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PPIST-1 : 가장 유명하고 주목받는 외계 항성계

페이지 정보

분류 기타
4,151 조회
2 댓글
15 추천

본문



외계행성 전문 사냥꾼이었던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찍은 TRAPPIST-1

지구로부터 39.6광년 떨어짐

​TRAPPIST-1의 분광형은 M8V로 전형적인 적색왜성

항성계 나이는 약 76억년(54~98억년) 예상


물병자리 내 TRAPPIST-1의 위치

NASA에서 공개한 TRAPPIST-1의 상상도 (행성들간 거리가 가까워 이렇게 보인다고 함)

태양과 TRAPPIST-1의 크기를 비교한 모습


항성 이름을 TRAPPIST-1이라고 한 것은 리에주 시립대학교에서 운영하는 천체망원경 TRAPPIST 중 남쪽에 위치한 TRAPPIST-South가 망원경 설치 이후 첫 번째로 행성계를 발견 (보통 발견한 천문대나 망원경 이름 많이 붙임)


TRAPPIST(Transiting Planets and Planetesimals Small Telescope)

TRAPPIST telescope at La Silla Eso1023e - TRAPPIST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처음에 부여받은 일련번호는 2MASS J23062928-0502285


태양과 비교 하여  밝기는 0.05%, 질량은 8.9%, 그리고 반지름은 11% 정도..

(적색왜성 중에서도 가장 작은 축에 속하는 항성..)


목성보다 조금 크지만 질량은 목성의 84배

수명은 현재까지 76억년, 앞으로는 12조년을 더 살 것을 예상


중요한 것은 이 작은 적색왜성에서 외계행성이 무려 7개나 발견됨..


행성 공전주기는 짧게는 1.4일, 길게는 18.7일로 상당이 짧음

특이하게도 일곱개 행성들이 24:15:9:6:4:3:2의 정수비로 궤도 공명을 한다는 점

모항성과 거리가 너무 가까워서 일곱 행성 모두 조석 고정 됨 (달도 지구에 조석고정되어 앞면만 볼 수 있음)



지금까지 알려진 점은

* b부터 f까지의 행성의 대기는 수소로 채워짐

* 모든 행성은 지구형 행성 (목성형 행성 없음)

TRAPPIST-1a이 주계열을 벗어나도 태양처럼 행성들을 삼키는 일은 없을 것으로 예상 (청색왜성이 되기 때문)


10 Things: All About TRAPPIST-1 - NASA Science


여기서부터는 행성들 간단 소개

TRAPPIST-1b

​모항성에서 첫 번째로 가까운 지구형 행성

낮은 밀도와 분광 분석 결과를 토대로 봤을 때 천하의 금성보다도 두꺼운 대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

대기구성 : 이산화 탄소 대기(표면온도 1400K) 또는 수중기 대기(100km, 표면온도 1800K)

최근 제임스 웹 망원경 연구 결과로는 대기가 없을 것으로 예



TRAPPIST-1c

모항성에서 두번쨰로 가까운 지구형 행성

행성계 내에서 가장 무거운 행성으로 추정

c 역시 b와 마찬가지로 대기가 없거나 매우 앏은 대기를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예상



TRAPPIST-1d

골디락스 존 안에 존재하는 두 번째 행성

대부분의 학자들이 TRAPPIST-1 행성계에서 가장 지구와 비슷할만한 행성으로 간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최우선 관측 목표 중 하나



TRAPPIST-1f

골디락스 존 안에 존재하는 세 번째 행성

지구와 크기가 거의 같음

분석상으로는 단단한 핵 위로 수분 대부분이 구름 형태의 미세한 액체로만 존재하는 일종의 미니 해왕성일 가능성이 높음



TRAPPIST-1g

골디락스 존 안에 존재하는 마지막 행성

허블 우주 망원경을 통한 대기 구성 관측에서 결과가 불확실하게 나옴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1차 관측 결과 상층 대기권 검출이 없어 이 행성은 h와 마찬가지로 가스형 행성은 아닌 것으로 추정



TRAPPIST-1h

모항성에서 가장 먼 거리에서 공전하는 행성

얼음 행성으로 추정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1차 관측 결과 상층 대기권 검출이 없어 이 행성은 g와 마찬가지로 가스형 행성은 아닌 것으로 추정


생명체 가능 여부는 모항성의 플레어를 방어할만한 자체 자기장 생성여부와

조석고정이 된 상태에서 생명체 존재가 가능하냐 문제가 걸림 (중간지대에 있을 가능성..)



    [역경을 헤치고 별을 향하여!! Per aspera ad astra!] 민주당 권리당원 19년차/부천시민/지구과학 강사/천문우주당(우주본당) 당주

댓글 2 / 1 페이지
기타 25 / 1 페이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