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이 오르면 물가 상승한다는 게 선동인 이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미

작성일
2025.04.22 09:56
본문
정확히는 물가가 상승할 수는 있는데 영향은 생각보다 적습니다.
그런데도 대부분은 최저임금 상승이 가파른 물가상승을 불러일으킨다고 주장하더군요..
최저임금의 상승이 물가상승을 불러오는 건 맞긴 한대요...
최저임금이 10% 늘어난다 했을 때 전체 임금은 1%정도가 오르고, 이에 따라 물가는 0.2~0.4% 정도가 오르죠.
아예 최저임금 상승이 물가 상승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말하는 연구도 있어요.
근데 수치를 보면 알겠지만 음.... 뭔가 좀 이상하지 않으신가요?
실제 최저임금 올랐을 때 그거 대응해서 가격 올린다고 하는 건 저정도로까지 수치가 작지 않았거든요.
그리고 2020년에 한국경제연구원에서 의뢰해서 내놓은 연구에서는 상당히 최저임금의 영향을 높게 평가했는데도 불구하고 최저임금 1% 상승에 물가 영향은 0.07%라는 결과를 내놓았습니다.
2017년에 7.3%올렸는데 그해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1.9% 입니다.
분석된 내용을 적용하면 실제 최저임금 상승은 0.5%밖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는 거죠.
그럼 최저임금이 아닌 다른 데가 문제란 결론이 나옵니다.
뭐 이 소리 하면 분명 야 그건 이론이고 실제는 달라 이러는데요..
이런 사회과학은 실제 데이터 없으면 이론을 만들 수가 없어요.
12명
추천인 목록보기
댓글 13
/ 1 페이지
kmaster님의 댓글
작성자
kmaster

작성일
04.22 10:16
제가 보기에는 최서시급이 문제가 아니라 부동산 임대료 상승이 실질적으로 느끼는 물가상승에는 더 치명적인것 같더군요
꼰대생각님의 댓글
작성자
꼰대생각

작성일
04.22 10:59
그렇게 느낄수도 있겠다 싶은게 예를 들면
정부가 서민편의를 위해 물품이나 서비스 구입을 지원해준다면 얼마뒤 딱 지원받은 그정도 가격이 오른다던가
서민건강을 위해 헬스비를 지원한다면 딱 그만큼 이상한 구실을 들며 헬스비를 올리는것 같고..
중증질환 산정특례제도가 생겨 의료비가 경감되니 온갖 구실을 만들어 비급여항목들을 만들어 서민이 혜택받은 만큼 뽑아내려고 안달인것처럼 보이고..
( 결국 제도효과는 없어지고 내야할 돈은 그대로--"어차피 너네 공짜잖아" 하는 듯한 )
이런 것들이 문제라고 봅니다. 그런 항목들이 보면 대체로 실 소비자들이 절실히 체감하는 항목들이 대부분이더군요.
최저임금인상역시 가격인상요건에 반영하는 인간들이 분명 있지 않을까 싶더군요.
정부가 서민편의를 위해 물품이나 서비스 구입을 지원해준다면 얼마뒤 딱 지원받은 그정도 가격이 오른다던가
서민건강을 위해 헬스비를 지원한다면 딱 그만큼 이상한 구실을 들며 헬스비를 올리는것 같고..
중증질환 산정특례제도가 생겨 의료비가 경감되니 온갖 구실을 만들어 비급여항목들을 만들어 서민이 혜택받은 만큼 뽑아내려고 안달인것처럼 보이고..
( 결국 제도효과는 없어지고 내야할 돈은 그대로--"어차피 너네 공짜잖아" 하는 듯한 )
이런 것들이 문제라고 봅니다. 그런 항목들이 보면 대체로 실 소비자들이 절실히 체감하는 항목들이 대부분이더군요.
최저임금인상역시 가격인상요건에 반영하는 인간들이 분명 있지 않을까 싶더군요.
푸르른날엔님의 댓글의 댓글
작성일
04.22 12:30
@꼰대생각님에게 답글
얼마전 부산에 갔을때 호텔 1박하는데 야놀자에서 예약했더니 여행장려 국가지급 바우처 적용가격이라고 할인 받아서 기분 좋게 숙박했다가, 다음날 체크아웃할때,
실제 호텔에 예약 안하고 직접 내는 가격이, 내가 할인 받은 가격보다 낮은걸 알게되니 씁쓸하더군요.
실제 호텔에 예약 안하고 직접 내는 가격이, 내가 할인 받은 가격보다 낮은걸 알게되니 씁쓸하더군요.
까망꼬망님의 댓글
작성자
까망꼬망

작성일
04.22 11:19
물가상승 걱정하면 당장 금리부터 올려야죠..
금리는 쳐내려서 투기꾼들 조장하면서 최저임금갖고 이야기하는건
나는 무식한 머저리요 인증하거나 아니면 얍삽하게 매국노 앞잡이 노릇하는거라고 봅니다
금리는 쳐내려서 투기꾼들 조장하면서 최저임금갖고 이야기하는건
나는 무식한 머저리요 인증하거나 아니면 얍삽하게 매국노 앞잡이 노릇하는거라고 봅니다
진우원님의 댓글
시간당 1000개 만드는 물건의 1인 인건비라면 분배되서... 1/1000 만큼 반영될테니 그런것 아닐까요??