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머신러닝 개척자들 '노벨물리학상' 수상

알림
|
X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포이에마 39.♡.204.94
작성일 2024.10.08 21:39
분류 과학
2,057 조회
11 추천
분류

본문

존 홉필드·제프리 힌턴 교수


존 홉필드 프린스턴대 교수



제프리 힌턴 토론토대 교수


올해의 노벨 물리학상은 인공지능(AI) 탄생에 기여한 2명의 물리학자에게 돌아갔다.

노벨위원회는 8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왕립과학원에서 2024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존 홉필드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와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 등 2명의 물리학자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노벨위원회에 따르면 이들은 물리학 도구를 사용해 오늘날 강력한 머신러닝의 기초가 되는 방법을 개발했다.

서울대 조정효 교수는 "현재의AI가 가능하게 만든 3가지는 컴퓨팅 파워, 대용량의 데이터, 컴퓨터 알고리즘"이라며 "두 교수는 여기에서 머신러닝이 가능하도록 알고리즘을 만든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홉필드 교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연관 기억을 만들었고, 힌턴 교수는 데이터를 통해 자동으로 속성을 찾아내고 이를 통해 이미지에서 특정 요소를 식별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발명했다.

노벨물리학상위원회 엘렌 문스 의장은 이날 "수상자들의 연구는 이미 큰 혜택을 주고 있다"며 "우리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신경망을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1980년대부터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중요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홉필드 교수는 패턴을 저장하고 재구성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발명했다. 홉필드 네트워크는 물리학에서 원자의 스핀, 즉 각 원자를 작은 자석으로 만드는 속성 때문에 물질의 특성을 설명하는 물리학을 활용한다. 네트워크 전체는 물리학의 스핀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와 동일하게 설명되며, 저장된 이미지가 낮은 에너지를 갖도록 노드 간의 연결값을 찾아서 학습된다.

힌턴 교수는 홉필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는 새로운 네트워크, 즉 볼츠만 머신을 개발했다. 이 네트워크는 주어진 유형의 데이터에서 특징적인 요소를 인식하는 법을 학습할 수 있다. 힌턴 교수는 이 연구를 바탕으로 현재 폭발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머신러닝 분야 개척에 기여했다.

댓글 7 / 1 페이지

드라마중독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드라마중독 (211.♡.106.87)
작성일 10.08 22:25
노벨 물리학 상을 인공지능 연구자에게 준다는건 정말 큰 의미네요.

컨텍스트님의 댓글

작성자 컨텍스트 (125.♡.41.31)
작성일 10.08 22:42
역시 물리학이 모든 공학 기술의 원조인 듯 합니다.

TwilightPR님의 댓글

작성자 TwilightPR (223.♡.180.33)
작성일 10.08 23:41
80년대 라니 놀랍네요. 이런분들이 꾸준히 연구할수 있게 토대를 만들어주는 R&D 예산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더 느낍니다

팡파파팡님의 댓글

작성자 팡파파팡 (211.♡.235.47)
작성일 10.09 01:18
이론이 70년대 후반에 정립 되었고 구현 가능한 아이디어가 된게 80년대

그리고 40년이 지난 지금에서야 80년대에 기초가 되었던 구현 아이디어가 현실화가 되었고,

그 공로를 인정 받은거네요. 어떻게 보면 40년이나 걸린 셈이네요

고약상자님의 댓글

작성자 고약상자 (192.♡.86.236)
작성일 10.09 07:31
지금 노벨상 받는 분야가 AI, 그리고 RNA 바이오 분야입니다. 이 분야가 앞으로 과학계의 발전 방향이라는 얘기입니다.

달짝지근님의 댓글

작성자 달짝지근 (125.♡.218.23)
작성일 10.09 07:51
받을만 하죠
그런데 저 연구가 80년대 ㄷㄷㄷㄷ

규링님의 댓글

작성자 규링 (249.♡.0.207)
작성일 10.09 17:47
저 이론과 그를 받침하는 구현 가능한 아이디어까지 해서 빛을 본 것이 40년....
다시 한 번 기초과학으로 인정받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봅니다.
분류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