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 "사회보장은 사상 최대 폰지사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LunaMaria®

작성일
2025.03.02 16:56
본문
69명
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70
/ 1 페이지
rymerace님의 댓글
작성자
rymerace

작성일
03.02 17:01
연금만 두고 보면 틀린말이라고 할 수 없다는게 씁쓸하네요. 국민연금의 결말은 우리 모두 알고 있잖아요.
사막여우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2 17:14
@rymerace님에게 답글
이런 논리면
모든 연금이나 보험은 폰지사기죠.
대한민국 국민연금의 불안은
2찍정치인들의 부정부패와
인구구조적변화에 기인하고 있는 것이라
근본적으로 국민연금 자체의 문제가 아닙니다.
모든 연금이나 보험은 폰지사기죠.
대한민국 국민연금의 불안은
2찍정치인들의 부정부패와
인구구조적변화에 기인하고 있는 것이라
근본적으로 국민연금 자체의 문제가 아닙니다.
웰빙고기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2 17:20
@rymerace님에게 답글
국민연금의 결말은 연기금 없이 운용하는 국가들의 모델을 따라가는거지요
그런 국가들이 지급에 문제가 있나요?
그런 국가들이 지급에 문제가 있나요?
웰빙고기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2 17:29
@말없는님에게 답글
연기금이 무한정 쌓여있진 않다는걸 모르고 설계할리가 있나요
이후에 연기금 없이 연금 운용하는 국가처럼 시행한다는 말인데요
이후에 연기금 없이 연금 운용하는 국가처럼 시행한다는 말인데요
말없는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2 17:43
@웰빙고기님에게 답글
연기금이 애당초 존재하지 않는 국가를 말씀하시는것 같군요. 저는 연기금이 연금으로 통합되는 모델을 말씀하시는걸로 오해를 했습니다. 제가 어떤 국가의 모델인지 궁금했던 하는 이유는 연기금과 연금은 재원도 다르고 운용방법과 목적이 다른데, 연기금이 터지도록 설계하고 그걸 방관한 후 세금으로 보전한다는 논리가 이해가 안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세금도 결국 다음 세대가 낼텐데, 출산율이 폭락하는 마당에 국가재정도 안전하지 않으리라는 생각때문이였습니다.
웰빙고기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2 17:56
@말없는님에게 답글
연기금이 터지도록 설계하는게 아니라 연기금은 내는 사람보다 받는 사람이 많으니까 쌓인 돈이죠
당연히 그 수익은 낸사람한테 주는게 맞는거구요
저 돈으로 얻은 수익을 환율 막는데 쓰는 등의 짓을 하는 최상목 패거리들이 더 문제입니다
저 연기금은 당연히 냈던 사람들이 받아가면 고갈되는게 당연한거구요
연기금을 유지하려면 적은 인구로 훨씬 많은 비용을 내야되는데 그게 불가능하니 연기금 없이 운용하는 국가들처럼 운용하겠다는 걸로 설계를 했었죠
당연히 그 수익은 낸사람한테 주는게 맞는거구요
저 돈으로 얻은 수익을 환율 막는데 쓰는 등의 짓을 하는 최상목 패거리들이 더 문제입니다
저 연기금은 당연히 냈던 사람들이 받아가면 고갈되는게 당연한거구요
연기금을 유지하려면 적은 인구로 훨씬 많은 비용을 내야되는데 그게 불가능하니 연기금 없이 운용하는 국가들처럼 운용하겠다는 걸로 설계를 했었죠
말없는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2 18:11
@웰빙고기님에게 답글
기본적으로 연기금은 가입자가 굉장히 적어져서 연기금 운용비용을 감당못하게 되지 않는 이상 고갈되지 않는게 정상입니다. 그걸 새로운 가입자가 부담한다든가, 세금으로 유지한다던가 하는게 위험한 발상이고 폰지사기라고 비난받을 소지가 있습니다. 사회복지라던가 그런 문제가 아니라, 말씀하신 것 처럼 그냥 연기금 운용을 똥같이 하고 떠넘기기 한겁니다. 빨리 제대로 개혁하지 않으면 꿀빨고 나간 초기 가입자와 국민돈으로 꽂감 빼먹은 놈들만 빼고 피해자만 양산될겁니다.
웰빙고기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2 18:36
@말없는님에게 답글
우리나라의 국민연금 설계에 대해서 기본적인 내용은 숙지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연기금이 기본적으로 고갈이 안되다니요
연기금을 유지하려면 자부담율을 훨씬 높여야되니 연기금 폐지하고 연금 운용하는 국가로 넘어간 곳들도 있죠
펨코에서 연금 비난하던 사람들이 하는 말을 하시는 겁니다
연기금은 인구구조상 무한정 지속될 수 없는거 알고 설계한겁니다
연기금이 기본적으로 고갈이 안되다니요
연기금을 유지하려면 자부담율을 훨씬 높여야되니 연기금 폐지하고 연금 운용하는 국가로 넘어간 곳들도 있죠
펨코에서 연금 비난하던 사람들이 하는 말을 하시는 겁니다
연기금은 인구구조상 무한정 지속될 수 없는거 알고 설계한겁니다
말없는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2 19:11
@웰빙고기님에게 답글
"연기금을 유지하려면 자부담율을 훨씬 높여야되니 연기금 폐지하고 연금 운용하는 국가로 넘어간 곳들도 있죠" 라고 하셨는데 어떤 국가가 그런지 사례를 알수 있을까요? 뭔가 제가 생각못한 좋은 사례가 있는지 궁금하네요.
웰빙고기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2 19:51
@말없는님에게 답글
키워드 넣고 검색하면 바로 나오는데요
그리고 주장하셨던 내용의 근거가 있으신거 아니었나요?
연기금이 무한정 유지되야 되는 근거가 뭘까요
그리고 주장하셨던 내용의 근거가 있으신거 아니었나요?
연기금이 무한정 유지되야 되는 근거가 뭘까요
말없는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2 20:17
@웰빙고기님에게 답글
- 키워드 넣고 검색하면 바로 나오는데요 => 어떤 키워드로 사용하셨나요?
- 그리고 주장하셨던 내용의 근거가 있으신거 아니었나요? => 네, 제가 근무하는 호주의 연기금 회사가 그렇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 연기금이 무한정 유지되야 되는 근거가 뭘까요 => 연기금은 가입자의 돈을 받아서 수익을 내주는 역할이지 그걸 다른 용도로 (다른 가입자에게 지급한다던가) 전용하지 못하게 되어 있으니 가입자가 전부 탈퇴하거나 회사가 심각한 문제가 있지 않으면 계속 유지됩니다.
국민연금이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은 충분히 이해 되나, 설계 자체가 그렇게 되어 있다는건 연금제도 자체에 대한 신뢰가 낮다는 것이고 정부가 개입해서 멋대로 활용해도 견제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정부가 반드시 국민의 편이지는 않다는건 이미 입증됐죠.
- 그리고 주장하셨던 내용의 근거가 있으신거 아니었나요? => 네, 제가 근무하는 호주의 연기금 회사가 그렇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 연기금이 무한정 유지되야 되는 근거가 뭘까요 => 연기금은 가입자의 돈을 받아서 수익을 내주는 역할이지 그걸 다른 용도로 (다른 가입자에게 지급한다던가) 전용하지 못하게 되어 있으니 가입자가 전부 탈퇴하거나 회사가 심각한 문제가 있지 않으면 계속 유지됩니다.
국민연금이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은 충분히 이해 되나, 설계 자체가 그렇게 되어 있다는건 연금제도 자체에 대한 신뢰가 낮다는 것이고 정부가 개입해서 멋대로 활용해도 견제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정부가 반드시 국민의 편이지는 않다는건 이미 입증됐죠.
웰빙고기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2 20:26
@말없는님에게 답글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602853
지금은 매년 차곡차곡 쌓아둔 기금에서 연금을 지급하는 '적립식'이지만 기금이 고갈되면 건강보험처럼 그 해 걷어 그 해 지급하는 '부과식'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그래도 부족한 부분은 국가 재정을 투입해 채우게 됩니다.
우리보다 훨씬 앞서서 국민연금을 도입한 유럽 국가들은 대개 적립식이 아닌 부과식으로 운용하고 있습니다. 독일, 스웨덴 등도 연금 지출이 적은 제도 초기에는 우리처럼 적립식으로 운영했지만 급속한 고령화 등으로 수급자 규모가 커지면서 결국 부과식으로 바꿨습니다.
연금공단은 이에 대해 "우리나라보다 먼저 연금제도를 시행했던 선진국들은 적립된 기금이 없어도 문제없이 연금을 지급하고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연기금 회사야 수익을 내야 떼고 주는게 있겠지요
그러니 공적 연금이 중요한거구요
연금으로 선동하는 건 부정투표론자랑 동일하다고 봐야 됩니다
실제 내용에는 관심 없지만 아무튼 본인의 생각에서 이럴것이다라고 주장하니까요
지금은 매년 차곡차곡 쌓아둔 기금에서 연금을 지급하는 '적립식'이지만 기금이 고갈되면 건강보험처럼 그 해 걷어 그 해 지급하는 '부과식'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그래도 부족한 부분은 국가 재정을 투입해 채우게 됩니다.
우리보다 훨씬 앞서서 국민연금을 도입한 유럽 국가들은 대개 적립식이 아닌 부과식으로 운용하고 있습니다. 독일, 스웨덴 등도 연금 지출이 적은 제도 초기에는 우리처럼 적립식으로 운영했지만 급속한 고령화 등으로 수급자 규모가 커지면서 결국 부과식으로 바꿨습니다.
연금공단은 이에 대해 "우리나라보다 먼저 연금제도를 시행했던 선진국들은 적립된 기금이 없어도 문제없이 연금을 지급하고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연기금 회사야 수익을 내야 떼고 주는게 있겠지요
그러니 공적 연금이 중요한거구요
연금으로 선동하는 건 부정투표론자랑 동일하다고 봐야 됩니다
실제 내용에는 관심 없지만 아무튼 본인의 생각에서 이럴것이다라고 주장하니까요
말없는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2 20:32
@웰빙고기님에게 답글
쳇지피티에 물어보니 다음과 같이 대답을 하는 군요. 독일과 스웨덴의 국민연금이 우리나라의 국민연금과는 다른 내용인것 같습니다. 소득대비 기여한 금액으로 연금액이 변동 -> 이게 우리나라의 국민연금 아닌가요?
결론 부분도, 국가의 부담을 줄이고 개인 책임을 강화하는 개편이라고 하니.. 우리가 생각하는 공적자금 투입한 연금과는 달라보입니다.
🔄 주요 개편 내용
✅ 독일: 부분적 연금 개혁 (적립식 요소 도입)
기존 국민연금 체계를 유지하되, 적립식(개인 책임) 요소를 추가하여 공적연금과 개인연금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개편.
지급액 조정 및 연금 개시 연령 상향 조정.
✅ 스웨덴: 확정기여형(DC) 및 소득비례 연금으로 전환
기존 국민연금을 소득비례 연금(NDC, Notional Defined Contribution) 방식으로 변경.
개인의 소득과 기여한 금액을 기반으로 연금액이 변동됨.
경제 상황에 따라 연금 지급액이 자동 조정되도록 설계.
🎯 결론
독일과 스웨덴은 국민연금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국가 부담을 줄이고, 개인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연금 개혁을 단행했습니다.
이러한 개편을 통해 연금 지급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미래 세대의 부담을 완화하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
PS. 질문을 "독일, 스웨덴이 국민연금을 포기하고 연금으로 전환한 이유는?" 라고 했으니 명칭이 뒤집어졌을지는 몰라도 공적지원을 줄이고, 개인의 책임을 늘리는 방식으로 진행했다는 의미는 동일하다고 생각합니다.
결론 부분도, 국가의 부담을 줄이고 개인 책임을 강화하는 개편이라고 하니.. 우리가 생각하는 공적자금 투입한 연금과는 달라보입니다.
🔄 주요 개편 내용
✅ 독일: 부분적 연금 개혁 (적립식 요소 도입)
기존 국민연금 체계를 유지하되, 적립식(개인 책임) 요소를 추가하여 공적연금과 개인연금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개편.
지급액 조정 및 연금 개시 연령 상향 조정.
✅ 스웨덴: 확정기여형(DC) 및 소득비례 연금으로 전환
기존 국민연금을 소득비례 연금(NDC, Notional Defined Contribution) 방식으로 변경.
개인의 소득과 기여한 금액을 기반으로 연금액이 변동됨.
경제 상황에 따라 연금 지급액이 자동 조정되도록 설계.
🎯 결론
독일과 스웨덴은 국민연금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국가 부담을 줄이고, 개인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연금 개혁을 단행했습니다.
이러한 개편을 통해 연금 지급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미래 세대의 부담을 완화하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
PS. 질문을 "독일, 스웨덴이 국민연금을 포기하고 연금으로 전환한 이유는?" 라고 했으니 명칭이 뒤집어졌을지는 몰라도 공적지원을 줄이고, 개인의 책임을 늘리는 방식으로 진행했다는 의미는 동일하다고 생각합니다.
웰빙고기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2 20:41
@말없는님에게 답글
연기금 운용하다가 부과식으로 운용하는 방식을 선택한 국가들이 저기만 있는 것도 아니죠
등이라고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구요
근거를 가져다 드렸는데 연기금이 터진다는 말에 대해서 사과하시지는 않으시네요
등이라고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구요
근거를 가져다 드렸는데 연기금이 터진다는 말에 대해서 사과하시지는 않으시네요
웰빙고기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2 21:08
@말없는님에게 답글
정리할게 있나요 사실을 바탕으로 말씀드린 내용인데요
추측성으로 그럴것이다라고 주장하신게 부정선거론자들과 다른게 뭘까 잘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추측성으로 그럴것이다라고 주장하신게 부정선거론자들과 다른게 뭘까 잘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주막심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2 17:38
@rymerace님에게 답글
물부족국가급의 틀린말입니다.
개혁을 하고 운용의 문제고 정치의 문제이지 연금자체가 사기는 아닙니다. 선동급 발언입니다.
개혁을 하고 운용의 문제고 정치의 문제이지 연금자체가 사기는 아닙니다. 선동급 발언입니다.
Zephyr1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2 18:17
@rymerace님에게 답글
한국의 국민연금을 두고 한말이면 끄덕이겠는데 미국의 사회보장제도를 두고 한말 아닌가요?
메이메이데이데이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3 06:55
@rymerace님에게 답글
이렇게 보험에 대한 무지가 낳는 참상이 이런 거죠.
보험은 결국 장기적 금융 상품이에요. 국민연금처럼 사보험이 연금 혜택 챙겨주는 줄 아세요? 공보험이 있어서 연금까지 챙겨주는 나라가 좋은 나라에요. 고갈이 된다? 전부 헛소리죠. 그냥 국민연금을 부자들 쌈짓돈으로 써먹고 나중에 줄 돈 없다고 하려는 거 낚이시는 거에요.
보험은 결국 장기적 금융 상품이에요. 국민연금처럼 사보험이 연금 혜택 챙겨주는 줄 아세요? 공보험이 있어서 연금까지 챙겨주는 나라가 좋은 나라에요. 고갈이 된다? 전부 헛소리죠. 그냥 국민연금을 부자들 쌈짓돈으로 써먹고 나중에 줄 돈 없다고 하려는 거 낚이시는 거에요.
6K2KNI님의 댓글
작성자
6K2KNI

작성일
03.02 17:05
저걸 폰지사기라고 부른다고요? 차 팔기 싫다는 소리를 저렇게 경박하게 할 수도 있군요.
사회보장이 안된다 = 국가의 재무상태가 나빠진다 = 소비가 줄어든다 = 차가 안 팔린다
일론 머스크도 지능이 처참하네요.
사회보장이 안된다 = 국가의 재무상태가 나빠진다 = 소비가 줄어든다 = 차가 안 팔린다
일론 머스크도 지능이 처참하네요.
푸른미르님의 댓글
작성자
푸른미르

작성일
03.02 17:09
사회보장이 폰지사기면 세금 걷어가는 정부는 사기꾼인가요?
국민연금이나 사회보장제도가 폭동을 안나게 막고 있다는 걸 모르나보군요
국민연금이나 사회보장제도가 폭동을 안나게 막고 있다는 걸 모르나보군요
쿠키맨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2 17:21
@니파님에게 답글
전제 조건부터가 완전 틀린 소리 같습니다.
국가의 사회보장은 이윤을 추구해야하는 민간 사기업이 아니죠.
또한 국가는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해야하는 헌법 가치를 무시할수 없다는 전제 조건까지...
공공과 민간을 같은 선상에 놓고 따지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국가의 사회보장은 이윤을 추구해야하는 민간 사기업이 아니죠.
또한 국가는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해야하는 헌법 가치를 무시할수 없다는 전제 조건까지...
공공과 민간을 같은 선상에 놓고 따지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옐도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2 17:46
@니파님에게 답글
완전 틀린 비유입니다.
폰지 사기는 새 투자자로 기존 투자자를 속이는 사기지만, 사회보장제도는 현재 근로자의 세금으로 퇴직자를 지원하는 시스템입니다. 문제는 인구 변화와 정치적 미루기로 자금이 부족해질 수 있다는 점이지, 사기 의도가 있는 게 아니죠.
머스크의 진짜 무식한 발언이에요
폰지 사기는 새 투자자로 기존 투자자를 속이는 사기지만, 사회보장제도는 현재 근로자의 세금으로 퇴직자를 지원하는 시스템입니다. 문제는 인구 변화와 정치적 미루기로 자금이 부족해질 수 있다는 점이지, 사기 의도가 있는 게 아니죠.
머스크의 진짜 무식한 발언이에요
MSgt.Kim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2 17:50
@니파님에게 답글
전혀 동의할 수 없고, 설령 아예 틀린말은 아니라 할지라도 그럼 애초에 "아예 틀리지 않게" 말해야죠.ㅋㅋ
"전두환이 잘했어" = 아예 틀린말은 아니지 않나요.
"정부는 순 도둑놈이야" = 아예 틀린말은 아니지 않나요.
이거랑 같은겁니다. 전혀 동의할 수 없지만, '아예 틀린말은 아니'라면 그럼 처음부터 아예 틀리지 않게 말해야....
"전두환이 잘했어" = 아예 틀린말은 아니지 않나요.
"정부는 순 도둑놈이야" = 아예 틀린말은 아니지 않나요.
이거랑 같은겁니다. 전혀 동의할 수 없지만, '아예 틀린말은 아니'라면 그럼 처음부터 아예 틀리지 않게 말해야....
메이메이데이데이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3 06:58
@홀린님에게 답글
자기가 낳은 첫째 아들이 트랜스젠더의 선택을 하자 반 미쳐버린 결과가 트럼프 당선을 위해 매진한 걸 보면 그냥 또라이라고밖에 설명 안돼요. 본인은 4년만 하고 나가면 그만이겠지만 그 수습을 할 다음 정권은 얼마나 고생할 지 상상이 안가요.
mtrz님의 댓글
작성자
mtrz

작성일
03.02 17:14
어느 분이 다른 글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사회보장제도가 폰지 사기라면
달러나 원과 같은 현대의 통화도 모두 폰지 사기입니다.
사회보장제도가 폰지 사기라면
달러나 원과 같은 현대의 통화도 모두 폰지 사기입니다.
쟘스님의 댓글
작성자
쟘스

작성일
03.02 17:16
미쳤군요 ㅋㅋ
폰지사기는 돈벌려고 하는건데
사회보장연금을 나라가 수익내려고 운영하나요?
전제가 틀렸는데 어이가 없군요.
참나 ㅋㅋㅋㅋ
폰지사기는 돈벌려고 하는건데
사회보장연금을 나라가 수익내려고 운영하나요?
전제가 틀렸는데 어이가 없군요.
참나 ㅋㅋㅋㅋ
레오야사랑해님의 댓글
작성자
레오야사랑해

작성일
03.02 17:19
그럼 정부에서 세금 걷는거 자체가 사기죠. 누군가는 수입이 많아서 더 내고, 누군가는 돈없어서 혜택만 받는데요. 아예 세금도 걷지말고 인프라도 사설로 다 알아서 해야 겠네요.
케이건님의 댓글
작성자
케이건

작성일
03.02 17:20
사회보장제도의 목적은... 부의 재분배를 통해 약자를 배려하는 사회를 만드는게 목적 아닌가요?
폰지사기라...
경쟁력없는 사람들은 그냥 다 혀깨물고 디지라는 소리를 하고 싶은건가 싶네요
폰지사기라...
경쟁력없는 사람들은 그냥 다 혀깨물고 디지라는 소리를 하고 싶은건가 싶네요
96230991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2 18:30
@케이건님에게 답글
경쟁력없는 사람들은 그냥 다 혀깨물고 디지라는 소리를 하고 싶은건가 싶네요
에서 그렇게 되기전에 폭동 또는 혁명이 발생할것같습니다
다시말하자면 부자들 보호해주는 용도라고 볼 수도 있겠네요
멕시코 같은 나라에 살면서 방탄차 타고, 식구들 납치당할까 저어하여 보디가드 거느리고, 집안에서도 테러 당할까 하며 전전긍긍하면서 살고 싶은가봅니다
이런일 막아주는게 사회보장제도 아닐까 합니다
에서 그렇게 되기전에 폭동 또는 혁명이 발생할것같습니다
다시말하자면 부자들 보호해주는 용도라고 볼 수도 있겠네요
멕시코 같은 나라에 살면서 방탄차 타고, 식구들 납치당할까 저어하여 보디가드 거느리고, 집안에서도 테러 당할까 하며 전전긍긍하면서 살고 싶은가봅니다
이런일 막아주는게 사회보장제도 아닐까 합니다
마티스님의 댓글
작성자
마티스

작성일
03.02 17:22
사회 혼란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장기간의 걸친 논의 끝에 만들어진
나름 합리적인 제도를 가지고 비판을 할거면, 최소한 대안이라도 이야기 하고
말을 해야지, 저렇게 질러 놓고 어쩌자는 건지 모르겠네요.
사회보장제도를 없애면, 테슬라가 기본소득이라도 준다는 것도 아니면서
참, 나쁜친구네요.
나름 합리적인 제도를 가지고 비판을 할거면, 최소한 대안이라도 이야기 하고
말을 해야지, 저렇게 질러 놓고 어쩌자는 건지 모르겠네요.
사회보장제도를 없애면, 테슬라가 기본소득이라도 준다는 것도 아니면서
참, 나쁜친구네요.
angelo님의 댓글
작성자
angelo

작성일
03.02 17:26
본질을 봐야지 피상적으로 비슷한 점이 있다고 동일시할 수 있나요. 틀린 말은 아니지 않느냐는 반응이 가장 답답합니다. 본질을 보세요. 저렇게 피상적 유사점 일부를 들어 선동하는 것들이 원하는 것은 혼란이고 그 혼란을 틈타 이익을 취하는 게 목적인 겁니다.
LunaMaria®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2 17:36
@angelo님에게 답글
맞아요. 테슬라 주식에 몰빵한건지
쿨병인지 말은 맞다는 사람들은 제일 어리석은거죠
쿨병인지 말은 맞다는 사람들은 제일 어리석은거죠
민고님의 댓글
작성자
민고

작성일
03.02 17:26
머스크 극단적 발언 던지는 모습 보일때마다 이런 식으로 될거 같더라니
돈 많은 똘아이가 정치랑 결합하더니 인간 사회 대상으로 로켓 실험하듯이 마구 던질듯
미국은 극단적 약육강식 나라로 변하겠네요
돈 많은 똘아이가 정치랑 결합하더니 인간 사회 대상으로 로켓 실험하듯이 마구 던질듯
미국은 극단적 약육강식 나라로 변하겠네요
HJ아는목수님의 댓글
작성자
HJ아는목수

작성일
03.02 17:43
결국 민영화 빌드업인가....그게 폰지사기면 오토파일럿 학습시키는 소비자 데이터도 소비자에게 비용을 지급해야하는거죠. 트럼프가 쥐고 있는 머스크 개목줄이 어쩌면.....
썸머이즈커밍님의 댓글
작성자
썸머이즈커밍

작성일
03.02 17:44
기본소득은 주장하면서 저런말을요... 흠
아니면.. 모든 사회보장비용을 없애고 기본소득을 할려고 저러는걸까요?
아니면.. 모든 사회보장비용을 없애고 기본소득을 할려고 저러는걸까요?
젤님버스님의 댓글
작성자
젤님버스

작성일
03.02 17:56

소셜 시큐리티는 복지제도 전체가 아니라 국민연금이라고 이해하는 게 적절합니다.
그리고 20대인 제 입장에서 솔직히 국민연금이 폰지라고밖에 안 느껴지는 건 맞는데요.
만들어질 때 상정한 거랑 인구 구조가 정반대로 가고 있는데도 상정할 때의 구조를 거의 유지하고 있는 게 말이 안 됩니다.
이런 말 하면 '그럼 넌 받지 마라(내지도 말라는 말은 절대 안 함)' '네 부모님 용돈 드린다고 생각해라' '너는 늙어도 지금처럼 돈 벌 수 있을 줄 아냐' 라면서 비아냥밖에 안 돌아오던데, 여러분이 지금 10대 20대여도 똑같이 생각하실까요 과연?
머스크 안 좋아하구요, 테슬라 차나 주식도 없고 DOGE랍시고 이 사람 저 사람 다 자르다가 뒤늦게 실수 알아채고 잘린 사람에게 다시 돌아와달라고 연락 돌리는 거 되게 멍청하다고 생각합니다.
LunaMaria®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2 18:16
@젤님버스님에게 답글
그건 님이 20대라 그런거고, 그런 짧은 식견으로 함부로 폰지사기니 뭐니 할 정도로 국민연금이 취급당할 건 아닙니다.
그런 말을 쉽게 내밷는 것도 무지 중에 하나죠.
그런 말을 쉽게 내밷는 것도 무지 중에 하나죠.
젤님버스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02 18:41
@LunaMaria®님에게 답글
그럼 저도 돌려드리죠. 그건 님이 20대가 아니라 그런 거고, 앞으로의 세대에게 훌륭한 시스템이라고 국민연금이 추앙받을 건 아닙니다.
아니면 뭐 젊은 세대들이 '어쩔 수 없는 시대의 흐름 때문에 내가 손해를 보게 되었을 뿐, 국민연금은 본질적으로 훌륭하고 아름다운 시스템이니까 우리가 참고 받아들이자' 라고 생각하길 바라시나요?
아니면 뭐 젊은 세대들이 '어쩔 수 없는 시대의 흐름 때문에 내가 손해를 보게 되었을 뿐, 국민연금은 본질적으로 훌륭하고 아름다운 시스템이니까 우리가 참고 받아들이자' 라고 생각하길 바라시나요?
네질러님의 댓글
작성자
네질러

작성일
03.02 17:56
머스크의 재력 수준에선 국가 정부의 사회복지 혜택이 우습게 보이나 보죠. 본인 경제력 수준엔 불필요한 걸테니. 국가의 행정, 복지 제도를 기업의 비지니스 경영처럼 막 대하는군요.
로스로빈슨님의 댓글
작성자
로스로빈슨

작성일
03.02 23:38
그 동안 어떻게 참고 지냈을까요. 저렇게 발악하는 인물치고 말로가 좋은 경우는 못 봤어요. 머스크가 아무리 돈많고 영향력이 잇다고 해도 때 만났다고 저렇게 설치다가는 골로가는 거죠.
통화권이탈님의 댓글
작성자
통화권이탈

작성일
03.03 14:13
저기는 그래도 나름 안정적으로 운영해 본 역사나 있지 우리 나라는 지급 연령도 미루고 연금 개혁이랍시고 지금률을 줄일려고 애쓰는데요. 이게 약속한 돈을 주겠다는 행동은 아니지요. 차라리 솔직하게 얘기라도 하면 이해는 하겠습니다.
새벽하나님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