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 추적을 해경이 100% 담당은 못하는가 보군요?
페이지 정보

본문
7일 군 당국에 따르면 강릉지역 해안경계를 담당하는 책임부대인 23경비여단은 이번 마약 밀반입 사건의 핵심적 역할을 했다.
완벽한 해안 감시작전으로 마약을 운반하는 선박 검거에 결정적 기여를 했다.
강릉시 옥계항에 입항한 외국 선박에서 2t 중량의 코카인 의심물질이 나오면서 역대 최대 마약 적발로 큰 화제가 됐다.
23여단은 검거 하루 전날인 지난 4월 1일 마약 의심물질을 실은 선박이 국내에 들어올 가능성이 있다는 정보를 공유받았다.
이에 23여단은 임상진(준장) 여단장을 중심으로 감시작전 태스크포스(TF)를 꾸렸다. 감시장비인 레이더와 열상감시장비(TOD), 과학화카메라를 촘촘하게 운용했다.
지난 1일 저녁 8시 41분께 먼바다에서 이동 중인 의심선박이 군 레이더에 처음 탐지됐다. 약 2시간 후에는 육지에서 32㎞ 떨어진 해상에 있는 선박을 TOD로 포착하고 추적을 이어갔다.
2일 새벽 4시 57분 의심선박이 책임 지역으로 들어왔다. 이에 23여단은 레이더 추적번호를 부여하고 입항할 때까지 항로를 치밀하게 관측했다.
동해해양경찰청을 비롯해 관계기관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작전 상황을 공유했다. 해당 선박이 새벽 6시 13분께 옥계항에 입항했을 때 관계기관은 23여단에서 공유받은 선박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현장을 덮쳤다.
육군 23경비여단, '시가 1조원' 마약 운반선 검거 '일등공신'
////////////
군당국이야 자신들 숟가락 얹을려고 저럴 수 있긴 합니다만, 다르게 보면... 애초에 저 사건에 군대가 동원될 이유가 있나로 접근하자면...
선박에서 누가 해안 침투한 상황도 아니고...
해경선에서 레이더로 추적하다가 덮치는걸로 해결 되는 사건 아닌가... 그런 생각을 해봅니다.
14mm3님의 댓글

근해 해상 경비 자주 나갔습니다.
실제 어선 검색도 여러 번 했었구요.
어떤 사건이 생기면 해경 콜해서 인계하는 절차로 진행했습니다.
당시 전 해군 소속이었고, 육군 경비정과 해경 경비정도 우리 부대 부두에 정박했던 기억이 나네요.
송금왕뱅킹님의 댓글

이런건 군경 합동으로 잡으면 되는거죠
23사 특성상 해경보다 더 많은 장비와 인력이 있으니깐요
라이투미님의 댓글

PCBR님의 댓글
AIS로 지속적으로 위치를 보고하는것이 규정입니다만 그런걸 지키지 않는경우 높은데 설치되거나 조기 경보기 같은 항공 레이더와 TOD로 감시 해야 하는데 군 자산 이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