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486DX-50 짧은 이야기
페이지 정보

본문
80486 CPU 소장하신 분들을 보니 부럽기 그지없습니다.
갖고 있다가 분실했던 IBM의 Blue Lightening (80486) 생각도 나고 그렇네요.
여기서 자랑하기 딱 좋은 아이템이었는데 그만…
현재 인텔/AMD의 아키텍쳐는 AMD에서 만든 x64(=x86-64, 64bit)로 넘어간지 오래지만, 그 앞의 핵심 아키텍처는 i386(x86, 32bit)이었죠.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명령어 구조는 80386에서 완성되었습니다.
하지만, CPU 설계를 제대로 해서 포텐이 터진 건 80486 출시부터였습니다.
386과 486은 같은 25MHz 클럭 기준으로도 4MIPS vs 15MIPS라는 어마어마한 성능 차이를 보여줄 정도였습니다.
80486은 이러한 IPC 개선 외에도 클럭 더블링(clock multiplier) 기술을 도입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다보니 80486DX-50과 80486DX2-50이 같이 판매되기도 했습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DX-50은 버스 클럭도 50MHz이고, DX2-50은 버스 클럭은 25MHz인데, CPU 내부에서 이걸 2배 뻥튀기해서 사용했습니다.
둘의 깡성능은 DX-50이 더 빠를 것이고, 이게 더 좋고 훌륭해야겠지만, 세상이 아직 이걸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ISA 버스는 8MHz밖에 지원하지 못했고, 이 무렵 등장한 VL(VESA Local) 버스는 더 큰 문제가 있었죠.
25MHz, 33MHz, 50MHz에서 동시에 장착할 수 있는 카드의 수가 달랐다는 점입니다.
(25MHz에서는 3개, 33MHz에서는 2개, 50MHz에서는 1개)
이 때는 사운드, 비디오, 모뎀, 이더넷 등 죄다 외부에 카드를 꽂아야 하는 시절이니 오히려 더 나은 CPU가 더 쓸모가 없었다는 겁니다.
결국 80486은 DX2 라인업이 최종승자가 됩니다.
버스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CPU의 클럭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었을 겁니다.
BLUEnLIVE님의 댓글의 댓글
부럽습니다.
오년삼촌님의 댓글

고려청자님의 댓글

복슬복실님의 댓글

BLUEnLIVE님의 댓글의 댓글
저는 이게 사이릭스의 마케팅과 관련이 있었을 거라는 별 근거 없는 추측을 해봅니다.
하늘사랑4U님의 댓글
감사인사 먼저 드려요.
좋은글 잘 봤습니다.
vesa 방식 정말 오랜만에 들어보세요.
가지고 있는 486 cpu 보여드려요.
더많은 CPU 보러가기 ^^ https://damoang.net/hardware/6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