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모앙 커뮤니티 운영 규칙을 확인하세요.
X

아이패드에서 nas접속이 안되는데요 ㅜ

페이지 정보

작성자 달리
작성일 2025.03.02 08:17
분류 질문
829 조회
0 추천

본문

nas전용 앱을 사용하면 접속이 되는데

파일에서 서버로 접속하면 죽어도 접속이 안됩니다.

otp설정떄문일까요?

예전엔 됐었는데 지금은 죽어도 안되는데...

자꾸 소켓이 없다고 뜨네요 검색해도 안나오고...


0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13

구구탄별님의 댓글

작성자 구구탄별
작성일 03.02 09:11
저는 그래서 파일에서 직접 연결 안하고
webdav나 sftp 연결되는 앱 설치하고, 그 앱을 파일앱에 연결해서 써요

달리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달리
작성일 03.02 19:19
@구구탄별님에게 답글 혹시 앱 추천좀 해주실수 있을까요?

구구탄별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구구탄별
작성일 03.02 20:07
@달리님에게 답글 fe file explorer 라는 앱이랑
시놀로지 드라이브
두가지 쓰고있습니다

달리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달리
작성일 03.03 00:05
@구구탄별님에게 답글 감사합니다! 드라이브를 써봐야겠네요

예지님의 댓글

작성자 예지
작성일 03.02 09:23
혹시 시놀로지인가요? 전용앱에서 DDNS로 주소랑 프로토콜 다 넣고 접속하는게 아니라 퀵커넥트 접속이라면 전용앱은 되는게 당연합니다.

프로토콜, 포트, DDNS, 공유기 포트포워딩, 인증서, 계정 아이디 비번, 계정 권한 하나하나 확인해보셔야합니다.

시놀로지라면 그냥 드라이브 앱 설치하는게 젤 간편합니다. 애플 파일 앱에 다른 클라우드처럼 통합됩니다.

파일 앱에서 프로토콜만 맞춰주면 OTP 상관 없이 접속 잘 됩니다. 일단 파일앱을 내부망에서 붙여보세요.

달리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달리
작성일 03.02 19:19
@예지님에게 답글 감사합니다 퀵커넥은 되는데
나스 주소 적어서 접속하면 소켓이 없다면서 접속이 안되네요 ㅠ 드라이브앱 써봐야 겠습니다.

예지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예지
작성일 03.02 23:41
@달리님에게 답글 제가 맥에서 항상 파일앱에서 서버에 접속해서 아이폰 테스트 해봤는데요.

현재 맥 파일앱은 모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반면(SMB, WebDAV, FTP, AFP 등), 아이폰/아이패드의 파일앱은 SMB 프로토콜만 되는 것 같습니다. 맥과 달리 아이폰 파일앱은 https://, afp://, sftp:// 등 어떤걸 넣어봐도 '지원하지 않는 URL'이라고 나옵니다. 오직 smb:// 형식의 주소만 지원하는걸 보니 맥 파일앱과 달리 아이폰 파일앱은 smb 프로토콜만 지원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말씀 주신 소켓이~~~ 하는 에러는 smb 프로토콜을 내부망이 아닌 외부망으로 접속하려 할 때 나오는 메시지네요. https:// 로 접속이 안 되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접속하신거라면 애초에 아이디/비번 넣기도 전에 '지원하지 않는 URL'이라고 나와야 정상입니다.

따라서 아이폰 파일앱 역시 내부망에서 smb 프로토콜을 사용하니 정상적으로 접속은 됩니다. 다만 smb는 내부망으로만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망에서 접속하시려면 그냥 시놀로지 파일앱이나 드라이브앱 설치해야 할 것 같습니다. 저는 둘 다 설치는 했는데 완벽화게 통합되는건 드라이브앱이 완벽하게 통합됩니다.

시놀로지 드라이브 앱을 설치하고 파일앱에 통합시킬 때 퀵커넥트 접속 말고 DDNS 주소로 넣어주세요. 퀵커넥트가 편리하지만 DDNS보다 속도가 느립니다. 전 겪어보진 않았지만 DDNS가 무료다보니 가끔 죽는 문제가 있다고는 하던데 기본적으로 나스를 사용한다면 공유기 DDNS + 시놀로지 DDNS 2개를 소유하게 되기 때문에 2개가 동시에 죽는 경우는 없다고 봐도 되니 DDNS 가 죽어서 접속 못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포트포워딩은 공유기쪽에서 한 번만 설정해주면 시놀로지 DDNS에서도 그 포트포워딩 그대로 사용 가능합니다.

달리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달리
작성일 03.03 00:05
@예지님에게 답글 말씀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제가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가 좀 많이 딸려서 그냥 파일앱이 smb로만 접속해야 된다는 개념만 알고 있었는데요
문제가 예전엔 됐었는데 어느순간 안된다는게 문제네요 ㅠ
ip주소도 자꾸 바뀌어서 좀 혼란스러운데..
나스 접속주소로 집안에서 시도해보는데 자꾸 소켓이 없대나 그러면서 안되네요

일단 말씀주신대로 드라이브 앱을 등록해놨는데 사용할 폴더를 등록을 추가 한번하니
처음말씀하신때 시작했는데 아직도 등록중인지 드르륵 거리면서 다 화일이 안뜹니다 ㅠ
아직 등록중인거 같은데 뭔가 비효율적인거 같네요..일단 이쪽은 잘되는거 같아 사용하려합니다

한가지 더 질문 드리면 nas접속 주소가 계속 변하는데 이게 검색해보니 공유기에서 변환?해주어서 그렇다고 들었는데..
정확한 내부망 주소를 보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nas접속 주소가 http://121.128.----.----:5000/인데
제가 했지만 어떻게 했는지 모르겠네요 ;;

예지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예지
작성일 03.03 00:30
@달리님에게 답글 SMB가 버전 차이도 있고 아마 막았을 것 같습니다. 시놀로지 자체에서도 버전 올라가며 구버전 SMB 가 기본적으로는 비활성화 되어있습니다. 물론 구형기기 때문에 임의로 버전을 낮출 수는 있긴 하지만 어떤 경우에도 SMB를 외부에 열어서 쓰진 않거든요. SMB가 내부망으로 쓸 때 속도는 좋지만 외부에 열어 쓸 용도로 만들어진 게 아니라 보안 문제가 있습니다.

외부 IP주소는 바뀌는게 정상입니다. 기업에서나 고정 IP 사용하지 개인이 사용하기에는 너무 비싸요. 돈만 내면 인터넷 회사에서 고정 IP를 주는데 비용이 꽤 큽니다. 비용 문제 뿐 아니라 개인이 쓰기에는 보안상으로도 좋지 않다고 생각하구요. 그래서 DDNS라는걸 사용합니다. DDNS 서버에서 항상 내 IP의 주소를 최신으로 업데이트 하기 때문에 자동으로 최신 주소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내부 IP주소가 계속 바뀐다면 이건 공유기의 DHCP 기능 때문인데 핸드폰 같은거는 고정할 필요가 없지만 나스나 프린터기 같은건 고정해주는게 좋습니다. 나스에서 사용할 주소를 요청하는 방법으로 고정할 수도 있는데 보다 확실하고 안전하게 공유기 쪽에서 접속 기기의 맥어드레스로 고정시켜 관리하는게 더 좋습니다.

iOS 파일앱으로 내부망에서 접속할 때 smb://192.~~~ 으로 접속하면 됩니다.

언제나 '프로토콜://주소:포트' 이 형식으로 접근하면 됩니다.

참고로 적어주신 5000번은 시놀로지 DSM 포탈의 HTTP 기본 포트일겁니다. 기본 포트는 사용하지 않는걸 추천드리고, HTTP 자체도 막아두고 HTTPS만 사용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당연히 포트번호도 변경하시구요.

WebDAV로 접속한다 해도 위 포트가 아닌 WebDAV 포트를 붙여줘야합니다. 저도 전문가가 아니라 그냥 취미로 나스 사용하는 입장이라 네트워크를 자세히는 모르는데 적어도 나스 운영하려면 DHCP, 포트포워딩, 프로토콜, 포트, IP, DNS, DDNS, VPN, 프록시, 리버스 프록시, 그룹 권한, 계정 권한, 디스크 접근 권한, 내외부망, 인증서(SSL)에 대한 개념 정도는 알고 계셔야 자유롭게 접근 가능합니다. 리눅스를 알면 가장 좋겠지만 저도 리눅스 그런거 몰라요 ㅠㅠ

예지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예지
작성일 03.03 00:34
@달리님에게 답글 참고로 어떤 경우에도 SSH, SFTP, SMB는 포트포워딩을 하든 뭘 하든 외부에 열어두시면 안 됩니다.
SSH는 내부에서도 가급적 막아두고 필요시에만 시놀로지 포털에서 열어서 사용하시고, 웬만해서는 FTP계열(FTP, SFTP, FTPS) 대신 WebDAV를 사용해야합니다. SFTP같은 경우 SSH를 열어두는거나 마찬가지라 해커에게 보안이 뚫릴 경우 매우 심각하다고 합니다.

달리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달리
작성일 03.03 01:38
@예지님에게 답글 뭔가 알거같으면서 잘 모르겠으니 답답하군요 ㅠ
제가 그냥 컴터 하드웨어쪽은 할겠는데..네트워크는 참 어려운것 같습니다
말씀해주신부분도 어디서 들어는 봤는데 실행하기까지 시간이 좀 걸릴거 같습니다
외부도 다 막은거 같긴한데...

첨에 살때 그냥 데이터 백업용으로만 쓰고 막상 써보니
구글 클라우드도 쓰고 있어 활용도가 좀 낮다보니 좀 애물단지가 되가는거 같긴하네요 ㅠ
플렉스도 어느순간 안되고 ott가 강세에 데이터는 ssd로 들고다니는데
내부접속도 되다 안되다 그러니 좀 답답합니다 ㅠ

예지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예지
작성일 03.04 01:13
@예지님에게 답글 @달리 내부 접속에서부터 자주 막힌다면 기본적인 네트워크 설정부터 다시 점검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예지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예지
작성일 03.02 23:43
@달리님에게 답글




위와 같이 완전히 통합됩니다. DS file 이건 버려진 앱인지 통합이 안 되고 그냥 내부 브라우저를 통해 열리는데요, Drive(시놀로지 드라이브), 드롭박스, 구글드라이브는 아이폰 파일앱에 완벽히 통합되기 때문에 그냥 설치만 해두고 해당 앱을 직접 사용하고있진 않습니다. 그냥 파일앱에서 다 해결해요.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