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품질이 점점 좋아지는게 날로 체감이 되네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꼬반

작성일
2025.03.25 17:28
본문
작년 10월쯔음 부터 SKT에서 이벤트로 제공해준 perplexity 1년 pro 이용권을 받아들고
이걸 가지고 뭘하지..고민하다 그때부터 틈틈이 개인 토이프로젝트로 웹게임들을 다양하게
만들어보고 그러고 있는데 한 반년 사이에 정말 그 품질이 체감 될 정도로 좋아지고 있네요.
특히 최근에는 2개 토이 프로젝트를 욕심을 부려 완성도 있게 만들려고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데,
생성해주는 코드들 품질도 그렇고, 버그 해결과 버그가 진짜 해결이 안될 때 추론으로 요청해서
검토를 돌리면 거의 99%는 해결됩니다. 물론 한 6개월 정도 사용하면서 사용법에 익숙해진 부분도
기여하는 바가 있다고는 생각합니다.
특히 리소스도 생각보다 Gemini 2.0 Flash 모델에서 무료로 생성해주는 걸 활용하는데도
상당한 고품질 리소스를 얻을 수 있습니다.
요즘 유행하는 MCP, Vibe Coding 등 이제 진짜 조금 있으면 특이점이 올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2명
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3
꼬반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3.25 20:30
@가랑비님에게 답글
저는 먼저 제일 첫 질의에 AI의 롤을 명시해주고(ex. 너는 xx부문의 고급 개발자고, 나와 함께 xxx목적의 프로젝트를 같이 할거야.) 어떤 프로젝트를 만들려고 하는데 일반적이고 개략적인 개요를 먼저 작성해줘. 로 요청을 하고 답변을 하면, 방금 정리해준 개요를 포함할 수 있는 구조의 프로토 타입을 작성해줘. 로 시작하는 편입니다. 그러면 이 AI가 전반적인 개요와 프로젝트의 목적을 기억하고 있기에 생각보다 괜찮은 대답을 해주는 느낌이더라구요. 위에 나오는 Vibe Coding 방법론 공부하면 어떻게 AI를 잘 부릴 것인지에 대한 내용인지라 도움이 되실거 같아요.
가랑비님의 댓글
작성자
가랑비

작성일
03.25 20:35
아.. 프롬프트 작성에서부터 적극적으로
AI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시는군요.
'프롬프트는 전적으로 사용자 몫'이라
생각했는데, 너무 고집할 필요가 없네요.
오늘의 컬쳐쇼크.
좋은 경험 공유 감사합니다.
AI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시는군요.
'프롬프트는 전적으로 사용자 몫'이라
생각했는데, 너무 고집할 필요가 없네요.
오늘의 컬쳐쇼크.
좋은 경험 공유 감사합니다.
가랑비님의 댓글
AI 소작농을 부릴 능력/기술/재주.
요즘 클로드 소작농을 영입하였는데,
아직은 일 시키는 기술이 부족하네요. ㅠ
요구사항 복잡하게 주고 시작하였더니
디버깅이 빙글빙글 맴도네요.
오늘부터는 작은 단위로 쪼개서 작업하고
나중에 합치는 방향으로 하려고요.
유튜브로 AI 일시키는 방법도 공부해야할 것 같아요.
마구 부리는 것만으로도 효과가 좋긴 한데,
이왕이면 일을 잘 시켜야 내 일이 급격히
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