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모앙 커뮤니티 운영 규칙을 확인하세요.
X

일본어, 중국어 공부하며 한자 걱정할 필요 없는 이유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코미
작성일 2025.04.09 11:44
1,499 조회
7 추천

본문

1. 어차피 쓰는 한자는 정해져 있다.

중국과 일본은 쓰이는 한자가 2000자에서 많으면 5000자까지 올라갑니다만 그 한자 중에서 500자만 암기해도 문장의 80%는 이해가 되고, 1000자가 되면 90%, 2000자가 되면 98%가 커버된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그럼 나머지 2%는 무엇인가, 그 경우에는 어차피 중국인이나 일본인도 문맥을 보고 때려맞추거나 아예 사전으로 검색을 합니다.

그래서 처음부터 상용한자 다 암기한다고 고생할 거 없이 빈출되는 한자부터 잡으면 되는데, 대개 JLPT나 HSK의 한자나 어휘가 낮은 등급은 자주 쓰이는 것들이 나오고 등급이 올라갈수록 잘 안 쓰는 것들이 나오므로 그걸 기준점으로 삼으면 됩니다.

2. 요즘 중국인이나 일본인도 한자 잘 못한다.

중국인과 일본인은 한자를 자주 씁니다만 어디까지나 읽기만 한국인보다 능숙할 뿐입니다. 요즘 손으로 한자를 적는 일이 많이 줄어서 대개 500~1000자 정도의 한자까지는 직접 적을 수 있지만 그 이상은 교육수준이나 세대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대개 저학력일수록 한자를 잘 못 쓰고, 대개 나이가 어릴수록 한자를 잘 못 쓰는데 특히 요즘엔 컴퓨터나 스마트폰 입력기에 로마자로 병음이나 발음을 적어 변환하는 식으로 한자를 입력하다 보니 더더욱 한자 실력이 낮습니다. 중국인과 일본인이 저 모양인데 외국인인 한국인이 학술대회 등에 나갈 게 아니면 한자에 너무 스트레스 받을 이유가 없죠.

3. 한자는 하루에 적은 양을 꾸준히 반복하면 어느세 잡힌다.

한자 암기는 간단합니다. 저의 경우 5단계 암기법을 적용합니다. 1단계는 한자 모양과 음과 훈을 봅니다. 입으로 읽고 바라보고를 반복하고 그러고도 머리에 안 들어가면 허공에 손짓을 하던 아니면 종이와 펜을 이용하던 한 10번 정도 적습니다. 2단계는 그렇게 암기한 한자를 다음 날 암기카드로 보고 떠올리고 입으로 말해 봅니다. 5~10초 안에 그 한자 음과 훈이 안 떠오르면 암기가 안 되었다고 판단하고 그 한자만 반복합니다. 3단계는 1단계 후 3일이 지난 시기 다시 한번 빠르게 훑어보고 떠올립니다. 4단계는 주말에 그동안 암기한 단어를 몰아봅니다. 5단계는 한달 후 총복습을 합니다.

이렇게 한글 음과 훈을 익히는데 설령 2000자라 해도 하루 40개씩 암기한다 치면 50일이 걸리며, 복습까지 잡으면 두달이면 숙달됩니다. 이후 그 암기한 한자에 일본어나 중국어 음이나 훈을 더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대략 한달 내지는 두달이죠. 이 과정은 Anki라는 앱이나 플래시카드를 쓰면 효율적입니다.

7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14 / 1 페이지

그아이디가알고싶다님의 댓글

작성일 04.09 11:46
그 '적은 양을 꾸준히'가 가장 어렵죠. ㅎㅎㅎ

그리고, '어느세' 아니고 '어느새'랍니다. (이맛앙 죄송합니다.)

TheS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TheS
작성일 04.09 11:48
@그아이디가알고싶다님에게 답글 맞아요. '적은 양'까지는 쉬운데  '꾸준히'가 넘사벽으로 너무 어렵습니다. ㅠㅠ

그아이디가알고싶다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그아이디가알고싶다
작성일 04.09 11:52
@TheS님에게 답글 저는 영어하는 나라에 사는데, 요즘도 화장실에서 Grammar in use를 봅니다. 영어는 이제 구력이 붙어서 이게 되는데, 일어는 아무리 하려고 해도 어렵네요. ㅎㅎ

TheS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TheS
작성일 04.09 11:54
@그아이디가알고싶다님에게 답글 일어는 애니를 열심히 보시면 귀족가문 악역영애 여고생 말투를 배우실 수 있습니다데수와~. +_+

코미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코미
작성일 04.09 12:47
@TheS님에게 답글 정신이 없사와요.

코미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코미
작성일 04.09 12:45
@그아이디가알고싶다님에게 답글 anki란 앱이 그런 적은 양을 꾸준히 하는데 도움이 되더군요.
전 anki 이전엔 카드를 만들어서, anki 나온 후에는 그걸 일하거나 밥먹고 시간 남을 때, 출퇴근 대중교통 등에서 버릴 시간을 이용하는 식으로 사용합니다. 40개 암기, 최대 400개 복습으로 설정하면 한시간 정도면 되더군요.

감말랭이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감말랭이
작성일 04.09 12:01
중국은 아예 문자 입력을 배제하고 음성메시지 주고받더라구요

코미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코미
작성일 04.09 12:42
@감말랭이님에게 답글 문자 입력도 한다 할지라도 로마자로 병음을 적더군요.

catopia님의 댓글

작성자 catopia
작성일 04.09 12:04
중국어 공부하고 있는데.. 
기존의 한자를 다시 배워야하는 느낌이라 살짝 짜증나요 ㅜ ㅜ 
그냥 보면 비슷하긴 해서 아 대충 그 글자가 아닐까? 하고 찾아보면 맞긴 맞네요..

한문교육세대라 우리나라한자 에서 일본식 한자 넘어올때는 그닥 어렵진 않았는데...
일본식 한자 -> 중국식 간자로 넘어오려니 새로운 느낌입니다

코미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코미
작성일 04.09 12:43
@catopia님에게 답글 간자체의 경우 무근본으로 바꾼 게 아난 비슷한 음의 간단한 한자를 적거나 초서같이 흘겨쓰거나 간략화한 필체를 체용하는 등 일정한 창제 기준이 있어 그걸 파악하면 그나마 좀 나으실 거에요.

puNk님의 댓글

작성자 puNk
작성일 04.09 12:04
일본어 한자는 이해는 하겠는데 읽는 법이 어렵습니다....

코미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no_profile 코미
작성일 04.09 12:07
@puNk님에게 답글 그냥 일본어 음을 집중하고 훈을 다 일일히 암기하려 하지 마세요. 차라리 단어 암기하는 게 빨라요.

라바나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라바나
작성일 04.09 13:11
일본인 친구랑 라인으로 채팅해버릇 하다가 N1 독해 만점 받아본 경험자로써(...) 말씀드리자면
그냥 숨쉬듯 수시로 많이 접해보는게 답인 것 같습니다...ㅎㅎ

떡갈나무님의 댓글

작성자 떡갈나무
작성일 04.09 21:10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