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모앙 커뮤니티 운영 규칙을 확인하세요.
X

새로이 알게된 3.1 운동의 역사적 의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25.03.01 15:18
964 조회
35 추천

본문

3.1절을 맞아 문재인 대통령 추천도서 <시민의 한국사> 3.1운동 절을 펼쳤습니다.

참고로 이 책은 한국역사연구회에서 편찬한 책입니다.


책에 이렇게 쓰여있습니다.

"3.1 운동에서 한국인은 신분, 계급, 지역, 종교 등의 차이를 넘어 하나로 모였고..."

"3.1 운동은 대외적으로는 반일 독립운동이고 대내적으로는 민주주의 운동이었다."

"여러 곳에서 내놓은 임시정부안 역시 군주가 없고 국민이 주인이 되는 민주공화정을 요구했다."


3.1 운동이 한편으로는 민주주의 운동이었음을 오늘에야 알았습니다.

대한민국에 촛불혁명이 괜히 일어난게 아니네요.

35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9 / 1 페이지

일론머스쿵님의 댓글

작성자 일론머스쿵
작성일 03.01 15:27
31절이 한반도 민주화 운동의 첫 시작이었습니다

도깨비방뫙님의 댓글

작성자 도깨비방뫙
작성일 03.01 15:29
촛불혁명, 더 비기닝... 이었군요!

joydivison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joydivison
작성일 03.01 15:29
평등을 외친게 엄청난 의의가 있었다고 생각해요. 500년 동안 신분제 사회에 살다가

moxx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moxx
작성일 03.01 15:32
@joydivison님에게 답글 2천년 이상이었죠.

일론머스쿵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일론머스쿵
작성일 03.01 16:04
@moxx님에게 답글 5천년 전 단군때부터죠

푸른미르님의 댓글

작성자 no_profile 푸른미르
작성일 03.01 15:30
민주공화정의 시작을 알리는 운동이었죠
전제왕조를 벗어난 최초의 시도인데 대단한 거죠

masquerade님의 댓글

작성자 masquerade
작성일 03.01 15:42
나중에 이씨 집안에서 황실 복원 어쩌고 하는거 보면 ...  많이 대비 됩니다요

DRJang님의 댓글

작성자 DRJang
작성일 03.01 16:12
동시에 당시 대중 인식이 남은 왕가, 특히 고종 후계라 말할 수 있는 인물들에게는 답이 없다라고 생각했었다는 근거가 되기도 하죠.
(대중적 인식이 고종까지만 진짜 조선 왕이라고 받아들였다는 뜻..)

moxx님의 댓글의 댓글

대댓글 작성자 moxx
작성일 03.01 16:18
@DRJang님에게 답글 고종의 양위가 일제의 강제로 이뤄진거라 더 그렇게 받아들여졌을 것 같습니다.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