로 앱캡 보면 중국 전기차들 안전도가 상당히 높더군요. 성능도 상당하고 안전도도 그렇고 가격도...중국 보조금 이야기 하는데 현기도 딱히 여기에서 자유로울수 없다는게 함정이죠. 기업하기 좋은 대한민국에서 각종 지원 받아서 큰게 현대자동차그룹이니... 여튼 현기의 이번 ICCU 대응보면 아직 현기는 멀었다는 생각이 절로 듭니다. 현기는 제발 정신차리고 분발 좀 하길...

lghtwave광파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lghtwave광파
작성일 03.28 11:04
@멸굥님에게 답글 전 사실 국가 보조금은 자국 산업에 더 혜택을 주는거에 크게 불만이 없습니다. 타국도 대놓고 그리하던가 암암리에 그러고 있고요.  다만 그렇게 혜택을 받은게 있다면 ICCU 같은 다발적 문제는 적극적으로 대응해야할텐데... 왜 저러는지 모르겠습니다. 해외서 상도 많이 받고 N시리즈로 이미지도 좋게 만들면서 스스로 깎아먹는 짓을 하고 있다니. --

돼한민국님의 댓글

작성자 돼한민국
작성일 03.28 11:05

올빼미, 부엉이 같은 새들이 사냥할때 날개짓 소리가 거의 없어서 사냥감들이 눈치 못채도록 접근하던데, 신박한 댐퍼와 어울리는 컨셉같습니다.
기왕 맹금류 룩으로 정했으면 눈썹하나 달고 부엉이로 하면 플래그쉽에 더 어울릴거 같습니다 ^^
상상만 하던 기능들을 단기간에 적용하는 속도가 무섭군요.

lghtwave광파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lghtwave광파
작성일 03.28 11:11
@돼한민국님에게 답글 엌 부엉이 뭔가 무섭네요. 밤에 보면 지릴듯 ㅋㅋ
신기술을 빠르게 넣고... 중국 내수에서 유료 베타하고... 수정해서 해외에 팔고...?

‪초식동물‬님의 댓글

작성일 03.28 11:09
집 다음으로 비싼제품. 중국산을 선듯 구매가능할까요?
아직 까지 저에겐 신뢰가 모자라요

lghtwave광파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lghtwave광파
작성일 03.28 11:14
@‪초식동물‬님에게 답글 테슬라도 폴스타도 뭐 메이드인차이나 인건 같으니 제조실력은 있겠지만... 저도 중국 브랜드에 대한 불신이 크네요. 안전이 중요한 자동차다보니 더더욱...

휘소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휘소
작성일 03.28 11:56
@‪초식동물‬님에게 답글

500년 전에는 중국제가 먹어줬죠.
식품 자체도 수입해오는 사람들이 싸구려를 들여와 그렇지, 비싸고 좋은 식재료도 많구요.
독일 생산 제품들이 국가 전체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듯,
중국제도 사람들이 좋은 물건만 찾으면 그렇게 될 수 있겠지만 1원띄기, 2원 띄기로 몇백만개씩 만드는 시스템 자체는 쉽게 바뀌기 어려워 보입니다.

태드창식이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태드창식이
작성일 03.31 09:56
@휘소님에게 답글 최근 100~200년을 제외하고는 중국이 엄청났던건 사실이죠,
나침반, 화약, 종이 등등만 봐도. 한때 세계 GDP의 절반이 중국이 했다는 설도 있다고 하더군요.
이러면 X선족, 짱ge라고 할 것 같네요.. ㅠㅠ
PS. 타이완 No1, 천안문!! 탱크맨! 이런거 쓰면 되나요? ㅎ

다시머리에꽃을님의 댓글

작성일 03.28 11:17
기존 레거시 업체들도 발전하고 있고 신모델 나올때마다 비약적으로 개선되는 점이 보이지만..
중국차는 그 단계를 아예 뛰어넘어 퀀텀점프하는 느낌입니다
개인적으로는 테슬라 마져도 그 변화의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는거 아닌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애초에 기존 자동차산업의 프로세스 자체를 완전히 뒤집어 엎는듯한 느낌입니다
3년~5년 정도에 새로운 개선사항이 적용된 차들이 출시되는데.. 이런 공식조차도 무의미해지는 느낌이에요

lghtwave광파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lghtwave광파
작성일 03.28 11:20
@다시머리에꽃을님에게 답글 너무 빠르게 발전하는걸 보자니 그럼 다른 자동차 기업들은 대체 뭔 삽질들을 그리 하고 있는거지? 생각까지 들 정도에요. ㅋㅋ

네멋대로살아님의 댓글

작성일 03.28 12:02
동영상에서 다른 차가 앞뒤 주차를 좁게 해놓을 경우 뺄 수 있는 능력도 좋은데, 다른 차가 내 차 앞 뒤로 일정거리 이상 좁혀서 주차할려고 하면 경고음이나 라이트를 점등, 혹은 음성으로 경고를 주는 방식이 있으면 좋을 것 같단 생각이 듭니다. ㅎㅎ

WagonMania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WagonMania
작성일 03.28 12:02
이면에선 계속 하고 있었겠지만 수면위로 올라온지도 한 5년정도는 되간다고 봅니다.
그리고 지금은 양산, 상품화로 나오고 있는거죠.

지금도 눈이 안뜨이면 그냥 매트릭스 속에 살고 싶은게 아닐까 싶습니다. 뛰어난 제품은 받아들여야지 강제로 막으면 오히려 자국산업이 도태되는거죠. 한국은 그런 우를 범하지 말았으면 좋겠습니다. 문 닫아놓고 옴니아질, 안됩니다.

팜3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팜3
작성일 03.28 12:21
@WagonMania님에게 답글 동감입니다
국내 특히 전기차쪽은 옴니아 질 하고 갈라파고스화 되고 있죠

porpoly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porpoly
작성일 03.28 12:19
중국 불 것도 없이 현기차도 맥주만,라만형님 모셔와서 주행성능이나 샷시설계를 대폭 끌어올린 차들이 나온 게 10년도 안지났습니다. 중국 자동차 업체의 핵심 두뇌들도 중국인이 아니라 잔뼈가 굵은 타기업 우수인력들을 모셔왔겠죠. 거기에 중국인들 기준에 자동차의 조립 단차는 한국보다도 더 매콤한 잣대를 들이댄다고 합니다. 단순히 보조금 때려부었으니 그렇겠지 같은 안일한 생각으론 조만간 모든 부면에서 엎어지는 거 한순간입니다. 저는 어제 나온 토레스 하브 리뷰에서 생소한 byd 하브 파워트레인 주행 질감이 현기차보다 좋다는 총평들이 즐비한 거 보고서 적지 않은 충격을 좀 받았습니다. 좀 있으면 나올 펠리 하브 파워 트레인이 만약 별 볼일 없다면 수년 안에 국내에서도 중국차인식이 꽤나 바뀌지 않을까 싶네요.

아비도스님의 댓글

작성자 아비도스
작성일 03.28 12:34
현대는 EF 쏘나타 광고에서 이미 구현한거 아닌가요..ㅋㅋㅋㅋ

얼남인즐님의 댓글

작성자 얼남인즐
작성일 03.28 15:48
중국차는 늘 보조금 안정성 내구성 얘기가 빠지지 않는군요.

끌리앙ㅋ님의 댓글

작성자 끌리앙ㅋ
작성일 03.30 21:47
아직 실물을 타보질 못해서 사실 잘 모르겠네요

알리에서 물건 사보면 중국이라는 이미지가 싼맛에 산다는게 강한데

차라고 딱히 얼마나 다를까 싶습니다..

아직 안풀려서 그렇긴 한데 위에 댓글다신 분들 메인카로 쭝국차 타시는 분들 얼마나 계실지 모르겠네요...

일단 들어와서 좀 풀리면 그걸 보고나서 판단해도 그리 괜찮을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태드창식이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태드창식이
작성일 03.31 09:57
@끌리앙ㅋ님에게 답글 가성비로 산다고 생각하면 그런거 같습니다.
예를 들어서 드론같은 경우는 중국산이어도
가격이 X백만원을 호가해서 그런지 ㅎㄷㄷ 합니다.
마감 품질 및 기능, 내구성 좋습니다.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