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AHCI/RAID만 지원하는 데스크탑에 PCI 어뎁터를 통해 SSD 인식 및 부팅 시키기 문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
블랙이

작성일
2025.04.11 09:22
본문
안녕하세요?
제가 좀 오래된 데스크탑 PC을 Linux 환경에서 활용하고자, SSD를 PCI어뎁터 통해서 일반적인 디스크로는 인식 시키는데 성공햇습니다.
그런데, 이 SSD를 부팅하게 하여 좀 더 빠르게 부팅 및 리눅스 OS환경을 만들고 싶은데,
제 데스크탑 PC은 IDE/AHCI/RAID만 지원하네요.
그래서 부팅 디스크로 잡히게 하려면 어떤 방법이 있는지요?
불가능한 것인가요?
1명
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8
블랙이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11 11:54
@이것저것님에게 답글
부팅 메뉴에서는 인식이 되질 않아서, 힌트 주신 내용 보고, PCI카드 슬롯을 통해서 전원 공급을 받지만, SATA용 케이블이 별도로 제공되어,,, 해당 케이블 소켓 남는 곳에 연결하면 될 것 같아 아마존에서 구매하였습니다. 토요일 오니까 다시 시도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www.amazon.com/dp/B09YLY39V8?ref=ppx_yo2ov_dt_b_fed_asin_title (제휴)
https://www.amazon.com/dp/B09YLY39V8?ref=ppx_yo2ov_dt_b_fed_asin_title (제휴)
흔남님의 댓글
작성자
흔남

작성일
04.11 10:07
단순무식하게 접근해보면...
부팅 지원되는 소용량 디스크나 usb메모리에 부트로더를 설치하고, 다음 연결점을 원하시는 pci 어댑터 ssd로 설정하면 될 것 같습니다.
리눅스 처음 접할 때 윈도우랑 듀얼부팅 많이들 하잖아요? 같은 개념입니다.
부팅 지원되는 소용량 디스크나 usb메모리에 부트로더를 설치하고, 다음 연결점을 원하시는 pci 어댑터 ssd로 설정하면 될 것 같습니다.
리눅스 처음 접할 때 윈도우랑 듀얼부팅 많이들 하잖아요? 같은 개념입니다.
블랙이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11 11:59
@흔남님에게 답글
그러게요. 10년 전만 해도 이래저래 잘 이해하고 따라 했는데, 그 사이에 SATA니 M.2 등이 소개될 때 쯤에는 관심을 가지지 않아서,,, 이번에 좀 다시 하려다 보니, 한번에 제대로 접근을 못하고 있네요. 감사합니다.
rustacean님의 댓글
작성자
rustacean

작성일
04.11 10:47
HDD 저렴한거 하나 달고 부트로더만 거기에 설치해서 운영체제 자체는 SSD에 두는 식으로 하셔도 될것 같습니다.
수정: 그리고 혹시 사용하시는 리눅스 배포판이 어떻게 되시나요?
수정: 그리고 혹시 사용하시는 리눅스 배포판이 어떻게 되시나요?
블랙이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11 11:51
@rustacean님에게 답글
리눅스민트 최신 버젼 64비트용입니다. 이런 접근도 가능하군요. 하나 배워 갑니다. 감사합니다.
신사아님당님의 댓글
작성자
신사아님당

작성일
04.11 23:51
<UEFITOOL NVME 드라이버 추가> 라는 키워드로 구글링 해보시면, 바이오스(펌웨어)를 추출해서 거기에 nvme 드라이버를 심는 방법을 다룬 글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단, 메인보드가 벽돌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롬라이터로 백업을 해둘 필요가 있겠습니다.
<바이오스 백업 롬라이터> 키워드로 검색해 보시면 CH341A라던가 RT809F 등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위험할 수 있는 작업을 원치 않으신다면... (바로 위에 rustacean님께서 말씀하신 것 처럼)
해킨토시, 윈도우 같은 경우 clover bootloader 같은 부트로더를 USB등에 설치하면서 nvme드라이버를 추가해 놓으면, USB부팅하면서 부트로더를 경유해서 메인OS로 부팅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고..
리눅스만 사용하시는 경우 루트파티션은 nvme에 설치하고 /boot 파티션만 별도 USB에 설치하셔서 USB부팅을 시키는 방법으로... 부팅 시작하는 부분만 우회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스 백업 롬라이터> 키워드로 검색해 보시면 CH341A라던가 RT809F 등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위험할 수 있는 작업을 원치 않으신다면... (바로 위에 rustacean님께서 말씀하신 것 처럼)
해킨토시, 윈도우 같은 경우 clover bootloader 같은 부트로더를 USB등에 설치하면서 nvme드라이버를 추가해 놓으면, USB부팅하면서 부트로더를 경유해서 메인OS로 부팅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고..
리눅스만 사용하시는 경우 루트파티션은 nvme에 설치하고 /boot 파티션만 별도 USB에 설치하셔서 USB부팅을 시키는 방법으로... 부팅 시작하는 부분만 우회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블랙이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12 05:26
@신사아님당님에게 답글
와우. 나중에 한 번 들여다 보겠습니다. 일단 어뎁터를 구매하였습니다. 그걸로 되면 위험을 감수하지는 않겠지만, 좋은 정보네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이것저것님의 댓글
보드에 SATA (AHCI & RAID ) 가 지원되는 듯한데 따로 PCI 아답터를 쓰신거 보면...
정보가 없으니 모든 하드웨어가 가능한 상태로 가정해 보면..
BIOS단에서 부팅 장치 관련 항목에서 CD-ROM 이나 USB 장치등등 선택란쪽에 보면 추가 카드 항목 비스므리한게
있을겁니다. 그걸 선택하면 PCI 카드에 연결된 장치들중 선택 가능할껀데..
PCI 카드도 롬(펌웨어)이 있어야만 됩니다. 롬이 없는 단순 확장카드는 지원 안될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