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운전입니다. 비 오는 야간엔 LED 전조등 시안성이 안좋은가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식빵

작성일
2025.03.02 23:07
본문
야간에 맑은 날만 운전해서 몰랐는데 오늘같이 비가 많이 오는 날 야간에 운전을 오랜만에 해봤거든요.
LED 전조등이 시안성이 안좋은 편인가요? 차선이 거의 안보여서 깜짝 놀랐네요. 예전에 할로겐 전구 차량 운행할 때는 이정도까지는 아니였던걸로 아는데...
평상시는 LED가 낫지만 악천후일때에는 할로겐 전조등이 나은게 맞나요?
1명
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13
천지로님의 댓글
작성자
천지로

작성일
03.03 00:00
이론적으로는 백색광이 안개나 비오는날 같은 상황에서 노란빛보다는 더 멀리 못가기는 합니다.
그런데, 그것보다 중요한게...
차량의 전면 썬팅여부 / 도료의 차선도색에 들어간 반사용 가루 함량 여부가 더 중요하긴 합니다.
특히, 차선에 들어가는 반사용 알갱이들을 적게 넣는 경우에다가, 오래되어 대부분 타이어 마찰에 의해 떨어져 나간 상태라면 거의 안보이긴 하죠.
그런데, 그것보다 중요한게...
차량의 전면 썬팅여부 / 도료의 차선도색에 들어간 반사용 가루 함량 여부가 더 중요하긴 합니다.
특히, 차선에 들어가는 반사용 알갱이들을 적게 넣는 경우에다가, 오래되어 대부분 타이어 마찰에 의해 떨어져 나간 상태라면 거의 안보이긴 하죠.
슈니님의 댓글
작성자
슈니

작성일
03.03 00:28
LED 광원이 흰색에 가깝다보니 악천후시엔 누런 할로겐보다 시인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단, 조명의 조도가 같다는 전제하에요. 보통은 할로겐보단 LED 헤드라이트가 더 밝아서 운행해보면 이쪽이 더 낫더라고요.
단, 조명의 조도가 같다는 전제하에요. 보통은 할로겐보단 LED 헤드라이트가 더 밝아서 운행해보면 이쪽이 더 낫더라고요.
LEC16님의 댓글
작성자
LEC16

작성일
03.03 01:05
우리나라 도로용 글라스 비드 FM 대로 시공하는 곳이 거의 없는데다가 과적 차량이 지나가면..... 몇달만 지나면 그냥 야간 비오면 안보인다고 봐야됩니다.
MikaStar님의 댓글
작성자
MikaStar

작성일
03.03 07:43
차선 도료문제도 있고 우리나라 도로 배수가 안되서 그렇습니다.
도로가 물을 갖고 있다보니 빛에 죄다 난반사 되서 사람눈에는 저게차선인지 이게 차선인지 구별이 안됩니다
도로가 물을 갖고 있다보니 빛에 죄다 난반사 되서 사람눈에는 저게차선인지 이게 차선인지 구별이 안됩니다
porpoly님의 댓글
작성자
porpoly

작성일
03.03 09:10
색온도,파장때문에 누런색일수록 비오는날 더 잘보이는게 이론상 맞습니다. 근데 led 전조등의 광량이 압도적이라 이건 차종이나 틴팅농도, 사람에 따라 케바케 사바사영역이기도 합니다.
BLACK님의 댓글
작성자
BLACK

작성일
03.03 12:32
혹시 전면 틴팅 농도도 한번 확인해보시길…
제 5시리즈 중고로 가져왔는데 전 차주가 얼마나 진한걸 발라놨는지… 비오면 자동으로 저속운행이 됩니다..ㄷㄷㄷ
빨랑 틴팅 교체해야하는데요..
제 5시리즈 중고로 가져왔는데 전 차주가 얼마나 진한걸 발라놨는지… 비오면 자동으로 저속운행이 됩니다..ㄷㄷㄷ
빨랑 틴팅 교체해야하는데요..
토마토님의 댓글
작성자
토마토

작성일
03.03 13:36
차선 문제, 틴팅 농도 고려해도 색온도가 높은 LED 램프보다 색온도가 낮은 할로켄 램프의 시인성이 더 좋은게 맞습니다.
해방두텁바위님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