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

가정용 아파트 단열필름 시공 최적 농도?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체리피커 58.♡.151.61
작성일 2024.05.22 13:50
분류 생활용품
4,257 조회
23 댓글
15 추천
글쓰기

본문

어두운 필름이 성능이 좋다?


  자동차 틴팅처럼 진하고 어두운 농도의 필름이 성능이 좋을까요? 아니오. 그렇지 않습니다. 어둡거나 밝거나 아파트 단열필름의 성능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성능이란 태양열을 차단하는 열차단 단열 효과를 말하는데요, 단열필름 시공을 했을 때 얼마나 실내가 시원해지느냐를 나타내는 수치를 살펴보면...

  밝은 필름의 열차단율(IRR)이 95%, 총태양에너지차단율(TSER)이 54%로, 어두운 필름의 열차단율(IRR) 50%, 총태양에너지차단율(TSER) 50%보다 오히려 차단율이 높습니다. 즉, 열차단 성능은 농도와 관계가 없다는 뜻이지요. 밝으면서 고성능인 제품이 있고, 어두우면서도 저성능인 제품도 있습니다. (반대도 있어요)



전망과 채광의 필요성


  자동차 틴팅이나 상업용 사무실은 사실 진하고 어둡게 틴팅을 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가정용 아파트 단열필름은 되도록 밝은 제품을 권장드리는데요, 왜냐하면 일상 생활에 필요한 적절한 채광과 전망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루 종일 어두컴컴한 장소에서 살고 싶으신 분은 아마 없으시겠지요?

  가정에서는 빛이 충분히 실내로 들어와서 집안의 채광이 확보되는 것이 중요하고, 또 탁 트인 전망을 감상할 수 있도록 충분히 빛이 통과되는 필름이 좋습니다. 아무리 성능이 좋다고 하더라도 창문의 고유 기능은 훼손되지 않아야 합니다.



가정용 단열필름 시공 최적 농도는?


  농도가 밝으면서도 고성능의 열차단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면, 굳이 어두운 농도를 선택할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나라 환경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농도(VLT: Visible Light Transmitted)는 50% 인데요, 유리에 부착하면 자연스러우면서도 적당하게 빛을 통과시켜 전망과 채광이 충분히 확보됩니다.


  눈부심은 적절히 차단되는데 전망은 선명하고 편안하게 보이며, 살짝 한 톤 정도만 낮아져서 붕 뜬 느낌에서 차분한 느낌으로 변하게 됩니다. 이중창을 열었을 때 유리가 겹치면 아주 살짝 진해지는 딱 그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파트 단열필름 최근 동향


  아주 오래전에는 누가 봐도 티가 나는 원색의 필름(Gold, Bronze, Blue, Green)를 시공 하였습니다. 그러다가 거울처럼 반사가 심한 반짝거리는 제품이 한 때 유행했었고요, 어둡고 진한 필름으로 변했다가 요즘에는 점점 자연스럽고 밝은 농도를 선호하게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부착했는지 안했는지 구분도 안가는 거의 투명한(VLT 85%, 89%) 필름도 많이 찾으십니다.


"이상 건물용 윈도우필름 전문 틴터 올필름 이었습니다." 

    건물용 윈도우필름 전문 틴터 올필름 All Film, All about architectural window films tinting

댓글 23

metalkid님의 댓글

작성자 metalkid (14.♡.240.124)
작성일 06.16 13:26
해외인데 요걸 보고 혹 하네요. 현지에 시공하는 업체들 제품들은 성능이 어떨지 염려도 되면서...

올필름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체리피커 (211.♡.192.170)
작성일 06.16 16:43
@metalkid님에게 답글 해외 어디신지 모르겠지만 필름만 제대로 선택하시면 충분한 효과가 발생합니다. IRR(열적외선차단율) 80% 이상, TSER(총태양에너지차단율) 50% 이상으로 선택하세요. ^^

metalkid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metalkid (14.♡.240.124)
작성일 06.16 16:44
@올필름님에게 답글 베트남입니다. 말씀 고맙습니다. 국내 같으면 의뢰 드렸을텐데 아쉽네요. 
자외선 차단이 주목적이지만 햇빛에 의한 물건들 변색 방지에 도움도 따라오니 혹 합니다.
대박 나세요.

올필름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체리피커 (58.♡.151.61)
작성일 06.16 17:01
@metalkid님에게 답글 자외선 차단은 아무거나 쓰셔도 됩니다. 보통 UV코팅이 되어 있어 99%이상 차단됩니다. 감사합니다.

스위스쵸코님의 댓글

작성자 스위스쵸코 (211.♡.120.164)
작성일 06.16 17:20
유일한 단점이 있는데, 필름 설치후 집에 식물이 잘 안자라게 되더군요. 자외선을 다 막은거 같아요 ㅎㅎ
@swchoco

올필름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체리피커 (58.♡.151.61)
작성일 06.16 18:09
@스위스쵸코님에게 답글 혹시 가시광선을 자외선으로 착각하신거 아닌가요? 자외선은 영향이 없고요, 가시광선이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데요, 어두운 필름을 하시면 가시광선이 약하게 들어올 수 있어요. 그래서 되도록 빛이충분히 들어오는 밝은 필름(VLT 50%)을 추천드립니다.

스위스쵸코님의 댓글

작성자 스위스쵸코 (211.♡.120.164)
작성일 06.17 00:48
제 댓글이 논란을 유도하는의도는 아니었는데, 가시광선 자외선 모두다 식물에 영향을 미칩니다.
영향을 보자면 식물에게는 자외선이 가시광선보다 더 중요한 요소인거 같습니다.

올필름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체리피커 (211.♡.188.14)
작성일 06.17 06:07
@스위스쵸코님에게 답글 남기신 본문을 보면 자외선이 식물에 오일(?)을 만들어 준다는군요? 이게 맞다고 가정하더라도…

1) 자외선이 과일의 맛과 향에 영향을 미친다. -> 집에서 과수원이나 농사를 짓지는 않지요. 실내 작물은 큰 영향이 없습니다.

2) 자외선 차단제 역할을 하는 오일을 만들어 준다(?) -> 필름이 99% 이상 차단하여 차단제가 필요 없습니다.

필름 부착한 저희집에서 키우는 실내 화분은 잘만 자라는데 참 이상합니다. 고객님들(온실, 식물원)도 식물이 죽었다는 이야기는 못들어 봤고요.

어둡고 빛이 안들어 오는 곳에 화분을 놓으면 시들해지고 죽기는 하겠지만 밝은 곳에 두면 광합성이 되어서 생육에는 큰 지장이 없었습니다.

가시광선은 광합성에 필수이지만, 자외선은 식물에 오히려 안좋은 영향도 준답니다. (세포손상, 광합성저하, 생장억제)

혹시 너무 짙은 필름을 부착하셔서 가시광선이 적게 들어온 것이 아닌지 한번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무슨 글을 쓸까 컨텐츠가 없었는데 좋은 소재를 주셨네요. 제가 틀렸을 수도 있으니 저도 깊이 연구해보겠습니다.

비드키드님의 댓글

작성자 비드키드 (106.♡.130.129)
작성일 06.17 08:53
겨울철 난방에도 효과가있나요?

올필름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체리피커 (211.♡.188.222)
작성일 06.17 13:00
@비드키드님에게 답글 여름철에는 피부로 느낄 정도로 효과를 바로 느낄 수 있지만 겨울에는 비슷합니다.

동물원님의 댓글

작성자 동물원 (106.♡.131.25)
작성일 06.17 09:07
주상복합이라 외부 테라스나 공간이 없는 그냥 커튼월인데도 시공이 가능할까요?

올필름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체리피커 (211.♡.188.222)
작성일 06.17 13:02
@동물원님에게 답글 많이 시공하십니다. 커튼월 방식은 창문이 크고 넓어서 태양열 유입이 일반 아파트에 비해 많습니다. 더 덥다는 이야기죠. 이미 많은 분들이 시공하시고 계십니다.

떼레레님의 댓글

작성자 떼레레 (186.♡.237.7)
작성일 06.17 09:25
혹시 외부에서보면 반사되서 내부가 잘안보이는 기능도 포함되어 있을까요?

올필름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체리피커 (211.♡.188.222)
작성일 06.17 13:03
@떼레레님에게 답글 반사율이 높은 필름이 따로 있습니다. Premier 20을 시공하시면 외부시선차단이 되어서 사생활보호에 효과적입니다.

phillip님의 댓글

작성자 phillip (39.♡.21.127)
작성일 06.17 16:21
수명이 얼마나 되나요?

올필름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체리피커 (58.♡.151.61)
작성일 06.17 16:25
@phillip님에게 답글 보통 10년 정도 사용합니다. 환경에 따라서 더 오래 사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AKANAD님의 댓글

작성자 AKANAD (118.♡.5.16)
작성일 06.17 18:33
리플 달까 말까 고민했는데 합리적인 소비를 위해서는 다는게 맞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런 종류의 필름은 논란이 좀 있습니다. "한국페시브건축협회(피코네)"에서 몇년 전에 이 주제를 다룬적이 있었는데 유튜브에 찾아보시면 어렵지 않게 보실 수 있을겁니다. 어려운 얘기가 아니니 제품 구매를 고려하는 분들은 검토하실때 참고를 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올필름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체리피커 (58.♡.151.61)
작성일 06.17 18:40
@AKANAD님에게 답글 오래 전부터 알고 있는 내용입니다. 여름철에는 이론이 없지만,
특히 겨울철에 효과가 있다 없다로 논란이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덧글 감사합니다.

AKANAD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AKANAD (118.♡.5.16)
작성일 06.17 19:30
@올필름님에게 답글 네, 저 필름이 복사에너지를 막는 것이니 여름에 시원해질 수도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필름이 일관적으로 동작한다면 태양 복사에너지를 막는 메커니즘이 겨울에도 작동을 하겠고요. 다시 말해 겨울에는 집에 난방효과를 주는 태양에너지를 막는 방향으로 동작을 하게 되겠지요.

그 효과는 난방부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나타날거고요. 즉, 같은 온도를 유지하려면 난방비가 더 든다가 되는 것이겠고요. 우리나라 일반적인 거주용 주택의 연중 냉난방비 중 난방비의 비중이 더 크니 더하고 빼면 손해가 더 클 수 있다는 것이겠지요.

돌마루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돌마루 (101.♡.59.99)
작성일 06.18 07:59
@AKANAD님에게 답글 겨울엔 뾱뾱이가 좋더라구요 ㅎㅎ

올필름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체리피커 (211.♡.188.128)
작성일 06.18 11:17
@돌마루님에게 답글 필름 부착해도 얼어죽을 만큼 다 차단하는건 아니고 과도한 태양열 에너지를 50% 정도 차단합니다. 다만 겨울철에는 일시량이 줄어들어서 큰 차이가 없다 뿐이죠. 뽁뽁이도 작은 공기층이 단열을 해줘서 효과가 있습니다. 열차단필름은 겨울철 보다는 여름철에 방점이 찍혀 있어요.

faust21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faust21 (202.♡.125.111)
작성일 어제 13:21
저층(6층이하) 에서 내부(개인생활) 보안 적인 이유로 해도 효과가 있을까요?

체리피커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체리피커 (58.♡.151.61)
작성일 어제 13:33
@faust21님에게 답글 물론 여러 환경적 요소(창문 자체 농도, 건물 간 거리, 높이)를 고려해서 최적 농도를 찾습니다. 사생활보호를 위해서는 보통 20%~35% 농도의 필름을 시공합니다. 이 경우 자동차 썬팅처럼 외부에서 실내가 들여다 보이지 않습니다.

https://m.blog.naver.com/skwindowfilm/223114424111
글쓰기
앙님들 사랑합니다. ❤️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