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와 엔비디아 현 상황은 그저 일순간 해프닝이죠....
페이지 정보
작성자
DRJang

작성일
2025.01.28 22:19
본문
항상 나오는 이야기지만 엔비디아가 붕괴될려면 CUDA가 무너져야 합니다.
근데 딥시크는 오히려 탈 CUDA를 외쳐온 진영에게는 오히려 대재앙입니다.
그동안 CUDA를 대체 해야하는 제 1논리가 고가의 GPU가 필수라는 거 였는데 이게 무너진 겁니다.
오히려 CUDA 틀 안에서 GPU를 제대로 쓰지 못해왔고, CUDA라는 틀에는 우리가 상상한것 이상의 포텐셜이 더 있었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최상위 GPU 계열이 아닌 다른 것들로 연구소 장비를 꾸려도 해볼게 많다는 이야기이니 게이머 입장에서는.............아..................!....ㅠㅠ
6명
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22
/ 1 페이지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1.28 22:27
@달짝지근님에게 답글
H800과 비슷한 세대인 4천번대를 털어도 할게 많아졌다는 이야기기도 해서..
911카브리올레님의 댓글
작성자
911카브리올레

작성일
01.28 22:25
잘 이해가 안되서 문의드립니다.
딥시크가 CUDA를 통해 엔비디아의 최상위(고가의) GPU가 아닌 저가의 GPU로 챗GPT에 버금가는 성능을 만들어냈다는건가요?
그렇기때문에 CUDA를 이용하려는 수요가 많아질것이고 그것은 엔비디아에는 좋다는 말씀인가요?
딥시크가 CUDA를 통해 엔비디아의 최상위(고가의) GPU가 아닌 저가의 GPU로 챗GPT에 버금가는 성능을 만들어냈다는건가요?
그렇기때문에 CUDA를 이용하려는 수요가 많아질것이고 그것은 엔비디아에는 좋다는 말씀인가요?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1.28 22:29
@911카브리올레님에게 답글
넵, 딥시크도 쿠다 생태계 안에서 이루어진 결과물이고요.
이 뜻은 고가 엔비디아 칩으로 지금 보다 몇배는 더 높은 성능을 낼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고, 시중에 풀린 게임용 칩셋 중 최신이 아닌 구세대 4천번대 칩셋으로도 생각 이상으로 할게 많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뜻은 고가 엔비디아 칩으로 지금 보다 몇배는 더 높은 성능을 낼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고, 시중에 풀린 게임용 칩셋 중 최신이 아닌 구세대 4천번대 칩셋으로도 생각 이상으로 할게 많다는 이야기입니다.
911카브리올레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1.28 22:44
@DRJang님에게 답글
그렇군요! 설명 감사합니다.
그러면 구버전 칩셋으로도 결과물을 만들어낼수 있으면 구지 50번대 칩셋을 살 필요가 있을까요?
기술 선점을 위해서 50번대를 더 구입할거란 말씀인가요?
후발주자들은 40번대 칩셋도 살거구요?
그럼 더 많이 팔릴거라는건가요?
그러면 구버전 칩셋으로도 결과물을 만들어낼수 있으면 구지 50번대 칩셋을 살 필요가 있을까요?
기술 선점을 위해서 50번대를 더 구입할거란 말씀인가요?
후발주자들은 40번대 칩셋도 살거구요?
그럼 더 많이 팔릴거라는건가요?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1.28 22:50
@911카브리올레님에게 답글
팔리는 것도 팔리는 거고, 이렇게 낮은 칩셋으로 의미있는 결과를 만들었다는 것은 쿠다 생태계에서 해볼게 아직 더 많다는 이야기이기도 하고(지금까지 GPU 성능을 계속 높게 끌어올리려는게 쿠다라는 생태계로 할 수 있는 것은 다 해봤으니 GPU를 올리자! 라는 부분도 적지 않았으니까요...) 여러면에서 쿠다 생태계를 오히려 더 견고하게 다져버리는 상황으로 이어질 여지가 높다는거죠.
쿠다 생태계가 견고해질 수록 엔비디아 의존도는 달라지지 않을거고요.
쿠다 생태계가 견고해질 수록 엔비디아 의존도는 달라지지 않을거고요.
까망꼬망1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1.28 22:51
@911카브리올레님에게 답글
문제는 엔비디아에서 새로 제품 내놓으면 그전 제품은 단종시켜버린다는게 문제죠...
luq.님의 댓글
작성자
luq.

작성일
01.28 22:27
딥시크도 결국 쿠다 써야하는 걸로 아는데 왜 엔비디아 끝났다는 식으로 얘기하는 지 잘 모르겠더라고요. 결국 중저가 칩을 이용해서도 쿠다 없이는 안된다는 결론 밖에 안나던데. 여튼 5090은 어떻게든 사야겠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1.28 22:31
@luq.님에게 답글
거기에 더해서 그간 쿠다는 높은 비용이 소모 될 수 있다는 논리가 무너진거니 더더욱 쿠다 좋은 생태계를 벗어날 필요가 없어진 상황이기도 하니 일시적인 패닉성 해프닝인거죠. 정말..
여튼 5090 FE 질러야 할거 같....
여튼 5090 FE 질러야 할거 같....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1.28 22:36
@따듯한것마셔요님에게 답글
엔비디아 주가가 미친듯이 오르는데 있어서 핵심은 학습 과정에서 고가의 GPU가 다량으로 필요 하다인데, 딥시크도 이부분에서는 쿠다를 적극적으로 사용합니다.
그래서 최신 모델, 최신 트렌드에 걸맞는 학습을 하는데 사용가능한 엔비디아 칩셋 라인업이 오히려 확대가 된거죠.
그래서 최신 모델, 최신 트렌드에 걸맞는 학습을 하는데 사용가능한 엔비디아 칩셋 라인업이 오히려 확대가 된거죠.
따듯한것마셔요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1.28 22:47
@DRJang님에게 답글
전 무식자라 잘 못알아 먹고 있지만 .. ㅠ
그래도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조미연씨 생일이 곧 이네요 미리 축하드립니다
그래도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조미연씨 생일이 곧 이네요 미리 축하드립니다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1.28 23:02
@따듯한것마셔요님에게 답글
(감사합니다.. 목요일부터 누들이 생일 카페를 돌아다녀야......)
Veritasian님의 댓글
작성자
Veritasian

작성일
01.28 22:36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1.28 22:40
@Veritasian님에게 답글
시중에 대량으로 풀려있는 게이머용 4천번대나 5천번대를 이용한 학습으로도 충분히 최신 트렌드에 맞는 결과물을 뽑 을 수도 있는 상황에서도 구하기 힘들고 H100 겨냥하는 화웨이 칩셋은 큰 위협이 아니죠.
뚱굴넓적님의 댓글
작성자
뚱굴넓적

작성일
01.28 23:16
gpu 메모리가 더 중요해지는 시기가 오는거 아닐까요? 쿠다 유무 보다도요... 이미 애플 m2ultra로 돌리는게 훨씬 싸다는 얘기도 돌고 있구요...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1.28 23:30
@뚱굴넓적님에게 답글
이게 쿠다라는 생태계에 깔린 소스들과 그것을 이루고 있는 인력이 가져다주는 이점이 엄청난 상황입니다.
비용을 크게 낮추면 좋겠지만, 낮춘 상황에서 쿠다를 벗어난다면 그 비용이 마냥 싼게 아닌 상황이 되기에 지금까지 울며 겨자먹기로 계속 엔비디아를 써온게 매우 크거든요.
그 안에서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이미 충분히 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게 지금 딥시크인데, 여기서 다른 하드웨로 넘어갔을 절감되는 비율은 훨씬 싸도 높지 않고 심지어 쿠다라는 생태계를 또 버려야 하니.. 그렇게 막 선호될 선택은 아니게 되겠죠.
비용을 크게 낮추면 좋겠지만, 낮춘 상황에서 쿠다를 벗어난다면 그 비용이 마냥 싼게 아닌 상황이 되기에 지금까지 울며 겨자먹기로 계속 엔비디아를 써온게 매우 크거든요.
그 안에서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이미 충분히 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게 지금 딥시크인데, 여기서 다른 하드웨로 넘어갔을 절감되는 비율은 훨씬 싸도 높지 않고 심지어 쿠다라는 생태계를 또 버려야 하니.. 그렇게 막 선호될 선택은 아니게 되겠죠.
폭풍의눈님의 댓글
작성자
폭풍의눈

작성일
01.28 23:25
엔비디아의 현재 시총은 학습용 고가 gpu판매없이는 유지되기 힘듭니다. 현재까지 판거 이상으로 더 팔아야 하는데, 그거에 대한 우려가 지금인거죠. cuda의 독과점적 지위가 유지된다한들 카드를 더 많이 못팔면 힘들죠. 주가가 떨어진건 지난주 엔화 금리 인상 여파가 서서히 온거 더하기 딥식이 아닌가 싶은데, 일단 지켜봐야겠죠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1.28 23:33
@폭풍의눈님에게 답글
어차피 같은 쿠다 안에서 이루어진 결과라 고가 GPU는 앞으로 더 더 더 더 미친 성과를 뽑을 수 있죠.
특히나 이게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두가 아는 상황이기에 이 혜택은 모든 엔비디아 GPU 라인업이 다 같이 누리는 겁니다.
단지 가장 큰 변화는 하위로 활용 가능한 GPU라인업이 크게 확대되었다는거죠.
비용때문에 쿠다 생태계를 포기하고 다른 방향을 고민해온 계층을 흡수 할 수 있게 된다면 오히려 시장 지배력은 더 견고해질 수 있는거고요.
특히나 이게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두가 아는 상황이기에 이 혜택은 모든 엔비디아 GPU 라인업이 다 같이 누리는 겁니다.
단지 가장 큰 변화는 하위로 활용 가능한 GPU라인업이 크게 확대되었다는거죠.
비용때문에 쿠다 생태계를 포기하고 다른 방향을 고민해온 계층을 흡수 할 수 있게 된다면 오히려 시장 지배력은 더 견고해질 수 있는거고요.
트릴로님의 댓글
작성자
트릴로

작성일
01.28 23:42
엔비디아가 현재의 시총을 유지 하기 어려워졌다고 보는 입장은..
중국으로 인해 AI시장이 미국과 중국 양강으로 가는 것이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자유진영에서 오랜동안 경쟁이 이루어 져야
고가의 칩셋 수요가 많아 지는데,
저성능의 칩셋 과 장기적으로 중국 자체 칩셋으로 AI경쟁이 가능해 진다면,
생각보다 빠른 시간 안에 두나라로 좁혀지고, 중위 경쟁자 들은 탈락을 하게 됩니다.
싼 칩셋으로 사람들의 능력으로 효율이 높아짐으로 더 많은 수요가 발생한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만...
미, 중 경쟁으로 압축이 되면, 사실상 다른 나라는 AI접근이 쉬워진다 한들 사업성이 없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게 됩니다.
AI시장의 경쟁이 다양한 국가에서 지속되지 않고
너무 빠른 시간안에 독점 또는 과점 시장이 되면
AI칩셋 공급자의 지위는 갑에서 을로 바뀌게 됩니다.
대규모 투자와 선점 시장이 끝이나고
극도의 효율화를 이용하고 틈새 시장위주로 신규수요가 제한되어 버리면
사실상 엔비디아의 현재 주가는 유지 될 수가 없습니다.
중국으로 인해 AI시장이 미국과 중국 양강으로 가는 것이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자유진영에서 오랜동안 경쟁이 이루어 져야
고가의 칩셋 수요가 많아 지는데,
저성능의 칩셋 과 장기적으로 중국 자체 칩셋으로 AI경쟁이 가능해 진다면,
생각보다 빠른 시간 안에 두나라로 좁혀지고, 중위 경쟁자 들은 탈락을 하게 됩니다.
싼 칩셋으로 사람들의 능력으로 효율이 높아짐으로 더 많은 수요가 발생한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만...
미, 중 경쟁으로 압축이 되면, 사실상 다른 나라는 AI접근이 쉬워진다 한들 사업성이 없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게 됩니다.
AI시장의 경쟁이 다양한 국가에서 지속되지 않고
너무 빠른 시간안에 독점 또는 과점 시장이 되면
AI칩셋 공급자의 지위는 갑에서 을로 바뀌게 됩니다.
대규모 투자와 선점 시장이 끝이나고
극도의 효율화를 이용하고 틈새 시장위주로 신규수요가 제한되어 버리면
사실상 엔비디아의 현재 주가는 유지 될 수가 없습니다.
DRJang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1.29 14:27
@트릴로님에게 답글
이게 단순히 하드웨어로 보면 그렇게 보일 수 있겠지만, 지금 일어나는 일들이 결국 쿠다 생태계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이라, 극도의 효율화를 이용해서 틈새 시장에 맞는 엔비디아 칩셋도 가능해지거든요.
현실적으로 중국 칩셋은 당분간은 엔비디아+TSMC 조합으로 찍어내는 수량과 수율을 따라갈수 없는 상황에서, 엔비디아가 이걸로 공략한다? 그러면 오히려 시장은 확대가 되겠죠
고가 칩셋도 같은 쿠다 생태계이니 전력 변화 없이 뽑아내는 결과물 양이 올라가고, 같은 부피에서 나오는 결과물 양도 앞도적으로 많아지니, 고가 칩셋도 고효율을 위한 목적성에 위배되지 않을거라 이 쪽 수요도 줄일은 없고요.
현실적으로 중국 칩셋은 당분간은 엔비디아+TSMC 조합으로 찍어내는 수량과 수율을 따라갈수 없는 상황에서, 엔비디아가 이걸로 공략한다? 그러면 오히려 시장은 확대가 되겠죠
고가 칩셋도 같은 쿠다 생태계이니 전력 변화 없이 뽑아내는 결과물 양이 올라가고, 같은 부피에서 나오는 결과물 양도 앞도적으로 많아지니, 고가 칩셋도 고효율을 위한 목적성에 위배되지 않을거라 이 쪽 수요도 줄일은 없고요.
달짝지근님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