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모앙 커뮤니티 운영 규칙을 확인하세요.
X

썬팅 (틴팅) 성능 관련해서 알아본 내용 공유합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하이강정
작성일 2025.04.12 23:13
2,065 조회
27 추천

본문

이번에 주니퍼 모델 주문하면서, 거의 10년? 만에 썬팅 필름을 좀 알아봤습니다.

요즘은 틴팅이라고 많이 부르더라구요. ㅎㅎ 

아무튼 2023년 소비자 보호원에서 썬팅 성능 관련해서 발표한 자료가 기억이나 그 자료를 보다가 보니 제가 잘못 알고 있었던 부분도 있고, 이래저래 궁금한 사항들이 있어 알아본 내용 정리하여 공유 합니다. 기록차원에서.


1. 썬팅 원리

 1.1 빛의 파장 별 영향

 - 가시광선: 눈부심과 연관 

 - 적외선: 온도 상승과 연관

 - 자외선: 피부와 연관 

 1.2 주요 파라메터

 - IRR: 적외선 차단율, 열 에너지를 전달하는 파장으로 필름 제조사에서도 적외선 스펙트럼 별 차단율을 자료로 홍보함

 - TSER: 총에너지 차단율, 일부 파장이 아닌 전체 파장에 대한 총 에너지 차단율로 온도 상승 억제 성능에 대한 종합 지수


2. 소비자 보호원 결과 자료

 2.1 종합 평가표 


2.2 해석 

 - 브랜드 무시하고 전체 에너지 차단율(TSER)만 보면,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을 수록(즉, 밝은 필름) TSER이 낮아짐.

 - 시야 확보를 위해 가시광선만 선택적으로 투과하고, 적외선과 자외선은 차단하는 건 어려운 기술 같음.

 - 추가로 가시광선 투과율을 70%이상 제품을 생산하는 곳은 고가 브랜드에만 있음.(이게 기술력인듯 함)

 - 저는 전면 유리는 70%이상 제품으로 고려하고 있어, 브이쿨, 3M, 버텍스만 알아봤음. (후퍼옵티 경우, 테슬라 카페에서 백화현상인가? 뭔가 이슈가 있어 제외함)

 - 주석4에 보면, 테스트 시 필름을 부착시킨 유리의 두께가 나오는데 이게 중요함. 소비자보호원에서는 열악한 조건인 3mm에서 테스트 함.(온도 상승이 더 많이 됨). 제조사 스팩에서는 6mm로 하는 경우도 있어 사양 비교 시, 테스트 조건을 고려해야 함. 


3. 업체 별 성능 

3.1 브이쿨 제품: 당당하게 테스트 유리도 3mm 명시, 성능도 소비자 보호원과 동일함. 성능 다 좋음.

단, 가격이 넘사임. 주니퍼 글라스루프 포함 340만원 정도.. 바로 포기.


3.2 3M 제품:  TSER 수치도 소비자보호원 성능과 동일.단, 테스트 시, 사용 된 유리의 두께가 소비자 보호원(3mm), 3M Spec(6mm)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성능은 동일하게 나옴.

- 원인: 적외선의 파장 별 열에너지 밀도를 알아보니,  750~1250nm 구간에서 가장 높음. 3M 경우, 해당 구간의 차단율이 다른 브랜드(하버캠프) 보다 높음. 즉, 성능이 더 좋은 것으로 보임. 

- 타 브랜드에서는 3M 처럼 일부 구간에 대한 성능만 안내하는 것을 부정적으로 설명하지만, 특정 파장의(750~1250nm) 경우, 열에너지가 집중 된 파장영역으로 오히려 더 세부적인 데이터로 보임. 


- 파장 별 에너지 밀도 그래프(상온 기준)



3.3 하버캠프 제품: 버텍스 알아보다가 성능도 떨어지는데 왜 알아보고 있나 싶어서, 제외하였음. 그런데 하버캠프가 최근 인터넷 통해서 들어본 업체인데 성능이 좋다하여 검색해보니 독일 생산 필름이고 몇몇 분들이 추천해줘서 알아봄.

한국 홈피에 데이타 시트가 좀 부족해서, 독일 공홈에 문의해서 받은 데이터 시트임.

보면 70%밝기 기준  TSER 수치가 58로 브이쿨 보다 높음.  다만 테스트 유리 두께가 언급이 없어, 독일 공홈에 문의함.

테스트에 사용 된 유리 두께가 언급 된 부분을 스샷으로 받음.(3mm 사용 됨)


- 성능: TSER 수치가 타사와 비교 시, 가장 높음. 다만 너무 아쉬운 점 23년 소비자보호원 검사에 제외되어 있음. ㅠㅠ

- 또한 공홈에서 적외선 파장에 대한 차단율 그래프를 보면, 열에너지 밀도가 가장 높은 750~1250nm 부분의 차단율이 낮음. 92%정도. 3M보다 낮은 수치임. 물론 TSER이 종합적인 수치이긴하나.. 조금 아쉽긴함.


4. 결론: 주니퍼 전면 70%, 측후면 40~50%, 글라스루프 70% 수준 기준

 - 브이쿨: 성능은 좋고, 검증도 되었으나 가격이 너무 비쌈. 340만원

 - 3M: 성능도 좋고, 특히 데이터 시트와 소비자보호원의 검증 치수가 동일하여 신뢰도 감. 가격은 130~150만원 

 - 하버캠프: 수치상 TSER 성능이 가장 높음. 다만 소비자보호원 테스트에서 제외됨. 뻥수치인지 모르겠음. 가격도 130~150만원대

 - 버텍스: 소비자보호원 성능에서 좀 떨어져서 제외. 

브이쿨은 예산초과로 아웃이고..검증 된 3M이냐, 숫자놀이의 하버캠프냐..

*뭔가 독일 생산과 독일 본사에서 투명하게 자료 제공하는 모습을 보면, 왠지 TSER 58수치에 대한 신뢰가 가기도ㅜ하고.. 아직 출고 일정이 정해지지 않아 고민 중이나... 3M과 하버캠프 중 싼놈으로 갈 것 같습니다. 열심히 전화 돌리고 있는 중 입니다.


5. 추가 사항

5.1 저처럼 70%이상 필름을 찾는분들이 아니면 40~50%만 가더라도 레이노가 진짜 가성비 찐인듯 함. 성능까지 검증되었으니, 선택안할 이유가 없는 듯.

5.2 하버캠프 한국 본사 상담 수준:  독일 공홈에서 제공해준 데이터를 처음에는 한국 본사에 물어봤으나, 담당 여직원분은 엉뚱한 대답과 공개 불가하다는 답변을 함. ㅋㅋ 제품에 대한 세부 사양을 알려달라는 건데 그것도 자신이 없는지.. 너무 실망했으나.. 왠지 유통 구조상 한국은 대리점은 단순 자재 공급만 하는 구조인 것 같아.. 본사에 혹시나 하고 물어보니, 상세히 공개해줬음.

5.3 선팅 농도와 온도 상승에 대한 잘못 된 설명.

글라스루프를 통한 개방감을 유지하기 위해 밝은 농도의 70% 필름을 알아본다고 하니...

일부 선팅샾에서는 차라리 선쉐이드가 더 낫다고 설명함.

사실 선쉐이드는 가시광선만 차단하여 눈부심 효과 방지에만 있지, 실질적인 열 에너지는 적외선 차단이 필요한 부분이라, 차현막 처럼 차량 외부에 선쉐이드를 설치하면 몰라도, 차량 내부에 선쉐이드를 설치한 경우, 적외선은 이미 차량 내부로 들어온 상태라 온도 상승 효과를 줄이는 효과는 없을텐데 말이죠. 만약 반사판이면 그나마 효과가 있을 수 있겠네요.

5.4 소비자보호원 테스트 결과는 첨부 참고.

27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41

우리요다이티님의 댓글

작성일 04.12 23:22
브이쿨 k 정도 전체 시공시 100밑이었던거 같은데 360이용?! ㄷㄷ(모델Y는 아니고 중대형 세단)

하이강정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하이강정
작성일 04.12 23:26
@우리요다이티님에게 답글 소비자보호원 결과보고서에서 테스트 된 모델은 VK70 인데, 그게 가장 고가라인이더라구요. 그거 기준으로 루프글라스까지 포함 금액입니다.

우리요다이티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우리요다이티
작성일 04.12 23:31
@하이강정님에게 답글 ㄷㄷㄷㄷ.....K급만 되도 충분히 좋았는데 더 높은게 있군용....ㅎㄷㄷ

하이강정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하이강정
작성일 04.12 23:36
@우리요다이티님에게 답글 https://v-kool.co.kr/15/제품소개

공홈보면, 70% 고사양은 VK와 X 시리즈부터 있더라구요.
K시리즈에는 43%가 최대네용.

우리요다이티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우리요다이티
작성일 04.12 23:38
@하이강정님에게 답글 그렇네용...담엔 앞에만 70있는 VK나 X로 하고 나머진 K로 둘러야겠군용....워어 정보 감사합니다

하이강정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하이강정
작성일 04.12 23:43
@우리요다이티님에게 답글 네! 다만 VK가 너무 비싸서..ㅠㅠ
그리고 K시리즈(투과율 40~50%)를 고려하시면, 다른 가성비 필름과 비교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 정도 투과율에서는 선택지가 훨씬 넓어지더라구요.

6K2KNI님의 댓글

작성자 6K2KNI
작성일 04.12 23:59
3M 크리스탈라인만한게 없습니다.

구구구비둘기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구구구비둘기
작성일 04.13 12:28
@6K2KNI님에게 답글 요즈음 90까지 서울에서 찾을 수 있었습니다.

크렙스님의 댓글

작성자 크렙스
작성일 04.13 00:16
밝은 필름이 일부 고급라인에만 있던거는 수요가 딸리다 보니 굳이 저가모델을 들이밀 이유가 없었기 때문이었죠.

어린이집 차량 썬팅규제 도입된 이후에는 찾아보면 가성비 필름으로도 밝게 썬팅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에 일본 여행 갔다오면서 떼었던 1열 선팅 80퍼센트 필름으로 재시공 하는데 애니가드걸로 7만원 주고 끝냈습니다.

하이강정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하이강정
작성일 04.13 01:52
@크렙스님에게 답글 밝은 필름을 만들순 있어도, 열 차단율까지 겸비한 제품은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게다가 그렇게 둘다 잡은 제품에 가격까지 저렴하기는..더욱 어려울 것 같습니다.

애니가드 경우 가시광선 투과율(밝기)가 37% 이하 제품만 판매하는 것 같습니다.
https://www.anygard.co.kr/www/content/1552985727548112

크렙스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크렙스
작성일 04.13 02:29
@하이강정님에게 답글 AP8080이 어린이 차량용으로 나와서 홈페이지에도 없고 보증서 요구하면 블랙8로 나온다죠...[먼산]

팜3님의 댓글

작성자 팜3
작성일 04.13 00:17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더불어 테슬라 시공 많이 해본 샵으로 하시는걸 추천드려요
테슬라 글래스루프나 프레임리스 도어 등 난이도도 좀 있고
대시보드 실링도 안하고.. 허술하게 시공하는 삽도 많아서
고장 유발이 되기도 하더라구요

하이강정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하이강정
작성일 04.13 01:58
@팜3님에게 답글 그런건 어떻게 검증해야하나여??… ㅜㅜ

팜3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팜3
작성일 04.13 07:02
@하이강정님에게 답글 시공사진 보시고 이렇게 시공하는 샵 추천드려요

하이강정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하이강정
작성일 04.13 09:09
@팜3님에게 답글 정보 감사합니다! 실내를 아예 다 감싸야하는군요!!! 업체 선정 전에 작업사진 한번 요청해 보겠습니다!

팜3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팜3
작성일 04.13 09:46
@하이강정님에게 답글 아마 저렇게 시공하는 샵은 시공사진 다 올려놓을꺼에요

서울 사시면 저 사진의 샵 공유드릴께요
제가 시공했던덴데 시공사진 중간중간
공유해주면서 괜찮았어요
테슬라 많이 하는 샵이구요

하이강정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하이강정
작성일 04.13 11:13
@팜3님에게 답글 맞아요. 물어보니 테슬라는 작업 안하는 곳도 있더라구요. 
쪽지 부탁드려요. ㅎㅎ 그러고 가격이랑 모델도 ^^;;

바나나좋아좋아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바나나좋아좋아
작성일 04.13 17:42
@팜3님에게 답글 저도 부탁드려요.

비델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비델
작성일 04.14 09:23
@팜3님에게 답글 저도 공유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imnoname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imnoname
작성일 04.16 20:49
@팜3님에게 답글 저도 샵 정보 공유를 부탁드려도 될까요? 감사합니다!

BLMN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BLMN
작성일 04.13 05:53
버텍스 900-80% 최근에 했는데 나름 만족스러웠습니다
사실 3m 크리스탈라인 70% 하고 싶었는데 시공이 어렵다고 하고, 주변에 재고도 잘 없더라구요 구해서 해준다는데..손에 익은 버텍스 시공 품질이 더 나을거 같아서 그걸로 ㅜ

샬리어트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샬리어트
작성일 04.13 06:49
잘봤습니다. 자료 수집하시느라 너무 수고하셨네요.
근데 일부 내용의 경우 3M에 꽂히신 건지 자료 해석을 너무 3M위주로 하신 듯 해요. ㅎ
어차피 인입되지 않는 열에너지 비교인 TSER로 논의가 끝나는 문젠데,
3M의 특정구간 차단율에 큰 의미부여를 하시는 바람에 결론이 틀리게 간 건 같습니다.
만약 적외선 차단에 더 의미부여를 하시고 싶으시다면 3m같은 꼼수대역보다 더 넓은 750~2500nm에서의 차단율인 IRER을 보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로 3m의 SIRR은 TSER이 보편화되지 않았던 시기에 소비자들 혹세무민하던 잔재라 봅니다.

3M이 특정구간에서 차단율이 좋은데 TSER은 타회사보다 낮다? 그럼 다른 구간에서 차단율이 떨어지는 겁니다. 결론 : 열에너지 차단은 TSER만 보면 된다

하이강정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하이강정
작성일 04.13 09:03
@샬리어트님에게 답글 결론은 바뀌지 않았습니다.
소비자보호원의 테스트 결과 보면, 명확하죠. 1등 브이쿨 2등 3M 입니다.

중간에 적외선 파장 별 에너지 밀도 보시면,  750~1200nm의 파장대가 에너지 밀도가 높고, 2500nm 부분은 낮습니다.
하버캠프:  적외선 파장 별 차단율 보면, 750~1200nm 부근의 차단율 91~2%정도이고, 2500nm부근은 94~95% 입니다. 하지만 광고는 95%로 하고 있죠. 이건 좀 아닌거 같았습니다. 해당 범위에서 당연히 낮은 수치를 적용해야한다 생각하구요.
그런면에서 3M이 의도를 했든 안했든,  900~1000nm대의 보수적인 범위의 데이타를 광고한게 맞다고 봤습니다.

물론 TSER이 최종 결론이 맞고, 그것만 보고 결정해도 됩니다만.. 소비자보호원 결과를 보면, 3M이 TSER은 낮아도 온도 상승은 브이쿨과 비슷하죠. 그리거 하버캠프 경우 58이라는 수치로 광고하고 있구요.
그래서 TSER에 대해 좀 의구심이들어  관련 내용을 알아본 것 입니다.

샬리어트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샬리어트
작성일 04.14 06:05
@하이강정님에게 답글 네. 의구심 가지는 건 좋다고 봅니다만 그 근거로 든 SIRR이 비논리적이었단 뜻이었습니다.
파고드는 글내용을 보면 나중에라도 제가 하는 말이 무슨 말인지 알 수 있는 분이라 생각돼서,
아래 짜비에르님 댓글의 4번 내용으로 간단히 대신하겠습니다.

리릿님의 댓글

작성자 리릿
작성일 04.13 07:37
선쉐이드가 그래도 엄청 도움이 되는게
태양광이 사람 피부에 닿아 뜨거워지느냐
선쉐이드가 닿아 선쉐이드를 달구느냐는
큰 차이가 있어요.
어차피 에어컨이 작동하니 선쉐이드가 뜨거워봐야 찬바람에 식혀지니 문제 없구요.

하이강정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하이강정
작성일 04.13 09:06
@리릿님에게 답글 그럴 수 있겠네요. 저는 소비자보호원 실험방법 처럼 복사열로 인해 실내온도 상승부분만 생각했는데... 동일한 실내 온도 상승에도 그 흡수 부위가 실내 사물인지, 아니면 사람피부인지에 따라 체감은 확연히 차이가 날 수 있겠네요!

1_2_3님의 댓글

작성자 1_2_3
작성일 04.13 08:15
선쉐이드 유무는 생각보다 차이가 매우 큽니다. 저는 구멍 숭숭 뚫린 메쉬 타입 테슬라 순정품을 여름철에만 설치해 쓰는데 복사열 차단 무시 못합니다

수비아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수비아
작성일 04.13 08:57
지방은 70% 이상 구하기가 힘드네요. 간신히 버텍스만 재고 있어 선택의 여지가 없었네요.

하이강정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하이강정
작성일 04.13 09:15
@수비아님에게 답글 버텍스도 좋죠~  소비자보호원 테스트 결과에서 3위 정도면 준수하죠.
본문에 적지는 않았습니다만.. 소비자보호원 테스트에 의문이 드는 것은,... 낮에 12시간 동안 밖에 주차했을 때, 실내 온도의 포화온도와 도달하는 시간 이런것도 좀 궁금하더라구요. 만약 30분만에 온도가 포화까지 도달한다면.. 썬팅안하죠.ㅋㅋ

이미 하셧으면 크게 신경안쓰셔도 될 것 같습니다.  저야 괜시리 그 숫자놀이의 의미로 알아본 것이구요 ^^;

우당탕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우당탕
작성일 04.13 09:35
이번에 차 출고하면서 딜러가 서비스해준게 레이노인데 검증된 성능이라니 다행이네요

좋은 글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짜비에르님의 댓글

작성자 짜비에르
작성일 04.13 10:04
그래도 틴팅 해외판매 부서에서 9년 일했으니 아는 내용만 전달해드릴게요. 이제는 회사 그만둔지 3년 넘었네요.

1. TSER이 높으려면 IRR높고, VLR이 낮으면 됩니다. 그래서 가시광선 투과유일 70% 이상이면 TSER은 높을 수가 없습니다. 실제 피부로 느껴지는 열차단 성능은 상당히 떨어집니다.

2. 밝은 필름은 만들기가 아주 쉽습니다. 수요가 없어서 잘 안만드는거에요. 해외영업부서에서 일하면서도 판매가 잘 안됐었습니다. VK50만되도 비슷하게 만들 수 있는데, VK70은 제조 공정이 좀 미스테리해서 비슷하게 만드는게 불가능했었어요. VLT 70% 대에서 독보적인 제품은 3M CR70이랑 브이쿨 VK70이었습니다. (아마도 두 제품다 테슬라에 시공이 안되거나 안맞을 수 있습니다.)

3. TSER은 국내 측정도 3mm 싱글글라스로 측정합니다. 보통 한글라스에서 했었습니다.

4. 적외선 파장영역 750nm -1250nm는 근적외선 영역이고 이부분을 그 뒤로 갈수록 차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회사 제품들이 있습니다. 시험성적서 내용에 원적외선 영역 파장까지의 평균값이 나오는데, 불리한 숫자는 다들 숨깁니다.

저는 주변 지인들한테 절대 틴팅할때 비싼 돈 주지 말라고 이야기합니다. 이 바닥은 상술이 정말 대단한 곳입니다. 한여름 땡볕에 주차해두면 그 어떤 필름도 30분을 버티지 못 합니다. 어차피 쿨링 성능은 에어컨이 담당해주고요.

딸기국밥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딸기국밥
작성일 04.13 11:44
@짜비에르님에게 답글 테슬라 모델Y 기준
3M CIR (전면) CSM (나머지) 하니까 55만원 이더라구요

밝은 70% 도 선택되는 조합이라 이 정도로 하려고 합니다

전체 크리스탈라인 하니 135....

하늘기억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하늘기억
작성일 04.13 13:42
@딸기국밥님에게 답글 저도 그냥 이렇게 했어요.

테슬라 스타일 랩

전면 CIR 50% - 가시광선 투과율 60%. 적외선 차단율 73%
측후면 CSM 30% - 가시광선 투과율 33%. 적외선 차단율 52%

55만원

어두운거 싫어서 이정도 했는데,
만족합니다.

타오름달열어드레님의 댓글

작성일 04.13 12:31
전 전면50 측면30 정도 생각하는데 레이노나 3m  중에 고르면 되겟네요 레이노도 가성비로 추천 많이 하더라구요

즐거운타요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즐거운타요
작성일 04.13 12:57
35만 원에 끝냈습니다. 비싼거 다 필요없어요.

CaTo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CaTo
작성일 04.13 15:04
@즐거운타요님에게 답글 저도 여기에 한표 입니다

떡구님님의 댓글

작성자 떡구님
작성일 04.13 15:26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HoYoonTV님의 댓글

작성자 HoYoonTV
작성일 04.14 06:18
개인적으로는 광명하안쪽에 있는 샵 추천합니다. -ㅅ-; 좀 멀었는데 만족했네요.

헤이요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헤이요
작성일 04.14 10:48
새차 사서 선팅해 본게 어언 10여년을 훌쩍 넘어서....ㅠㅠ

당시 3m 루마로 했는데.... 요즘은 종류도 많고 기능이나 봐야할것도 많네요...ㅜㅜ

수도로직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수도로직
작성일 04.14 17:16
썬팅이나 틴팅은 그냥 어둑하게 만드는 용도 이외에 단열이니 어쩌니 하는건 다 헛소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ㅎㅎㅎ 저 테스트 수치도 실제 커다란 자동차라는 공간에 적용하면 참 의미없는 수치들이 되거든요.

깜딩이님의 댓글

작성자 깜딩이
작성일 04.15 08:33
자외선차단율이 99%랑 99.9%는 투과율 측면으로 생각하면 10배 차이라서 생각보다 큰데
언제 소수점 두자리까지 표시해줄런지요...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