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오미 su7 중국내 모델3 판매량 초과
페이지 정보
작성자
팜3

작성일
2025.02.20 19:09
본문
샤오미 su7 출시 이후 24년 4월 ~ 25년 1월
모델3를 판매량에서 이겼다고 합니다
우리가 비웃을때 계속 개선하고... 뉘르 기록 달성하고...
결국 초 신생업체가 판매량에서까지
우리도 국내에서 조차 못이긴 테슬라를 이기네요 ㄷㄷ
모델3 152,748대
su7 162,384대
24년 4~6월 7~9월. 10~12월. 25년1월
모델3. 38446. 52052. 54241. 8009. 152,748대
su7. 30000. 39790. 69697. 22897. 162,384대
SU7 Ultra prototype이 뉘르에서 젖은 노면인데도 6:46.874을 기록해,
리막 네베라 7:05.298도 이겼고
GT3 RS의 6:49.328도 넘은 것이
치열한 중국에서 이미지 개선에 컸다고 합니다
LFP인 CATL Qilin 2.0 배터리가 들어고 저런 기록이라네요 ㄷㄷㄷ
8명
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38
팜3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2.20 19:33
FactViolence님의 댓글
작성자
FactViolence

작성일
02.20 19:44
제가 예전에 말했죠. 지금 중국 물건(폰,차 등) 까기에만 열중하는 모습들이 딱 2000년대 일본이 우리나라 깔 때랑 데칼코마니로 똑같다고.
팜3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2.20 19:46
@FactViolence님에게 답글
그러니까요
잘 알아야 뭘 경각심이라도 갖을텐데
무시하고 나몰라라 하면 어느새 확 발전해 있겠죠 ㅜㅜ
잘 알아야 뭘 경각심이라도 갖을텐데
무시하고 나몰라라 하면 어느새 확 발전해 있겠죠 ㅜㅜ
6K2KNI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2.20 21:03
@팜3님에게 답글
아 어쩐지 전부 2월 3월 자료는 비어있길래 왜 저렇게 통계를 잡았을까 싶었는데 출시자체가 없었군요 ㅎㅎ
oefpw472님의 댓글
작성자
oefpw472

작성일
02.20 22:10
저번에 어떤 분이 중국 브랜드 찬양이라고 그래서…음… 누가 그랬나보다~ 하고서 지나가긴 했지만,
중국 브랜드는 사실 전세계적으로 우리나라만 무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론 뭐 실제로 그런 것도 있긴 하지만;;
여튼 중국 자동차 브랜드, 특히 전기차 분야는 미국과 중국이 가장 앞서 있다고 하더군요.
잘은 모르지만, 혹자는 중국의 자동주행 기능이 테슬라보다 앞서있다고도 하더라고요…
(근데 왜 출시를 안해?;;; 그건 모르겠고요)
정말 중국 전기차 브랜드 무섭습니다…
중국 브랜드는 사실 전세계적으로 우리나라만 무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론 뭐 실제로 그런 것도 있긴 하지만;;
여튼 중국 자동차 브랜드, 특히 전기차 분야는 미국과 중국이 가장 앞서 있다고 하더군요.
잘은 모르지만, 혹자는 중국의 자동주행 기능이 테슬라보다 앞서있다고도 하더라고요…
(근데 왜 출시를 안해?;;; 그건 모르겠고요)
정말 중국 전기차 브랜드 무섭습니다…
얼남인즐님의 댓글
작성자
얼남인즐

작성일
02.20 22:24
점점 우물안 개구리가 되어가고 있는것 같네요.
중국차 수입을 막아야 하는 미국이 이해가 갑니다.
일본차가 문제가 아니라 중국차 진출하면 미국차는 테슬라외 답 없겠네요.
중국차 수입을 막아야 하는 미국이 이해가 갑니다.
일본차가 문제가 아니라 중국차 진출하면 미국차는 테슬라외 답 없겠네요.
WagonMania님의 댓글
작성자
WagonMania

작성일
02.21 09:08
제품 자체로 보면 당연한데 전자제품회사 출신의 신생업체가 안정적으로 생산해나간다는게 대단한거 같네요.
다시머리에꽃을님의 댓글
작성자
다시머리에꽃을

작성일
02.21 14:02
중국차 누가 사겠냐 하지만.. 가성비만 좋으면 삽니다
그랑콜레오스 중국차인거 모르고 구입하는 분들 거의 없다 봐야죠
그랑콜레오스 중국차인거 모르고 구입하는 분들 거의 없다 봐야죠
팜3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2.21 14:04
@다시머리에꽃을님에게 답글
동감입니다
사실... 그런거 따지기에는 우리 가계 실질 소득은 너무 지갑이 얇아요
경기 직격은 가계가 가장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죠
사실... 그런거 따지기에는 우리 가계 실질 소득은 너무 지갑이 얇아요
경기 직격은 가계가 가장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죠
다시머리에꽃을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2.21 14:11
@팜3님에게 답글
국내도 국내이지만 전세계 시장에서 결국 중국차들과 정면승부를 벌어여야할 때가 다가왔죠
기존 레거시업체들과 비교해가며 잘하고 있네라고 자만하고 있을게 아니라.. 중국차가 우위인 부분들은 오히려 우리가 빨리 따라가야죠
현기차 내부에서도 중국차들을 유심히 보고있겠지만 갈수록 변화의 폭이 너무빨라서..
기존의 자동차산업 싸이클을 기준으로 그들을 가늠하려하다가는 많에 어려워지는 상황이 올 수 있겠다 싶습니다
기존 레거시업체들과 비교해가며 잘하고 있네라고 자만하고 있을게 아니라.. 중국차가 우위인 부분들은 오히려 우리가 빨리 따라가야죠
현기차 내부에서도 중국차들을 유심히 보고있겠지만 갈수록 변화의 폭이 너무빨라서..
기존의 자동차산업 싸이클을 기준으로 그들을 가늠하려하다가는 많에 어려워지는 상황이 올 수 있겠다 싶습니다
레이피엘님의 댓글
작성자
레이피엘

작성일
02.22 07:49
정책적으로도 갈라파고스화 되어가는 것 경향이 있고...위에 다른 분 댓글처럼 점점 일본이 하던 그 방식 그대로 우리나라가 답습해가는 것 같습니다...=ㅁ= 우물안 개구리가 되어가는 것 같아요. 물론 무조건 경계하고 좋다고 찬양하는 것도 지향해야하지만 그렇다고 무조건 까는 것도 지향해야죠. 3자 입장에서 냉철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팜3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2.25 10:37
@레이피엘님에게 답글
갈라파고스화… 는 국내 소비지들도 후진적으로 만드는
모두에게 불이익인 것 같아요
새상 돌아가는거 좀 알아야 할듯 해요
모두에게 불이익인 것 같아요
새상 돌아가는거 좀 알아야 할듯 해요
디누김님의 댓글
작성자
디누김

작성일
02.23 00:14
윤정권처럼 중국이란 나라를 적으로 두는 어리석은 짓은 말아야 할것같습니다.2000년대초반 중국에서 반일운동이 일어나 일본산 제품들의 불매운동이 격하게 벌어졌었습니다.이때 일본총리가 언론과의 인터뷰(제 기억으로는 무슨 회의 마치고 난 이후 나오는 길에 기자와의 짧은 대화였던 것 같습니다)에서 중국을 대국이라고 서스럼없이 말하더군요. 중국은 큰나라라라 그 당시의 일본도 함부로 할수없는 존재라고.. 20년 전의 일본 정치인이 가진 인식조차 지금 윤 정권은 가지지못하고,외교를 개발살 내놓았으니 참으로 답답할 뿐입니다.
중국을 잘 알지는 못하지만, 여러방면에서 큰나라 임은 분명합니다.
자동차에서 너무 나간것 같네요.^^
중국을 잘 알지는 못하지만, 여러방면에서 큰나라 임은 분명합니다.
자동차에서 너무 나간것 같네요.^^
팜3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2.25 10:39
@디누김님에게 답글
한심합니다
그 결과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의 경제 수치가 박살 나고
그에 따라 산업 기반이 다 흔들리고
환율, 주가지수, 가계경제 다 망가졌죠
그 결과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의 경제 수치가 박살 나고
그에 따라 산업 기반이 다 흔들리고
환율, 주가지수, 가계경제 다 망가졌죠
말없는님의 댓글
작성자
말없는

작성일
02.23 22:01
우리나라 사람들은 유독 중국제 자동차는 못 미더워 합니다만... 전기차의 보급형시장은 이미 뺐기고 있는거 아닌가 싶습니다.
팜3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2.25 10:40
@말없는님에게 답글
일부 분들이 맹렬하게 비하하려고 노력하지만
결국 경험하는게 중요한것 같아요
알아야 실감하고 경계하고
우리 전기차도 제대로 된 가격 경쟁력을 갖추겠죠
결국 경험하는게 중요한것 같아요
알아야 실감하고 경계하고
우리 전기차도 제대로 된 가격 경쟁력을 갖추겠죠
유성매직님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