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장은 5% 넘게 폭락 중...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여름펭귄

작성일
2025.04.05 01:56
본문
어제는 윤돼지가 파면되어서 정말 기쁜 날이지만,
미국 증시에 투자하신 분들은 마음을 좀 단단히 잡으셔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미국증시는 나스닥이 5% 넘게 폭락하고 있는데,
역시나 그 중심에는 트럼프 리스크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재산 관리 잘 하셔서 2찍 보다 잘사는 1찍 분들이 모두 되시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83명
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28
/ 1 페이지
여름펭귄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05 02:05
@6K2KNI님에게 답글
당분간은 어려워 보이지만, 트럼프가 저점에서 주식 산 다음에는 급등 가능성도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6K2KNI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05 02:07
@여름펭귄님에게 답글
물타기로 2~3배 총알 충전중입니다. 이대로 떡락해서 니콜라꼴은 나지 않겠죠...
가사라님의 댓글
작성자
가사라

작성일
04.05 02:13
미국애들이 왜 우리나라 재판관들을 빌려달라고 하는지 이해가 바로 되는 그래프군요.
연초에 팔란티어에 꽂혀서 지를까 말까 고민했었는데 만약 그때 들어갔었으면 피바다 볼뻔 한거네요.
연초에 팔란티어에 꽂혀서 지를까 말까 고민했었는데 만약 그때 들어갔었으면 피바다 볼뻔 한거네요.
여름펭귄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05 02:14
@가사라님에게 답글
차트가 정말 살벌합니다. 3배 롱 ETF 투자자는 조만간 상당수 오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고약상자님의 댓글
작성자
고약상자

작성일
04.05 02:29
미국은 새로운 경제 시스템으로 갈아 탔습니다. 이게 성공할지 실패할지는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이런 불확실성 때문에 아마 증시가 폭락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과연 미국의 실험은 성공할까요?
여름펭귄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05 02:33
@고약상자님에게 답글
개인적으로는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저라면 한국 같은 동맹국 키워서 중국 견제하고 대신 한국 등에 국채 팔아서 그 이익도 어느정도 나누어 가질 수 있었을텐데...뭔가 이찍처럼 많이 어설프고 단순한 것 같습니다.
고약상자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05 02:38
@여름펭귄님에게 답글
바이오 메디컬 쪽은 제 전공이라서 어느 정도 정확히 예측이 가능한데, 경제학은 솔직히 예측이 잘 안됩니다.
여름펭귄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05 02:41
@고약상자님에게 답글
경제학은 문과나 이과의 학문과는 또 다른 세계관이라서 아예 다른 학문의 사상을 잠시 지우고 편견없이 순백의 자세로 접근하면 조금 더 쉽게 다가갈 수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경제학은 상대성=수요와공급=제로섬, 한정된 재화(이익)를 둘러싼 시장의 변화를 설명히는 학문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Saracen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05 02:55
@고약상자님에게 답글
트럼프가 성공할것이라고 말하는 단 한명의 전문가도 보지 못했습니다. 트럼프의 변덕으로 조변석개하는 정책이 성공한다면 그것이야말로 기적일 것입니다.
Physicist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05 03:01
@Saracen님에게 답글
새로운 경제 시스템ㄷㄷㄷ 어질어질합니다.
아거 도대체 뭔지 설명해달라고 하면 100퍼 딴소라 할겁니다.
아거 도대체 뭔지 설명해달라고 하면 100퍼 딴소라 할겁니다.
뚜벅뚜벅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05 03:37
@고약상자님에게 답글
이론적으로만 보면 할만하다고 생각했을수 있지요. 머스크가 3~4년만 버티면 로봇으로 인건비 차이를 벌충해서 다른 국가들과 경쟁할수 있다고 꼬셨을지도요. 하지만 상대국가들이 아무것도 안하고 당하기만 할리도 없거니와 수십년간 자유무역과 달러패권사이의 등가교환을 시킨건데 한축이 무너지는데 나머지가 멀쩡할리가요.
이미 쏘아올려진 공이라 트럼프가 물러나도 다음 대통령도 비슷한 포지션을 취하겠지요. 코로나가 제조업 부활을 외치게 했다면
이 끝은 미국 패권의 종말일지 3차 세계대전일지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는 모르겠지만 최소한 좋은 방향은 아닐겁니다.
이미 쏘아올려진 공이라 트럼프가 물러나도 다음 대통령도 비슷한 포지션을 취하겠지요. 코로나가 제조업 부활을 외치게 했다면
이 끝은 미국 패권의 종말일지 3차 세계대전일지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는 모르겠지만 최소한 좋은 방향은 아닐겁니다.
어머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05 03:38
@고약상자님에게 답글
새로운 경쟁 시스템이요?????
너 맘에 안드니 관세 이게 새로운 경제시스템인가요.
이런 말은 처음 듣는데요 트럼프식 새로운 경제 시스템
너 맘에 안드니 관세 이게 새로운 경제시스템인가요.
이런 말은 처음 듣는데요 트럼프식 새로운 경제 시스템
11235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05 04:12
@고약상자님에게 답글
바이든 정부때는 그렇게 이자율 높게 올리고 유지하는게 FRB에서 할 수 있는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응하는 유일한 수단이라고 설명을 들어도 절대 안들으시더니, 논리도 없이 무지막지한 관세를 매겨 물가를 한순간에 수십퍼센트 올려주는 트럼프의 경제는 "새로운" 경제 시스템으로 말씀하시는군요.
그때 이자율 때문에 서민경제가 파탄난다던 고약상자님이 언급하신 서민들은 어디가고, 지금 박살나는 경제에서 고통받는 서민들은 소위 트럼프 효과가 나올 때 까지 고통은 감내할 수 있는 인내심 많은 서민 들인가요?
그 트럼프 효과 조차도 전문가들은 다 경제 아작난다고 하는데, 그마저도 믿지 않고 그저 신기루나 쫒고 있는 상황에서요?
코로나때 양질의 정보를 올려주신 점 고맙게 생각합니다.
근데, 메디컬 전공이시니 메디컬에만 신경써주시죠.
경제고 모고 난 모르겠고, 난 트럼프를 믿는다는 트럼트 지지자들과 그닥 다를 바 없는 듯한 뉘앙스의 발언을 듣고 있자니 어질어질 하네요.
참고로 말씀드리지만, 저도 그다지 깊이는 없지만 나름 경제연구원으로 7년넘게 일한 덕에 여기저기 들은 풍문은 많으니 적어도 고약상자님 보다 경제에 대한 이해도는 높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때 이자율 때문에 서민경제가 파탄난다던 고약상자님이 언급하신 서민들은 어디가고, 지금 박살나는 경제에서 고통받는 서민들은 소위 트럼프 효과가 나올 때 까지 고통은 감내할 수 있는 인내심 많은 서민 들인가요?
그 트럼프 효과 조차도 전문가들은 다 경제 아작난다고 하는데, 그마저도 믿지 않고 그저 신기루나 쫒고 있는 상황에서요?
코로나때 양질의 정보를 올려주신 점 고맙게 생각합니다.
근데, 메디컬 전공이시니 메디컬에만 신경써주시죠.
경제고 모고 난 모르겠고, 난 트럼프를 믿는다는 트럼트 지지자들과 그닥 다를 바 없는 듯한 뉘앙스의 발언을 듣고 있자니 어질어질 하네요.
참고로 말씀드리지만, 저도 그다지 깊이는 없지만 나름 경제연구원으로 7년넘게 일한 덕에 여기저기 들은 풍문은 많으니 적어도 고약상자님 보다 경제에 대한 이해도는 높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Physicist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05 04:33
@11235님에게 답글
https://damoang.net/free/3502875#c_3503453
“사람들은 자기 생각을 바꾸려고 하지 않으며, 타인의 의견에 좀처럼 귀 기울이지 않는다는 것”
자가당착일까요? 내로남불일까요? ㅎㅎ

https://damoang.net/free/3502875#c_3503453
“사람들은 자기 생각을 바꾸려고 하지 않으며, 타인의 의견에 좀처럼 귀 기울이지 않는다는 것”
자가당착일까요? 내로남불일까요? ㅎㅎ
허허허허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05 08:02
@Physicist님에게 답글
과거 두 분간 히스토리가 있을지 모르겠으나 지금 상황만 봤을 때는 님이 더 무서운데요;;
고약상자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05 04:39
@11235님에게 답글
물가가 수십퍼센트 올랐다는 말씀은 사실 관계가 맞지 않습니다. 실제 미국 물가는 작년 이후로 추가로 더 오르지는 않았습니다. 이미 오른 게 잘 안 내려가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저는 지금도 기준 금리를 올리는 것이 물가를 낮춰준다는 말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지금도 매우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여전히 물가는 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저는 지금도 국제 유가를 낮춰야 미국 물가가 낮아진다고 생각합니다. 국제 유가가 여전히 60달러 후반대로 좀처럼 내려가고 있지 않습니다. 배럴당 50달러 이하로 내려가면 아마 물가가 내려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저는 지금도 기준 금리를 올리는 것이 물가를 낮춰준다는 말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지금도 매우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여전히 물가는 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저는 지금도 국제 유가를 낮춰야 미국 물가가 낮아진다고 생각합니다. 국제 유가가 여전히 60달러 후반대로 좀처럼 내려가고 있지 않습니다. 배럴당 50달러 이하로 내려가면 아마 물가가 내려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고약상자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05 05:03
@11235님에게 답글
제가 기준금리를 낮추고 국제 유가를 낮춰주는 것이 물가에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의견을 말한 것이 이런 욕과 조롱까지 먹어야 할 정도로 비도덕적인 말이었나요? 이런 얘기하면 이런 비난을 들어야 하는 것이 정당한 것인지 잘 이해가 안 갑니다. 이게 님에게는 그렇게 못된 말이었습니까? 이런 의견도 말하면 안되는 건가요?
불확실성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05 06:39
@고약상자님에게 답글
저는 말씀하신 정도의 의견은 충분히 낼 수 있는 의견이라 봅니다
트럼프가 왜 저러는가에 대해 진단하는 전문가들도 같은 말들을 하던데
그들도 기존에 알던 방식의 시스템 대로면 결과는 당연히 나쁘게 예측이 된다는게 다수고
만에 하나라도 이걸 성공시키면 정말 그건 새로운 방식이다 라고 말들이 나오는 판국인데
지금 트럼프의 행보가 기존에 실행된 적 없는 새로운 방식이냐 아니냐로만 본다면 맞긴 맞는거죠
트럼프가 왜 저러는가에 대해 진단하는 전문가들도 같은 말들을 하던데
그들도 기존에 알던 방식의 시스템 대로면 결과는 당연히 나쁘게 예측이 된다는게 다수고
만에 하나라도 이걸 성공시키면 정말 그건 새로운 방식이다 라고 말들이 나오는 판국인데
지금 트럼프의 행보가 기존에 실행된 적 없는 새로운 방식이냐 아니냐로만 본다면 맞긴 맞는거죠
blast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05 06:41
@고약상자님에게 답글
전제조건이 1) 달러 약세, 2) 채권 금리 인하, 3) 100년 무이자 영구채 강매, 4) 각 국가에서 보복 관세 없을 것 등으로 보이는데..... 2번은 몰라도 나머지가 어렵지 않을까요?
몇몇 국가는 이미 협상하는 중이라고 나오기는 했는데... 유럽 몇몇 국가와 베트남 등...... (유럽 몇몇 국가는 빅테크 세금 인하 고려)
지금 구도가 자유 무역을 수호하는 중국(? 이게 맞나 싶습니다) vs 보호무역을 천명한 미국 (? 대체 어느 세계선...)으로 잡혀서...... / 중국이 대미 관세만 발표.
몇몇 국가는 이미 협상하는 중이라고 나오기는 했는데... 유럽 몇몇 국가와 베트남 등...... (유럽 몇몇 국가는 빅테크 세금 인하 고려)
지금 구도가 자유 무역을 수호하는 중국(? 이게 맞나 싶습니다) vs 보호무역을 천명한 미국 (? 대체 어느 세계선...)으로 잡혀서...... / 중국이 대미 관세만 발표.
쿨마인드님의 댓글
작성자
쿨마인드

작성일
04.05 03:30
TQQQ 계좌가 녹고 있습니다 ㅋㅋㅋ 하하하.... 웃는게 웃는게 아닌 ㅋㅋㅋ
그래도 달러에 투자한게 다시 오르고 있어서 상황은 괜찮은데....
나라 경제가 진짜 걱정이 됩니다 ㅠㅠ
그래도 달러에 투자한게 다시 오르고 있어서 상황은 괜찮은데....
나라 경제가 진짜 걱정이 됩니다 ㅠㅠ
솔고래님의 댓글
마저 버려둬야 겠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