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디스크 저장용량리밋?
페이지 정보
작성자
마이클잭슨

작성일
2024.06.26 21:46
본문
사용중인 WD 18tb 외장하드 남은 용량이 10%이내로 되자 쓰기 속도가 현저하게 느려진 느낌입니다.
(읽기속도는 테스트 못해봤습니다)
어느정도 저장공간을 남기는게 최적의 퍼포먼스를 내는걸까요?
0명
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13
/ 1 페이지
마이클잭슨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2024.06.26 22:04
@pikeno님에게 답글
조언 감사합니다. 속도가 현저히 느려지던데.. 갈아타야될 때가 되었네요
따끈따끈님의 댓글
작성자
따끈따끈

작성일
2024.06.27 00:54
디스크 조각모음(defrag) 돌리면 좀 나아지긴 할 텐데, 18TB라는 대용량 HDD의 수명을 생각하면 그냥 일정량 비워두는게 나을거 같기도 합니다.
단, SMR 방식의 HDD라면 절대로 defrag 돌리면 안됩니다!!
단, SMR 방식의 HDD라면 절대로 defrag 돌리면 안됩니다!!
따끈따끈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2024.06.27 17:15
@재선님에게 답글
defrag는 읽기와 덮어쓰기의 반복 작업입니다.
HDD의 쓰기헤드는 읽기헤드보다 더 큽니다.
- PMR(CMR)의 경우 쓰기헤드의 폭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필요한 부분만 딱 덮어쓰면 끝납니다.
- SMR은 데이터를 읽기헤드 크기만큼만 남기고 겹쳐 기록해서 공간을 절약하지만, 특정 부분을 덮어쓸 때 HDD 내부에서는 난리가 납니다.
1. 덮어씌워질 공간의 지워져서는 안 되는 기존 데이터를 읽어와서 버퍼 메모리로 대피시킨다.
2. 덮어쓸 데이터와 대피시킨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건 아주 단순화한 설명입니다. 기록순서가 존재해서 실제로는 더 복잡합니다.)
즉 SMR HDD에서 defrag를 돌리면... 으음... 자세한 이야기는 생략하겠습니다.
참고로 위와 같은 덮어쓰기의 문제로 SMR HDD는 일반적으로 버퍼 메모리가 PMR HDD에 비해 큽니다. (512/256MB vs. 32/64MB)
..만 메모리 가격이 싸져서인지 요즘 PMR HDD도 버퍼가 꽤 크게 나오는거 같네요.
HDD의 쓰기헤드는 읽기헤드보다 더 큽니다.
- PMR(CMR)의 경우 쓰기헤드의 폭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필요한 부분만 딱 덮어쓰면 끝납니다.
- SMR은 데이터를 읽기헤드 크기만큼만 남기고 겹쳐 기록해서 공간을 절약하지만, 특정 부분을 덮어쓸 때 HDD 내부에서는 난리가 납니다.
1. 덮어씌워질 공간의 지워져서는 안 되는 기존 데이터를 읽어와서 버퍼 메모리로 대피시킨다.
2. 덮어쓸 데이터와 대피시킨 데이터를 기록한다.
(이건 아주 단순화한 설명입니다. 기록순서가 존재해서 실제로는 더 복잡합니다.)
즉 SMR HDD에서 defrag를 돌리면... 으음... 자세한 이야기는 생략하겠습니다.
참고로 위와 같은 덮어쓰기의 문제로 SMR HDD는 일반적으로 버퍼 메모리가 PMR HDD에 비해 큽니다. (512/256MB vs. 32/64MB)
..만 메모리 가격이 싸져서인지 요즘 PMR HDD도 버퍼가 꽤 크게 나오는거 같네요.
재선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2024.06.28 00:04
@따끈따끈님에게 답글
답변 감사합니다. 이상하게 조각모음하면 에러나는 영상이 생기더라구요. 뭔가 기술적으로 문제가 있거나 제 컴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을 꺼 같습니다.
pikeno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2024.06.27 23:58
@재선님에게 답글
아래님이 잘 작성 해주셨는대.
+@로 데이터 손실이 일어나는 경우도 가끔있고
+@@ 속도저하가 심각합니다.(smr 하드 8테라가 순차쓰기로 하면 그래도 어느정도 200MB/s 근방 나오긴하나. 아래처럼 읽기 덮어쓰기 작업을 하는경우 1MB/s까지 떨어지기도 합니다.)
+@로 데이터 손실이 일어나는 경우도 가끔있고
+@@ 속도저하가 심각합니다.(smr 하드 8테라가 순차쓰기로 하면 그래도 어느정도 200MB/s 근방 나오긴하나. 아래처럼 읽기 덮어쓰기 작업을 하는경우 1MB/s까지 떨어지기도 합니다.)
재선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2024.06.28 00:06
@pikeno님에게 답글
특히 영상자료가 에러가 많은거 같습니다. 어렵게 구한 밴드 라이브나 그녀들 영상이 많이 날아같습니다. ㅎㅎ
따끈따끈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2024.06.28 00:31
@재선님에게 답글
에러 발생은 다양한 요인(디스크에서 읽고 쓸 때 비트변화, 도선상 데이터 전송 중에 CRC 체크를 회피하는 동시다발적 비트변화, 버퍼 메모리 내 비트변화 등등...)이 조합된 확률이 작용하므로 큰 데이터를 다룰수록 확률이 누적되어 실제로 깨지는 녀석이 나오는건 당연합니다.
제 경우 1주일에 2TB씩 나오는 주행영상을 다루다 보니, 복사를 하면 할 수록 에러율이 높아지는게 체감되더군요.
현 시점에서는 복사 후 1:1 검사를 수행해서 에러를 방어하고 있지만, 에러 발생 확률을 낮출 수 있는 쉬운 방법 중 하나인 ECC-REG 램 쓰는 시스템 도입을 진지하게 고민중입니다.
아래는 테이프에 백업한 파일에 대해 1:1 검사를 수행중인 모습입니다. (방금 스샷 찍음)
제 경우 1주일에 2TB씩 나오는 주행영상을 다루다 보니, 복사를 하면 할 수록 에러율이 높아지는게 체감되더군요.
현 시점에서는 복사 후 1:1 검사를 수행해서 에러를 방어하고 있지만, 에러 발생 확률을 낮출 수 있는 쉬운 방법 중 하나인 ECC-REG 램 쓰는 시스템 도입을 진지하게 고민중입니다.
아래는 테이프에 백업한 파일에 대해 1:1 검사를 수행중인 모습입니다. (방금 스샷 찍음)

pikeno님의 댓글
보통 디스크 파편화를 방지하기 위해 10~15%정도 남기는게 보통이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