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궁금합니다. GPT가 그려준 지브리풍 저작권료는 어떻게 되는 건가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freeking

작성일
2025.04.03 11:43
본문
우리는 재밌어서 좋은데
저작권료 지브리쪽에 지불되는게 없다면
앞으로 모든 업계는 그냥 눈뜨고 코 베이는 겪이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ㅎㅎ
1명
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22
/ 1 페이지
freeking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03 11:45
@TheS님에게 답글
그래서요. 그럼 원작자 등 데이터를 제공하고 학습된 AI 업체만 횡재하는 것 같아서 업계들이 버틸 수 있을까 생각이 듭니다
TheS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03 11:48
@freeking님에게 답글
그건 여러 업체들끼리 치고박고 싸우면서 선이 정해질 부분이라 아직은 아무도 모를 것 같네요.
인류가 농사를 짓기 전과 후의 삶이 달랐고,
농사 짓기 전의 인류가 그 후 생겨날 국가들의 형태나 관련 제도 등을 상상하지 못한 것처럼요.
인류가 농사를 짓기 전과 후의 삶이 달랐고,
농사 짓기 전의 인류가 그 후 생겨날 국가들의 형태나 관련 제도 등을 상상하지 못한 것처럼요.
로이란님의 댓글
작성자
로이란

작성일
04.03 11:52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 주셨네요
지브리풍 이미지의 저작권 관련해 헷갈릴 수 있는 부분이 많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GPT가 생성한 지브리풍 이미지는 지브리 스튜디오의 실제 저작물이나 캐릭터를 직접 복제한 것이 아니라면,
일반적으로 저작권료를 지불하지 않아도 되고, 상업적 사용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여기엔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어요:
⸻
1. “지브리풍”은 스타일 모방이지, 캐릭터 복제는 아님
• 지브리 스타일을 참고한 이미지(예: 따뜻한 색감, 부드러운 붓 터치 등)는 법적으로 보호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 하지만 토토로나 하쿠, 센처럼 특정 캐릭터나 장면을 묘사하면 저작권 침해가 될 수 있어요.
⸻
2. AI 생성물의 저작권 문제
• 현재 GPT가 생성한 이미지에는 별도의 저작권자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OpenAI의 사용 약관에 따라 사용자가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어요.
• 즉, 상업적 사용 가능, 단 오용 금지(불법적이거나 유해한 목적 등) 조항만 지키면 됩니다.
⸻
3. 상업적 사용 시 추천 사항
• 완전히 새롭고 독창적인 설정이나 캐릭터를 넣어서 지브리풍이긴 하지만 전혀 다른 세계관을 만들어내면 가장 안전해요.
• 브랜드 로고, 상품 포장, 광고 등 대중 노출이 큰 상업 활동에 사용할 경우는
변호사나 저작권 전문가와 한 번 검토해보는 것도 좋아요.
지브리풍 이미지의 저작권 관련해 헷갈릴 수 있는 부분이 많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GPT가 생성한 지브리풍 이미지는 지브리 스튜디오의 실제 저작물이나 캐릭터를 직접 복제한 것이 아니라면,
일반적으로 저작권료를 지불하지 않아도 되고, 상업적 사용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여기엔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어요:
⸻
1. “지브리풍”은 스타일 모방이지, 캐릭터 복제는 아님
• 지브리 스타일을 참고한 이미지(예: 따뜻한 색감, 부드러운 붓 터치 등)는 법적으로 보호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 하지만 토토로나 하쿠, 센처럼 특정 캐릭터나 장면을 묘사하면 저작권 침해가 될 수 있어요.
⸻
2. AI 생성물의 저작권 문제
• 현재 GPT가 생성한 이미지에는 별도의 저작권자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OpenAI의 사용 약관에 따라 사용자가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어요.
• 즉, 상업적 사용 가능, 단 오용 금지(불법적이거나 유해한 목적 등) 조항만 지키면 됩니다.
⸻
3. 상업적 사용 시 추천 사항
• 완전히 새롭고 독창적인 설정이나 캐릭터를 넣어서 지브리풍이긴 하지만 전혀 다른 세계관을 만들어내면 가장 안전해요.
• 브랜드 로고, 상품 포장, 광고 등 대중 노출이 큰 상업 활동에 사용할 경우는
변호사나 저작권 전문가와 한 번 검토해보는 것도 좋아요.
취백당님의 댓글
작성자
취백당

작성일
04.03 11:53
일본 애들도 워낙에 서양을 동경해서 만화속 주요 인물들 모두 노란 머리 여자아이로 도배되고,
네로와 그 덩치 큰 개 모두 서양배경으로 그린건데,
그림풍도 서양꺼 초기에 죄다 배껴서 유지해온 산업인데요. 뭐.... 지브리풍 따위...
네로와 그 덩치 큰 개 모두 서양배경으로 그린건데,
그림풍도 서양꺼 초기에 죄다 배껴서 유지해온 산업인데요. 뭐.... 지브리풍 따위...
aquapill님의 댓글
작성자
aquapill

작성일
04.03 11:54
첫 댓글처럼, 화풍에는 저작물성이 없어요.
자유롭게 써도 되고, 오히려 그게 저작권 제도의 취지에 부합하는 겁니다.
상품으로 팔고 있는 저작물은 건들지 말고, 대신 그게 아니라면 누구나 자유롭게 쓰게 해서 문화를 융성하게 하겠다...그게 법취지입니다. 지재권 제도들은 사익적, 공익적 목적이 늘상 균형을 이룹니다.
자유롭게 써도 되고, 오히려 그게 저작권 제도의 취지에 부합하는 겁니다.
상품으로 팔고 있는 저작물은 건들지 말고, 대신 그게 아니라면 누구나 자유롭게 쓰게 해서 문화를 융성하게 하겠다...그게 법취지입니다. 지재권 제도들은 사익적, 공익적 목적이 늘상 균형을 이룹니다.
취백당님의 댓글
작성자
취백당

작성일
04.03 11:57
박정희의 독재시절 만화 문화탄압만 없었다면 아마도 한국이 일본보다 더 큰 애니메이션 강국이 되었을거라고 확신합니다.
고 신동우 화백의 형님, 신동헌 감독님으로 아는데, 당시 기와집 몇 채를 팔아서 만든 한국 장편 애니메이션 필름이 반세기만에 일본에서 발견하고 복원되었는데요.
당시 애니메이션에 지금 돈으로 수 백억을 투자해 만들었었고, 디즈니나 일본 지브리에 주요 애니메이션 납품해온 주요 국가도 한국으로 알고 있습니다.
백정희때는 만화는 불온한 장소로 치부하고 오로지 자기네 체제선전 도구로만 이용되었죠.
까망꼬망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03 12:03
@취백당님에게 답글
박정희가 경제살렸다는둥 헛소리하는 미친 인간들 꽤 있는데 알고보면 이놈 손대서 잘된거 하나 없죠
경제도 박정희가 죄다 말아먹는거 미국에서 그딴식으로 할거면 원조 끊는다고 해서 경제 손떼고 나니
그떄서야 살아났었구요.
경제도 박정희가 죄다 말아먹는거 미국에서 그딴식으로 할거면 원조 끊는다고 해서 경제 손떼고 나니
그떄서야 살아났었구요.
취백당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03 12:07
@까망꼬망님에게 답글
미국 원조와 지원으로 경제버틴거지 살리긴 뭘 살려요... ;
67년 작품인데 작품 캐릭터 화풍을 보면 기가 막힙니다. 위트와 풍자가 녹아든... 배경도 수려하고
당시 디즈니 보다 좋았으면 좋았지 떨어지지 않습니다. 최소한 왜구들처럼 노랑머리 여자애가 주인공으로 나오진 않습니다.
67년 작품인데 작품 캐릭터 화풍을 보면 기가 막힙니다. 위트와 풍자가 녹아든... 배경도 수려하고
당시 디즈니 보다 좋았으면 좋았지 떨어지지 않습니다. 최소한 왜구들처럼 노랑머리 여자애가 주인공으로 나오진 않습니다.
까망꼬망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03 12:14
@취백당님에게 답글
미국원조와 한일수교로 뒷돈 챙기고, 베트남 파병 피값 벌은거 다 삥땅쳐놓고 임기내 북한보다 못살은게
박정희였죠. 웃긴건 2찍 말고도 1찍한다는 사람중에도 의외로 공과는 가려야 한다며 박정희 경제 살린걸로
아는 사람들 꽤 있어서 댓글 달았었네요...다모앙에서도 그런 소리 하는 사람 한명 본 적 있어서요.
박정희였죠. 웃긴건 2찍 말고도 1찍한다는 사람중에도 의외로 공과는 가려야 한다며 박정희 경제 살린걸로
아는 사람들 꽤 있어서 댓글 달았었네요...다모앙에서도 그런 소리 하는 사람 한명 본 적 있어서요.
취백당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03 12:22
@까망꼬망님에게 답글
박정희가 없었으면 우리 독립운동가 지대에서 정권을 잡았으면
10배 100배는 더 성장시켰을 겁니다.
위에 홍길동전 첫 장편 애니메이션을 보고 일본에서 모두 한국이 자국의 애니메이션 수준을 훨씬 넘어썼다고 보도 되었다고 합니다. 이승만 자유당 출신 세기상사 사장놈이 제작사라고 모두 돈을 강탈해가서 망해서 그렇지.. ;
애니메이션이 이승만, 박정희, 군부독재로 이어지는 문화 탄압 과정을 거치지 않았다면 일본의 애니메이션 산업을 훨씬 앞서는 혁신적 국가 성장 원동력이 되어있었을 겁니다. 지금 웹툰 원작의 수많은 다른 형태의 드라마와 영화를 넘어서서요.
10배 100배는 더 성장시켰을 겁니다.
위에 홍길동전 첫 장편 애니메이션을 보고 일본에서 모두 한국이 자국의 애니메이션 수준을 훨씬 넘어썼다고 보도 되었다고 합니다. 이승만 자유당 출신 세기상사 사장놈이 제작사라고 모두 돈을 강탈해가서 망해서 그렇지.. ;
애니메이션이 이승만, 박정희, 군부독재로 이어지는 문화 탄압 과정을 거치지 않았다면 일본의 애니메이션 산업을 훨씬 앞서는 혁신적 국가 성장 원동력이 되어있었을 겁니다. 지금 웹툰 원작의 수많은 다른 형태의 드라마와 영화를 넘어서서요.
0sRacco님의 댓글
작성자
0sRacco

작성일
04.03 12:03
어느 요소가 지브리풍을 만드는지 지브리에서 조목조목 따져서 GPT생성물하고 비교해냐할텐데 무리죠. 일단 인간이 인식의 반영물에 대한 분석은 못하거등요
산사공님의 댓글
작성자
산사공

작성일
04.03 13:15
TheS님의 댓글
제가 갑자기 몬드리안 따라 그리거나 고흐 따라 그린다고 해서 몬드리안이나 고흐에게 저작권료를 내지는 않습니다.
물론 그걸로 제가 돈을 벌려고 유료 전시회를 연다거나 하면 다른 사람 화풍 따라하는 짝퉁 작가로 소문나서 망할 가능성은 높습니다.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