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모앙 커뮤니티 운영 규칙을 확인하세요.
X

챗GPT '지브리 열풍'에 日 "화풍은 아이디어…AI 저작권 침해 아니다".gisa

페이지 정보

작성자 파이랜
작성일 2025.04.03 12:07
1,942 조회
2 추천

본문

2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25 / 1 페이지

Jedi님의 댓글

작성자 Jedi
작성일 04.03 12:11
지브리 스터일 맘에 듭니다. 계속 확대 재생산되면 지브리로서도 기회가 되리라 봅니다.

Playonly님의 댓글

작성자 Playonly
작성일 04.03 12:11
지브리풍이라고 하기는 하지만, 생성된 결과물을 조목조목 뜯어보면 애초에 지브리만의 화풍도 아닙니다. 동시대 다양한 스튜디오, 감독들의 화풍이 뒤죽박죽 섞여있어요.

참다운길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참다운길
작성일 04.03 12:14
@Playonly님에게 답글 현재시점의 GPT 결과물이 아닐뿐인거지. 컨버팅 변환은 - 손가락을 빼먹는다는등 - 버그는 있겠으나 결과적으로는 학습한대로 진행합니다.
(한가지 화풍만으로 확습범위를 줄여버리면 좀 더 근접해지겠죠.)

Playonly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Playonly
작성일 04.03 12:19
@참다운길님에게 답글 화풍이라는게 한가지, 두가지 이렇게 셀 수 있는게 아닌거죠.
화풍이라는 추상적인 개념 말고 특정 스튜디오에서 나온 작품만을 학습해서 그것 처럼 그려달라고 하면 또 다르겠습니다만, 화풍, 특히 상업적인 작품의 화풍은 동시대 다른 작품과 상호적인 영향을 굉장히 많이 받습니다. 지브리만 해도 100% 독자적, 독점적인 작화체가 아니고, 초기부터 후기까지의 작풍이 변화해왔습니다..

TKoma님의 댓글

작성자 TKoma
작성일 04.03 12:12
그래도 적절한 리스펙트를 보이면 좋겠네요

TheS님의 댓글

작성자 TheS
작성일 04.03 12:13
통이 크다기보다는 당연한 결정이죠.

몬드리안 그림과 비슷한 화풍으로 그린다고해서 몬드리안의 유족에게 저작권료를 지급하지는 않거든요.

Emeraldsword님의 댓글

작성자 Emeraldsword
작성일 04.03 12:15
이렇게 해석하면 완전히 틀립니다. 화풍은 아이디어로서 저작권이라 볼 수 없는 것은 맞지만 ai 학습 데이터는 화풍을 학습하기 위해 원본 그림을 사용한게 문제되는거에요. 즉 원본 그림-저작권이 있는 저작물을 허락 받고 썻느냐?가 초점이 되어야합니다.

탐캣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탐캣
작성일 04.03 12:30
@Emeraldsword님에게 답글 "사람"이 사진을 받고 지브리 화풍으로 그림을 그려서 판매한다면 어떨까요?
그 "사람" 이 지브리 화풍을 학습한 과정이 합법적인 지, 아닌 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그래서 저는 약간 의견의 궤가 다른데, OpenAI가 공개되어 있는 포스터, 스틸컷 등으로만 학습했다고 강변한다면 방법이 없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해당 저작물의 허락도 중요한 논의의 한 축이 되겠지만 저는 그 보다 더 중요한 것이, 이 과정에서 발생한 수익(물론 현재 AI는 다 적자라지만)을 원 저작권자에게 어떻게 돌려줄 수 있는가가 좀 더 발전적인 논의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미 길거리에서 그림을 그려 파는 수준을 넘어갔기 때문에 어떻게든 사회적 합의는 필요한 거고
그렇다면,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도 깊게 생각해 볼 시점이라고 봅니다.

LeadK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LeadK
작성일 04.03 12:37
@탐캣님에게 답글 화풍보다는 지브리 라는 이름 사용값으로 윈윈 해야겠죠

헤에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헤에
작성일 04.03 14:18
@탐캣님에게 답글 저는 AI 시대에 맞게 저작권법이 바껴야한다는 의미로 이해되네요.
지금 이대로 가면 고생해가며 자신만의 기법과 스타일을 익히는 신세대는 소멸할 것으로 보입니다.
기존의 것만 답습하는 AI만 넘쳐날 겁니다.
오랜기간의 고생에 걸맞는 보상을 제공해야 그 세월을 견딜텐데, 조금만 유행하면 바로 AI가 복제하기 시작할 것이고 넘쳐나는 복제품들로 인해 조금의 시간이 지나면 식상하고 지루해질 겁니다. 그러면 창작자에겐 어떤 보상이 주어질까 싶네요..

이미 유명한 사람들은 문제가 아닙니다. 이제 유명해질 필요가 있는 사람들 얘기죠.

Emeraldsword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Emeraldsword
작성일 04.03 17:00
@탐캣님에게 답글 공개 포스터, 스틸컷도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해당 그림 자체 서버에 전송해서 저장하고 학습을 했다면 당장 전송권과 복제권 위반부터 시작해야죠...

탐캣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탐캣
작성일 04.03 17:15
@Emeraldsword님에게 답글 궁금한 건데

이러한 논의에서, 저작권법 제35조의2(저작물 이용과정에서의 일시적 복제) 의 해석을 어떻게 해야 할 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그림을 학습하는 과정을 복제로 볼 수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Emeraldsword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Emeraldsword
작성일 04.03 17:27
@탐캣님에게 답글 제35조의2(저작물 이용과정에서의 일시적 복제) 컴퓨터에서 저작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원활하고 효율적인 정보처리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범위 안에서 그 저작물을 그 컴퓨터에 일시적으로 복제할 수 있다. 다만, 그 저작물의 이용이 저작권을 침해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여기서 말하는 일시적 복제는 스트리밍으로 음악을 들을 때 잠시 램 영역이나 캐쉬에 남는 수준의 일시적을 말합니다. 그러나 학습 목적으로 자료를 저장하는 것은 그런 일시적 사용이 아니겠죠? 이미 신문사 쪽은 해외에서도 광범위하게 ai 학습 데이터에 대하여 소송을 시작했고, 사용료까지 징수한다는 기사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텍스트가 그림으로 변했을 뿐, 동일하게 적용 받아야 합니다.

탐캣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탐캣
작성일 04.03 17:33
@Emeraldsword님에게 답글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Emeraldsword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Emeraldsword
작성일 04.03 17:29
@탐캣님에게 답글 무엇보다 ai 개발측은 저작권의 공정 이용을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저작권 사용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는 상황입니다.
저작권 자체를 사용하지만 공정 이용이기 때문에 무상으로 마음껏 사용하겠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학습 데이터의 지브리 그림의 저작권이 인정 받느냐 안 받느냐는 논의 자체를 할 필요가 없어요 ㅎㅎ

탐캣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탐캣
작성일 04.03 17:34
@Emeraldsword님에게 답글 마지막 문장이 잘 이해되지 않는데 조금 풀어서 말씀해 주실 수 있으신지요?

Emeraldsword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Emeraldsword
작성일 04.03 17:37
@탐캣님에게 답글 마지막 댓글에 대댓글이 안 달아지네요;
ai측도 지브리의 저작권을 사용하는 것에 공식적인 답변은 없으나, 학습 데이터로 들어오는 모든 것이 저작권이 소멸되지 않은 이상 저작권이 있음을 암묵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용자들이 지브리화풍이니 뭐니 왈가왈부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입니다.

탐캣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탐캣
작성일 04.03 17:38
@Emeraldsword님에게 답글 아.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ASTERISK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ASTERISK
작성일 04.03 12:37
@Emeraldsword님에게 답글 사실 그것도 애매하긴 합니다.
지브리 작품을 가져다 학습한건지..
아니면 사람을 고용해서 지브리 스타일로 그린 그림들을 학습하게 한건지 모르는 일이죠..
물론 실제 어떻게 학습했을지는 짐작이 가지만요..

Emeraldsword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Emeraldsword
작성일 04.03 17:02
@ASTERISK님에게 답글 후자의 경우에도 디자인권이나 공정거래쪽으로 얼마든지 소송이 가능합니다.

ASTERISK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ASTERISK
작성일 04.03 18:00
@Emeraldsword님에게 답글 소송이야 가능하죠. 판결이 어떻게 날지는 몰라도요

Emeraldsword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Emeraldsword
작성일 04.03 18:27
@ASTERISK님에게 답글 이번 엔씨 소송을 비추어보면 충분히 유죄 가능합니다.

렌더님의 댓글

작성자 렌더
작성일 04.03 12:18
어쨌든 지브리의 스타일을 많은 사람들이 좋아한다는 것은 틀림이 없군요

감각제로님의 댓글

작성자 감각제로
작성일 04.03 13:07
유화 수묵화 등도 저작권 문제제기하면 골치 아프겠네요.
그나저나 피카소풍 등도 유행될 듯

파키케팔로님의 댓글

작성자 파키케팔로
작성일 04.03 13:12
일단 일본과 지브리는 저랬는데, 과연 디즈니는 어떨까요?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