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모앙 커뮤니티 운영 규칙을 확인하세요.
X

[건강] 조류 독감에 대한 정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고약상자
작성일 2025.02.18 05:43
분류 기타
972 조회
24 추천
분류

본문

최근 조류 독감으로 인해 미국 계란값이 급상승했다는 뉴스가 많이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혹시 이 조류 독감이 전세계적으로 팬데믹으로 번지지 않을까 걱정하시는 분들이 계시는 것 같습니다.

독감은 잘 아시다시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감염되어 생기는 감염병입니다.

가장 최근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던 것이 스페인 독감이었습니다. 1918년 봄에 1차 확산이 있었고, 그해 겨울에 2차 확산이 발생하면서 대략 1천만~5천만 정도가 사망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보통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 B, C, D형으로 구분합니다. 인간에게 독감을 일으키는 것은 A형입니다. 스페인 독감도 A형이었습니다. B형은 아주 드물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C형은 증상이 매우 약해서 감기처럼 지나갑니다. D형은 주로 소나 다른 동물에게 감염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입니다.

사람에게 주로 감염되어 문제를 일으키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두 가지 단백질로 추가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헤마글루티닌 (H) 과 뉴라미니데이즈 (N) 라는 두가지 단백질의 유전적 시퀀스를 이용해서 분류하는데요, H는 1~18까지 알려져 있고, N은 1~11까지 알려져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130개 이상의 조합이 가능합니다.


정리하면, 스페인 독감의 경우 A형 독감이고, 유전형은 H1N1형입니다. 2009년에 발생했던 '신종플루'도 이것과 같은 H1N1형이었습니다.

현재 한국에서 확산되는 인플루엔자는 H1N1과 H3N2 이렇게 두 종류가 같이 확산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https://www.bio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159

H3N2는 1968년 전세계를 휩쓴 홍콩 독감 바이러스입니다.

한편 WHO의 권고에 따라서 지난 2024년 가을부터 접종한 올해의 계절 독감 백신은,

A형 (H1N1) + A형 (H3N2) + B형 (Victoria 계통) + B형 (Yamagata 계통)

이렇게 4종류의 인플루엔자에 대응하는 백신이었습니다. 지금 유행하고 있는 인플루엔자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백신이었습니다.


오늘 말씀드릴 조류 독감A형, H5N1으로 분류됩니다. 처음에는 사람에게 감염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했었습니다만, 사람에게 감염이 확인되면서 최근에 관심을 받고 있는 인플루엔자입니다.

지난 2025년 1월 6일 미국 CDC는 미국에서 이 H5 조류 독감에 의한 사망자가 처음 발생했다고 보고하였습니다. 2024년 이후 미국에서는 총 66명의 H5N1 조류독감 감염자가 확인되었고, 2022년 이후로는 지금까지 총 67명의 감염자가 확인되었다고 합니다. 이 중에서 처음 사망자가 나온 것입니다.

https://www.cdc.gov/media/releases/2025/m0106-h5-birdflu-death.html

WHO의 자료에 따르면 2003년~2024년까지 약 11년간 전세계에서는 총 954명의 H5N1 조류 독감 케이스가 보고되었고, 이들 중에서 464명이 사망했다고 합니다.

https://cdn.who.int/media/docs/default-source/2021-dha-docs/cumulative-number-of-confirmed-human-cases-for-avian-influenza-a(h5n1)-reported-to-who--2003-2024.pdf


보통 미국에서는 매해 1만~5만명 정도가 인플루엔자 독감으로 사망합니다. 미국 CDC의 자료에 따르면 2022-2023년 시즌에 미국에서는 인플루엔자로 약 36만여명이 입원을 했으며, 21,000명 정도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https://www.cdc.gov/flu-burden/php/data-vis/2022-2023.html

매년 발생하는 인플루엔자 독감과 비교해 봐도, 현재 조류 독감은 그렇게 위협스러운 상황은 아닌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염자 중에서 사망자가 많기는 하지만, 감염자 숫자 자체가 적다는 것은 이 바이러스가 그렇게 막 퍼지는 바이러스는 아닐 것이라 생각됩니다. 또한 현재 인플루엔자에 대한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가 존재하고, 이것들이 조류 독감에도 효과적이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면 잘 치료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현재 사용 가능한 항바이러스제로는,

Oseltamivir (타미플루) : 성인 기준 75 mg 하루 두번 입으로 복용합니다. 총 5일간 투약합니다.

Zanamivir (리렌자) : 흡입하는 형태의 인플루엔자 치료제입니다.

Peramivir (라피밥, 페라미플루) : 정맥 주사제입니다. 병원에 누워서 링거로 맞는 방식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을 겁니다. 먹는 약이나 흡입제를 사용하기 어려운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Baloxavir marboxil (조플루자) : 신약인데요, 조류독감에도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렇게 다양한 형태로 있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나고 빠른 시기에 사용하시면 큰 문제없이 회복하실 겁니다.


(요약)

1. 미국에서 조류 독감에 감염되어 사망한 첫 사례가 지난 1월에 발생했다.

2. 지난 3년간 미국에서는 총 67명의 조류 독감 사례가 확인되었다.

3. 매년 미국에서는 일반 계절 독감으로 1~5만명 정도가 사망하며, 지난 시즌의 경우 21,000명 정도가 사망하였다.

4. 조류 독감에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들이 다수 존재하며, 타미플루가 가장 많이 알려진 치료제이다.

24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6 / 1 페이지

볼통통오동통통님의 댓글

작성일 02.18 05:57
최근 조류독감 괴담에 살짝 놀랐었는데 정확한 정보 감사합니다. 항상 고맙습니다!

열심히살자님의 댓글

작성자 열심히살자
작성일 02.18 20:19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Crosby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Crosby
작성일 02.19 12:03
통상적으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구조는 단쇄와 나선형 RNA 바이러스로서 서로 다른 8개의 RNA분절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HA와 NA의 표면항원유전자와 6개의 내부유전자로 분류되며, 이 중에서 대유행을 일으키는 것 은 A형 바이러스로서 Hemagglutinin (HA), Neuraminidase(NA) 표면단백질에 의해 몇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지요. Hemagglutinin은 16종류가 있어 체내로 침투하는 역할을 하며, Neuraminidase는 9종류로 세포 내로 침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고 합니다. 이 중 사람에게는 H1, H2, H3와 N1,N2가 주로 감염을 일으키며 조류는 주로 H5, H7이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요. 병원성은 H5, H7과 N1, N2, N6, N8, N9 조합으로 이루어지고요. 병원성에 따라 고병원성(High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저병원성(Low Pathogenic Avian Influenza, LPAI)으로 구분하는데 고병원성은 H5, H7과 N1, N2, N6, N8, N9의 조합으로 이뤄집니다. 135종에 달하는 AI 혈청형 가운데사람에게 감염되는 대표적인 고병원성 AI는 역시 H5N1가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는 H5N9. H5N6, H7N7 등이 있습니다.

opop님의 댓글

작성자 opop
작성일 02.23 10:49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주변사람들이 페라미플루 효과가 직빵이라는데 혹시 이유 알 수 있을까요? 단순히 주사라서 그런건지 아님 성분 등이 차이가 나는건지..

고약상자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고약상자
작성일 02.23 11:13
@opop님에게 답글 아무래도 링거 수액과 같이 맞기 때문에 에너지 공급도 되고, 수액으로 인한 체온 하락도 있기 때문에 컨디션이 빠르게 좋아지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약물 자체는 타미플루와 큰 차이는 없는 것 같습니다.

dosl님의 댓글

작성자 dosl
작성일 03.03 21:33
전 독감으로 생각보다 많이 죽는게 신기하네요...치료율은 우리나라가 더 낫나요?
분류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