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모앙 커뮤니티 운영 규칙을 확인하세요.
X

소니는 진짜 카메라 사업, 특히 렌즈에서 정점을 찍는 군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DRJang
작성일 2025.04.23 13:44
3,785 조회
13 추천

본문

몇년전에 G마스터 라인업 만든 이후로 어디 외계인 하나 납치했나 싶은 그런것들을 계속 찍어왔는데 이번에 나온 녀석은 더 하네요.

여기저기 리뷰어들 평가 보면 거의 지금 광학기술에 정점이다 라고 해도 과언은 아닌 물건인데...(물론 가격도....안드로메다......)

제가 예전에 소니 A7R II 가지고 일할때 생각하면, 지원도 부실하고, 배터리(FW50...)는 광탈하고, 렌즈는 없어서 캐논꺼 끌어다 쓰고 했는데.... 지금 소니는 그런 시절이 있었나 싶어지게 진짜 넘사벽이 되어버렸어요.

심지어 이게 엄청 오래전도 아니고 불과 7~8년 전 이야기인데, 진짜 10년도 안되는 시간 사이에 카메라 업계를 제대로 뒤집어버렸네요.

현재 다른 전자 관련된 부분은 그 넘사벽의 바이오 만들던 시절 소니를 상상하기 힘든데, 카메라 부분은 그때 이상인거 같네요.


13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54 / 1 페이지

니파님의 댓글

작성자 니파
작성일 04.23 13:45
글로벌 셔터가 알파 7까지 내려오기를...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DRJang
작성일 04.23 13:47
@니파님에게 답글 안해줄거 같지만 글로벌셔터 집어넣고 rx1 후속좀 만들어줬으면 좋겠어요..

곽공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곽공
작성일 04.23 14:02
@니파님에게 답글 A7M7 정도..면 글로벌 셔터 들어가지 않을까요?
그나저나. 몇달전에 원래 발표했어야할 M5 는 언제까지 미뤄지려나요...ㅠㅠ;;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DRJang
작성일 04.23 14:22
@곽공님에게 답글 요즘 소니는 7C계열이랑 저 위 상위라인업 신경쓰느라 바뻐서 7 본가를 잘 챙겨줄지 좀 걱정입니다(...)
(이번에 보면 제가 가진 7R5에도 안들어가는 기능이 7CR에 펌업으로 들어갔죠. ㅠㅠ)

곽공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곽공
작성일 04.23 14:30
@DRJang님에게 답글 역으로 보면 소니가 m5 연기 했다는것 자체가 챙기고 있다고 볼수 있는거기는 합니다...
거의 옆그레이드 확정이였다가 경쟁사 와 스펙 맞추느라 연기한것이 맞아보이거든요..
이번에 7cr 업그레이드도 니콘 z5-2 때문일듯 하고요...
((그게 펍업으로 되는거면 m4도 좀!!))

LunaMaria®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LunaMaria®
작성일 04.23 13:45
렌즈 퀄은 캐논이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드림백돌이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드림백돌이
작성일 04.23 13:48
@LunaMaria®님에게 답글 요즘은 소니가 최고인거 같은데요..
퀼이라면 만듬새 말씀인가요?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DRJang
작성일 04.23 13:50
@LunaMaria®님에게 답글 특정 화각대에서는 캐논도 잘 찍고 있긴 한데, 캐논 렌즈들도 충분히 좋긴하나, "휴대성과 크기"라는 부분을 집어넣으면 캐논 쪽이 좋다라고 하기가 다 애매해지죠.

piuma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piuma
작성일 04.23 13:50
@LunaMaria®님에게 답글 캐논은 크고 무겁게 만들죠.
소니는 비슷한 성능에 더 가볍게 만들고
RF 마운트가 구형 DSLR보다 구경이 더 커서 빛을 더 받아들일 수는 있는데, 그거 때문에 렌즈 자체도 무거워지고 커지는 것 같고
소니는 구형 DSLR 시절과 거의 같은 구경의 마운트에 최근에는 1.2 2.0 조리개의 렌즈를 더 가볍게 출시하고 있어서
그 부분은 소니를 칭찬할만 하다고 봅니다.

LunaMaria®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LunaMaria®
작성일 04.23 14:02
@piuma님에게 답글 애초에 모험적인 렌즈는 캐논이 더 먼저 시도하죠. 구경이 큰것과 렌즈알이 커지는건 무관하구요. 오히려 소니 방식은 작은 구경에 짜내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설계에 불리하죠.
그래서 니콘도 구경을 더 키운거구요.
애초에 1.2, 2.0 렌즈 먼저 만들고 다양한 바리에이션을 보급한게 캐논입니다.
소니는 어중간하죠. 가성비는 있지만 성능면에서도 떨어지구요.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DRJang
작성일 04.23 14:09
@LunaMaria®님에게 답글 단지 그 니콘이 가진 Z마운트는 양날의 검이죠.
지금 나오는 풀프레임 미러리스에서 1이하로 조리개가 나오는 렌즈를 만들기에는 Z마운트가 가장 유리한데, 그대신 크기가....
확실히 캐논쪽 마운트 구조나 직경이나 이런게 잘 선택된거 같기는 합니다.

외국인노동자입니다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외국인노동자입니다
작성일 04.23 14:11
@LunaMaria®님에게 답글 흠..저도 24-70 같은 거 빼곤 단렌즈 들에선 소니가 캐논 보다 퀄이 떨어진다 생각은 안했는데...
가성비를 떠나서
모험적인 렌즈를 캐논이 만들어 냈다고 더 퀄이 좋다는 말씀이신가요?
더 퀄이 좋다는 객관적인 근거는 무엇일까요?

검은반도체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검은반도체
작성일 04.23 13:46
이거는 좀 갖고 싶습니다. 물론 쓸데는 없습니다.그냥 그렇다구요.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DRJang
작성일 04.23 13:54
@검은반도체님에게 답글 저도 지금은 일을 안하고 취미로 만 찍어서 이렇게 비싼 렌즈 필요없고, 주로 찍는것도 풍경이나 거리 스냅이라 저런거 필요 없는데 뭔가 가지고 싶습니다.

메카니컬데미지님의 댓글

작성일 04.23 13:46
주변에 경쟁자들이 다 뒤ㅈ....
RX100 1 아직도 잘 씁니다...  그런데 최신형은 180이나 하는군요ㄷㄷㄷㄷ
1

검은반도체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검은반도체
작성일 04.23 13:50
@메카니컬데미지님에게 답글 RX100 1 아직 쓰시는군요. 저도 치우지 못해 아직 쓰고 있는데 반갑습니다. ㅋㅋ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DRJang
작성일 04.23 13:55
@메카니컬데미지님에게 답글 요즘은 캐논과 니콘도 미친듯이 달리고 있습니다. 지금은 진짜 치열하게 전쟁중이죠..

드림백돌이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드림백돌이
작성일 04.23 13:47
성능은 진짜 미치긴했네요...
선예도..AF....보케는 말할것도 없고요...
신기한건 저 스펙에 렌즈사이즈도 사기급이긴합니다....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DRJang
작성일 04.23 14:00
@드림백돌이님에게 답글 진짜 소니가 렌즈 작게 찍는것은 진짜 미친거 같아요.
이게 예전에는 소니 혼자 미러리스 달릴때는 체감이 잘 안되었는데 캐논/니콘이 달려주니, 더 체감이 확확 오기 시작했는데 진짜 대단해요.

MarginJOA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MarginJOA
작성일 04.23 13:48
뭐 저 가격이면 저 정돈 기본으로 해줘야죠... ㅋㅋ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DRJang
작성일 04.23 14:01
@MarginJOA님에게 답글 저 가격이도 저렇게 작게 만들어 줄 수 있는 곳이 없었습니다...

FV4030님의 댓글

작성자 FV4030
작성일 04.23 13:48
전 삼양이 좋습니다. 비싸서 저런 류는 사지도 못해요. ㅠㅠ

돼지도살자님의 댓글

작성자 돼지도살자
작성일 04.23 13:48
가격 살벌하네요 3899달러. 최소 550만원정도 하겠군요.
소니는 그 치명적인 메모리카드 에러만 해결해도 점유율 지금보다 훨씬 높아질겁니다.
이건 해결할 생각이 없는건지 능력이 없는건지..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DRJang
작성일 04.23 13:57
@돼지도살자님에게 답글 니콘이나 캐논 하는 태도 보면 조금 더 신경 쓰기 시작해야해서 이제는 고치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그 메모리카드 에러가 NEX 시절부터 내려온 유구한 전통이라 냅두는건가 싶기도 하고요.

외국인노동자입니다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외국인노동자입니다
작성일 04.23 14:12
@돼지도살자님에게 답글 요샌 이어폰이 5000달러 자리도 나오는데요 뭐...ㅋㅋ 이러고 있네요

meteoros님의 댓글

작성자 meteoros
작성일 04.23 13:49
렌즈는 칼 짜이즈가 최고 아닌가요?
소니 기술력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나 보네요??

일리어스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일리어스
작성일 04.23 13:52
@meteoros님에게 답글 칼자이스가 좋다는것도 예전 이야기입니다.
소니에서 GM 렌즈 나온 이후로는요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DRJang
작성일 04.23 13:52
@meteoros님에게 답글 몇 년전부터 자이스 라인업 위에 G마스터 라인업이라는 렌즈군을 만들도 기술 과시중이죠.
휴대성과 보케에 대한 집념에서는 거의 업계 최강자가 되어가고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죠.

프랑지파니님의 댓글

작성자 프랑지파니
작성일 04.23 13:51
70-200 2.8 보다 착란원이 조금 더 크네요! 50mm 는 정말 유용하구요.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DRJang
작성일 04.23 14:05
@프랑지파니님에게 답글 50-135만 되어도 활용성이 미쳤을 렌즈인데 150까지 되니까 근데 크기는 그래도 손각대로 감당가능하게 작으니까 인물을 전문적으로 찍는 분들에게는 최애템으로 자리 잡을거 같아요.

미스마플님의 댓글

작성자 미스마플
작성일 04.23 13:57
그래서 얼만가요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DRJang
작성일 04.23 14:06
@미스마플님에게 답글 700에서 800 사이 이지 않을까 싶죠...

드림백돌이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드림백돌이
작성일 04.23 14:08
@미스마플님에게 답글 560정도입니다.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DRJang
작성일 04.23 14:11
@드림백돌이님에게 답글 국내가격은 몰랏는데 생각보다 저렴하게 나왔네요.
제가 가진 GM렌즈 1개랑 탐론 줌렌즈 2개 팔면 살 수 있는 가격이긴 하군요...

미스마플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미스마플
작성일 04.23 17:23
@드림백돌이님에게 답글 음... 일단 복권 사러 가겠습니다.

곽공님의 댓글

작성자 곽공
작성일 04.23 13:58
GM 렌즈 까지는 아니어도.
어댑터로 F마운트 렌즈 쓰는것은 그만 하고 싶은데....
현실은 서드파티 렌즈 사는것도 비싸네요..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DRJang
작성일 04.23 14:13
@곽공님에게 답글 저는 예전에 팔았던 알파마운트 렌즈 몇개를 다시 구매하고 있습니다.
동영상도 안찍는데 AF 좀 느려도 괜찮고, 어차피 삼각대쓰고 찍을 사진들이면 좀 무거워도 뭐 그냥 저냥........ㅠㅠ

앤디웜홀님의 댓글

작성자 앤디웜홀
작성일 04.23 14:05
비싸서 빌트록스나 탐론같은 서드파티만 사용하네요 ㅋㅋ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DRJang
작성일 04.23 14:37
@앤디웜홀님에게 답글 그래도 e마운트는 삼양+중국산들이 열심히 치고올라와서  선택지가 조금 더 넓은게 그나마 다행입니다.

클스님의 댓글

작성자 클스
작성일 04.23 14:06

이거 보시고 지름신을 물리치시길...저도 사진이 취미가 아니고 수집이 취미였던거 같습니다.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DRJang
작성일 04.23 14:31
@클스님에게 답글

저는 이런 사진도 종종 찍다보니 방어가 어렵습니다..ㅠㅠ

곽공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곽공
작성일 04.23 14:40
@클스님에게 답글 사진의 특성상.. 카메라의 성능이 베이스가 되기 때문에
기기에 관심이 (어느정도는).  없을수가 없죠....
((원시구조의 카메라 원리를 쓴다던가..카메라없이 인화지에 사진을 찍는(그리는) 예술가도 있기는 하지만요..))

보통 찍을수밖에 없는것이 생기...기도 하고요.
((돈을 줄테니 이러저러한것을 찍어주세요...
고양이가 예쁘게 있거나...등등..))

동영상에 내용처럼 자신만의 철학을 담아서 나만의 셀카...를 찍어봤는데.....대부분의 사람들은 싫어하더라고요...

부서지는파도처럼님의 댓글

작성일 04.23 14:14
요즘도 소니 카메라+렌즈로 사진 찍으면 특유의 색수차가 나타나나요?
예전보단 덜하겠지만.. 빛의 노출이 강한? 부분을 찍으면 하얀 빛 옆으로 보라색 색수차가 나타나곤 했는데요.
해당 현상이 발생한 사진들을 보면 높은 확률로 소니였던.. ^^;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DRJang
작성일 04.23 14:20
@부서지는파도처럼님에게 답글 그게 아직 기술이 미완이던 시절 소니가 렌즈 소형화/경량화를 하는 과정에서 희생된 결과물로 튀어나온거라 지금은 그정도로 심각하지는 않죠.

부서지는파도처럼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부서지는파도처럼
작성일 04.23 14:40
@DRJang님에게 답글 후보정으로 색수차를 없애는 방법이 공유되곤 했는데.. 생각해보니 아주 옛날(?) 얘기군요ㄷㄷ;

다크곰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다크곰
작성일 04.23 14:25
@부서지는파도처럼님에게 답글 색수차 없어요.

부서지는파도처럼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부서지는파도처럼
작성일 04.23 14:40
@다크곰님에게 답글 나름의 느낌?도 괜찮았다고 생각했는데요. 곰곰히 생각해보니 20년은 된 기억인 것 같아요ㄷㄷㄷ;

휘소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휘소
작성일 04.23 14:22
라이카 렌즈 보다가 저거 보면 싸보이긴 합니다(?)
ㄷㄷㄷㄷㄷㄷ
1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DRJang
작성일 04.23 14:34
@휘소님에게 답글 그건 사실이죠...

나르는곰돌이2님의 댓글

작성일 04.23 14:25
카메라 많이 가지고도 놀고, 아직도 여러대 컬렉션 하고 있지만,

상업용도가 아닌, 취미용 카메라는 결국 시장이 유지되지 않습니다.
소니의 분투는 이해하지만, 이것도 금융 및 게임기 사업등이 뒷받침 하기 때문이고,
이건, 캐니소가 다 마찬가지... 

니콘 렌즈 들고 우쭐할 때도 있었는데 (이제 독일렌즈는 아니라는 둥), 산업용/군사용/우주용 등
돈 주고 살 수 없는 렌즈까지 범위를 넓히면... 정점 소리는 못하겠더라고요.

노선이 분명하지 않으면, 안하느니 못한 컬렉션이 됩니다.

일리어스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일리어스
작성일 04.23 15:00
@나르는곰돌이2님에게 답글 소니는 실제로 잘 나가지 않아요?

소니 사업부에서  매출 3위(게임1위, 엔터2위, 3위 이미징센서)
영업이익 3위 (게임1위, 음악2위, 3위 이미징센서)

금융은 매출, 순익 모두 꼴찌인데요

앗 카메라 사업부는 엔터테먼트쪽이라서 3위가 아니라 2위네요. 영업이익은 4위구요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DRJang
작성일 04.23 15:26
@나르는곰돌이2님에게 답글 오히려 취미용 카메라라고 부를만한 라인업이 부실한 곳이 소니입니다.
니콘 ZF처럼(이것도 분류는 전문가용이지만..) 갬성에 좀더 집중하거나 혹은 디자인에 몰빵한 그런 라인업이 과거 소니에는 있었지만 지금은 없죠.
그러니까 소니가 가는 방향성과 노선은 전문가 용도에 맞게 만들면 알아서 취미로 사는 분들도 따라온다에 가깝고, 찐 취미 용이라 할만한 라입업은 옆그레이드만 하고 있죠.
소니가 카메라 사업에 분투하는 것은 금융이나 게임기 사업등이 뒷받침 하는 것보다도 영화와 방송용 시장에서 상당한 지분을 차지하고 있는게 더 크고요.
소위 미디어 부분에서 센서 제조부터 영화 제작까지 수직계열화를 구축한거죠..
여튼 지금 캐논/소니/니콘의 방향성이나 노선은 다 분명합니다.
전무가용에만 집중해도 취미로 쓰는 사람들도 자연스럽게 커버가 된다죠.

새로운건없어님의 댓글

작성일 04.23 14:46
이러니저러니 해도 시장이 축소되는 와중에도 신제품을 꾸준히 내주는 것에 무척 감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글로벌셔터 알파7 신제품은 언제쯤 만들어주실런지...

아트루팡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아트루팡
작성일 04.23 15:48
G GM 렌즈가 좋긴 한데... 특유의 비네팅 색수차등 문제도 계속 있긴 하죠 그래도 소니 만한거 없다고 봅니다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